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을 쫓는 아이 (개정판)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이미선 옮김 / 열림원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76주간 아마존 베스트셀러 1위였던 이 책은 두 출판사에서 발간되었는데, 개인적으론 현대문학 출판사 번역보다 열림원 출판사의 번역이 더 매끄럽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아프가니스탄인의 최초 영미소설로서, 한 소년의 성장기와 아프가니스탄의 비애를 담고 있다.


부잣집 도련님이었던 아미르는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가 죽는걸 어렴풋이 알고 있었고, 신분의 권력을 일찍이 깨달아 단짝이었던 하인을 통해 실컷 누렸다. 그러나 그 특권은 두려움에게서 자유롭지 못했고 해방시켜주지 못했다. 그 두려움은 전능했던 아버지로부터, 친구였던 하인을 부정함으로부터, 불의를 외면한 자신의 배신감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자신의 행동에 옳고 그름을 분별할 줄은 알았으나 불안정했던 아미르는 그토록 충성되고 충직한 가지를 쳐낸 후 서로 갈라서는 길을 택하기로 한다. 훗날 미국으로 건너가 작가가 된 아미르는 과거를 묻고 살아가던 중, 옛친구를 만난 뒤 다시 카불로 되돌아간다.

 

고국으로 돌아와서야 유소년 시절에 보지 못했던 아프간의 우울과 연민을 마주하게 되는데, 이미 고국은 탈레반에게 점령당해 하자라인 뿐 아니라 파쉬툰인들도 대량 학살을 당하고, 아이들은 굶어죽고 있었으며, 지뢰와 로켓들로 건물과 땅들은 무참히 황폐해져 있었다. 옛 땅에서 은폐되었던 진실을 목도하고 하산의 아들에게라도 속죄하려는 아미르.

 

아미르에게 있어 이란 과연 무엇을 표상한 것이었을까? 아버지의 눈길을 받을 수 있었던 유일한 접점. 아무말 없이도 하산과 통하는 유일한 시간. 시궁창 현실 가운데 유일한 유토피아. 마음속 엉켜있는 실타래를 풀어줄 유일한 양심. 지난 날의 죄를 참회하고 용서를 구하여 순수함을 찾아가는 의미심장한 이야기라 하겠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탱이 2017-01-20 21: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물감임이 5점주신건 꼭 읽어봐야겠어요 ^^

물감 2017-01-20 21: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를 너무 믿으시는것 아닌가요? ㅎㅎㅎ

2017-01-21 19: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마르케스 찾기 2017-01-21 19:54   좋아요 1 | URL
참!
저도 호세이니의 책 좋아합니다ㅋ
호세이니의 책으로 만들어진 영화까지 잘 챙겨서 보고 있죠ㅋㅋ
그래서 더 꼼꼼히 잘 읽었습니다 ^^

물감 2017-01-21 20:47   좋아요 0 | URL
우와 이렇게 정성스런 댓글은 처음 받아봐요ㅠㅠ 좋은 리뷰 많이 올릴게요ㅋㅋ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
최인호 지음 / 여백(여백미디어)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채식주의자랑 비슷한 냄새가 난다.

폐쇠적이고 음울한 베이스.
이런게 한국의 고유문학인걸까.

일본 문학이 가볍고 말랑한 반면,
한국은 너무 무겁고 딱딱하다.

이런 류를 대중이 즐겨 읽는다는 건
확실히 이 사회는 병들어 있다.

윗세대들의 삐뚤어진 개똥철학이 대체
얼마나 위대하시기에 어떻게
이런 사상을 가지고 한국을 이끌어왔단 말인가.

작가만의 깊은 번뇌는 독이 되어
썩은내 나는 문장들로 채워져 있다. 

그로테스크를 추구한거면 이런 크레이지함도
아아 장르를 위해 그랬구나 할텐데,

사전을 봐야만 알 것같은 그럴싸한 단어로
본인의 저질 페티시즘을 포장시켰으며,

주인공의 입을 빌려서 내뱉는
종교적, 성적 발언들은 논란이 될 정도로 창피스럽다.


분명 낯 익은 집과 가족과 풍경과 일상인데 
묘하게 내가 알던 것과 다르다.

자고 일어났더니 모든게 낯설어.
그래서 정장에 쏟은 커피 마냥 찝찝해.

이것은 오컬트적 공상소설이란 말인가.
아 증말 마무리 영 개운치 않네.

난 정말 베스트셀러와는 맞지 않아. 털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악의 사슬 잭 리처 컬렉션
리 차일드 지음, 정경호 옮김 / 오픈하우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30에서 원아웃, 원 샷에서 투아웃이었고 이번에도 실망이면 손 떼려고 했다.

삼세번 자비를 베푼 결과 다행히 삼진아웃은 아니지만 싸쓰가 무미건조였다.

액션을 보는데 흥분이 안 되고,
추리를 하는데 쫀득함 없는 참 향기 없는 꽃이다. 

주인공 혼자 다 해먹는 리 차일드 작품들은
스토리에 큰 의미는 없다.

감정이 결핍된 리처에게 서스펜스가 웬말이며
사건의 굴곡이 무슨 소용이 있으랴.

하드보일드라고 해서 무조건 가져다 붙인들
다 멋있는 건 아니제.

표지 뒷면에 있는 요약글 있지?
그게 전부라 딱히 스포 할 것도 없다.

작가는 이 친구를 심하게도 먹이사슬 랭크1위 먼치킨으로 만들어놨다.

시작부터 만렙이라면 무슨 재미로 게임을 하겠어?

영화라면 모를까 소설은 더이상 찾을 일 없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피북 2017-01-19 10:0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제 신랑이 이 영화 보길래 재밌냐고 물었더니 그닥이라고 하던데 ㅎ 소설도 그런가봐요 톰 크루즈라 내심 기대 했는데
말이죠ㅜㅜ

물감 2017-01-19 10:09   좋아요 0 | URL
저와는 심하게 맞지 않네요ㅠㅠ
영화도 별로였나봐요? 이거이거 안되겠네...ㅋㅋ
 
빅 브러더
라이오넬 슈라이버 지음, 박아람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잘 나가던 피아니스트에 잘생기기까지 했던 오빠가 초고도 비만이 되어 나타나면 누구라도 기겁하지 않을까?

표지에서 알 수 있듯 이것은 속칭 배둘레햄 지방맨과
주변인의 고충을 다루고 있다.

자신의 비만한 육체와 생활습관이 피해주는지 모르는 오빠는 관대한 연민의 개인주의자들.

혈육을 무조건 감싸기만 하고 사태를 피하기에만 급급한 여동생은 평범한 회색주의자들.

자신의 예민함을 주변에게 주입시키며 허물을 감쌀 줄 모르는 남편은 철저한 자기관리의 완벽주의자들.

이 세명은 오늘날의 병든 인간사회를 대표하고 있다.



일단은 비만율이 워낙 높은 미국이니까
가능한 소설이라 본다.

뭐 이젠 한국도 마른 사람이 스스로 돼지라며
일종의 관심종자를 자처하는 추세지만,

국민 대다수가 코끼리도 아닌데 그놈의 외모지상주의가 정상 체중조차 루저로 만들고 있다.

나는 상대방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1인이다.

살 찐 것은 죄가 아니며 잘못은 더더욱 아니다.
물론 타인에게 피해는 주지 말아야겠지.

그건 정상체중의 사람도 마찬가지지만, 비만이라는 이유로 더 큰 잣대를 들이댄다면 이건 분명 문제있다.

더 큰 문제는 외관만 보고도 그 사람의 성격은 이렇다 저렇다 단정 짓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은 대대로 오지랖이
태평양만큼 넓은 민족이다.

윗세대들이야 다이어트 좀 해라 정도였지만,
현세대는 아주 가관이다.

키가 작네, 어깨가 좁네, 머리숱이 없네,
통짜 허리네 등등.

갖가지 흠들을 굳이 찾아내어 관리부족을 들먹인다. 
제발 그러진 말자고.

실제로 몸무게가 세자리쯤 되면 비난보다
동정의 시선으로 바뀌는데 그렇다고
굵직한 사람들을 사회적 약자로 만들 필요는 없잖아.

암튼 있잖아 빅 브라더스 앤 시스터스?
절대 기죽지 마시라규.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듯이 절대 체중순도 아니라규.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르케스 찾기 2017-01-21 19: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러게요ㅋ
행복에 순서가 있을까요?ㅋㅋ
오늘은 여기까지,,
(영화에서 들은 대사에 꽂혀서ㅋ
즐겨 쓰게 되네요 ^^;)
잘 읽고 갑니다

물감 2017-01-21 20:36   좋아요 0 | URL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르케스 찾기 2017-01-21 23:35   좋아요 1 | URL
읽게 해 주셔서 오히려 제가 더 감사드립니다 ^^
진심 잘 읽었습니다
 
참 서툰 사람들
박광수 지음 / 갤리온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 모든 그림은 작가가 일부러 왼손으로 그렸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제목과도 잘 어울리는 듯 하다.

어릴때부터 모든게 서툴렀던 작가는
어른이 되어가며 어른이 되지 않겠다고 말한다.

사람은 으레 절제하고 생각하고 분별하며 어른으로 성장해 나가는데 그런 똑같은 어느 어른보단 차라리 서툴고 온전히 성장하지 못한 모습으로 나이먹겠다는..

박광수 작가는 어릴때부터 이름을 들어서인지 익숙하다.

광수생각이라는 광고부터 시작해서
스카이 핸드폰에 광수체 폰트도 있었고
작가만의 그림체도 여기저기서 흔히 볼 수 있었으니까.

나도 잘하는게 없어서 크면 뭐하지 회사는 들어갈수 있나

자격증도 없고 영어도 모르고 기술도 없는 내가 어떻게 살아갈까 하는 불확실한 내 미래에 걱정으로 가득하던 시절도 있었다.

작가만큼이나 나도 참 서툴렀으니까.

그래도 살아가겠다.

사는건 그래도 나답게 말이다.

그러니까 괜찮을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