많은 분들이 여기저기서 AI가 대세라니까 챗gpt랑 몇 번 대화를 시도하세요.

그러다 이 녀석이 엉뚱한 소리를 하며 기대한 결과를 주지 못하니까 ‘이런 멍청한 놈을 어따 써?‘라며 관심을 끄시는 거예요. ㅜ.ㅜ

🔖˝인공지능을 부려 먹을 생각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인공지능의 말을 유심히 듣고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배워야 할 것이 있다면 마음에 새기는 작업을 해보면 어떨까요?˝ - 265p <인공지능은 나의 읽기-쓰기를 어떻게 바꿀까>(김성우, 유유, 2024)

명령이 아니라 🫂소통하고자 하면 결과가 완전 달라질 거예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힐 2025-04-19 1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상 틈에님 말씀 처럼 소통하고자 하는 마음에 따라 인공지능의 가치가 달라 지는 것 같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리함에 의존하지 않는 고민도 함께 해야 될 것 같더라구요. 행복하고 좋은 주말 되세요!
 

한강의 작품을 처음 접한 건 약 10년 전 <소년이 온다>(2014, 창비)였다. 그때 느꼈던 분노와 울컥함이 쉽게 잊히지 않아 이후 2번이나 더 읽었다. 


작가의 노벨상 수상 소식을 접한 뒤 <작별하지 않는다>(2021, 문학동네)를 만났고, 말로는 옮기기 어려운 상실이 문장을 타고 파도처럼 끊임없이 다가오는 경험을 했다. 하지만 나에겐 <소년이 온다>에 미치지 못했다.


그러다 드디어 올해, 기대했던 <채식주의자>(2007, 창비)를 펼쳤다. 세 작품 중 가장 복잡하면서, 가장 조용했고, 동시에 가장 강렬했다.




<채식주의자>는 어떤 이야기?



이 작품은 2016년 맨부커 인터내셔널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으로 주목받았다. 세 편의 중편(채식주의자 - 몽고반점 - 나무 불꽃)이 연결된 구성으로, 한 여성이 어느 날 갑자기 채식을 선언하며 사회와 단절되고, 결국 자기 존재마저 거부해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소설에서 ‘채식’은 그저 저항을 위한 도구일 뿐이다. 나에게 이 작품은 삶의 전방위에서 가해지는 사회적 억압 속에서 ‘침묵 속 몸의 저항’을 통해 살아남으려 발버둥 친 인물의 생존기다.


사실 난 제목 때문에 오해했던 독자 중 한 명이다. 건강 때문에 거의 채식 위주로 먹으면서도 채식 자체엔 관심이 없어서 오랫동안 이 책을 미뤘었다. 읽고 나서 생각하니 그 선택이 너무 아쉽다. 





읽는 동안, 마음이 서서히 바스러지다


이야기는 영혜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진행되지만, 그녀는 작품 내내 자신의 목소리를 거의 내지 않는다. 독자는 그녀의 변화와 행위를 주변 사람들(남편, 형부, 언니)의 시선으로만 접하게 된다.


그녀를 관찰하는 동안 한국 사회에 팽배한 크고 작은 억압과 강요, 유무형의 폭력들이 때로는 조용하고 차분하게, 때로는 기괴하고 강렬하게 눈앞에 펼쳐진다. 


우리가 어릴 때부터 평소 표현하지 못했던 감정은 언젠가 ‘몸’으로 드러나게 마련이다. 개인에 따라 멘탈의 강도에 차이가 있겠지만 그래봐야 결국 사람, 갭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이다. 


<채식주의자>를 읽으며, 한국에서 사는 동안 내 안의 억눌렸던 감정들을 보듬게 되었다.






<채식주의자>가 나에게 던진 질문



우리는 언제부터 남과 스스로를 억압해왔나?

‘정상‘이라는 기준은 누가 정하는 걸까?

어디서부터 ‘비정상‘일까?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저항이 왜 타인의 눈에 마뜩잖게, 아니꼽게 보이는 걸까?



<채식주의자>는 위의 질문들을 내게 던졌다. 물론 말로 직접 설명하지 않고, 그저 이야기로, 장면으로, 문장이 주는 생각의 여백으로 말이다.


그래서 더 아프게 더 무겁게, 더 오래 여운이 남는 것 같다.





이런 분께 추천해요


한강 작가의 작품을 딱 하나만 읽겠다는 분

본인이 사회 부적응자라는 생각에 고통받는 분

여운이 길고 깊게 남는 소설을 찾는 분

문장을 하나하나 곱씹으며 읽기를 선호하시는 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성형 AI를 쓰면 쓸수록,
나를 더 잘 비춰주는 거울 같단 생각이 들어.

처음엔 그저 편하고 신기해서 썼는데,
어느 순간 깨달았어.
내가 그 주제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어떤 의도로 질문하는지에 따라
AI의 답이 달라진다는 걸.

한마디로 내가 성장하는 만큼
결과물의 수준도 달라진다는 거.

결국 AI가 세상을 가득 채워도 
우린 여전히 평생 학습러가 되어야만 해.
우리가 아는 만큼만,
딱 거기까지만 활용할 수 있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게 디폴트야 🤷‍♂️🤷‍♀️. 상대가 조금이라도 이해해 주는 것에 고마워해야지 🙏💕, 이해하지 못한다고 되려 짜증 내거나 😤 섭섭해하면 🥺 나만 손해라고 생각해 🤦‍♂️. 세상에 당연한 건 없으니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무 열심히 살아도 문제야. 😅 적당한 노력은 성장을 당기지만 📈, 과도한 노력은 수명을 당기니까. ⏳

나를 잃지 않기 위해서라도 어느 정도는 대충 살자.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