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소프트랜드 '어느날 갑자기' CGVㆍSBS 방영

극장과 지상파TV를 통해 같은 기간에 배급되는 HD 영화가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전문업체 소프트랜드(대표 이진희)는 자체 제작한 시리즈 공포영화 '어느날 갑자기-4주간의 공포'를 20일 전국 CGV를 통해 개봉한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또 극장 개봉과 함께 내달 4일 SBS를 통해 해당 영화를 방영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기존 영화 유통의 관례를 깨고 일반 극장 개봉과 지상파TV 방영이 거의 동시에 이뤄지는 방식이다.

'어느날 갑자기'는 유일한 작가의 동명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CJ엔터테인먼트와 SBS가 공동투자하고 소프트랜드가 제작했다. '폰', '분신바사', '아파트'를 만든 안병기 감독 총지휘 아래 정종훈, 김은경, 권일순, 김정민 등 신인감독이 제작에 참여해 4부작(2월 29일, 네 번째 층, D-day, 죽음의 숲)으로 만들어 졌다. 소프트랜드는 20일부터 '2월 29일' 개봉을 시작으로 매주 1편씩 전국 20여개 CGV에서 상영하는 한편, 같은 방식으로 8월 4일부터 SBS를 통해 방영할 방침이다.

극장과 TV 상영을 거의 동시에 시도할 수 있는 것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HD 기술로 제작됐기 때문이다. 소프트랜드에 따르면 HD 영화는 필름영화에 비해 최대 97%까지 비용 절감이 가능한 데다, 영화관과 TV 등 매체 호환이 가능하다. '어느날 갑자기' 시리즈 편당 제작비만 5억원 수준으로 한국영화 평균 제작비의 10분의 1 수준이다.

소프트랜드 지화용 상무는 "이번에 개봉하는 '어느날 갑자기' 한국 영화제작 기술의 진화와 영화 유통 및 관람 방식의 변화를 시도했다는 데 작품 외적 의미가 있다"며 "이를 통해 영화관과 TV의 경계를 허무는 것은 물론 인터넷 등 다양한 채널로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새로운 산업 트랜드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이택수기자@디지털타임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e Dark Side Of The Moon' 투어와 'Division Bell' 투어 등이 담긴 핑크 플로이드 라이브 DVD [Pulse]가 발매 첫 주에 92,815장이 팔리며 미국 차트 1위에 올랐다. 이는 미국 DVD 판매 역사에서 '톱 3'에 드는 성적이라고 사운드스캔(SoundScan)은 밝혔다. 한편 [Pulse]는 미국 외에 영국, 벨기에, 호주, 네덜란드, 아일랜드, 이탈리아, 노르웨이에서도 차트 1위를 차지해 '불멸'이라 일컫는 핑크 플로이드의 저력을 다시 확인시켜주었다. / www.changgo.com

- "네티즌의 음악평, 음악정보가 있는 곳" 창고닷컴 changgo.com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마늘빵 > [퍼온글] 시네바캉스 서울 Cine-Vacances Seoul : 영화와 함께 떠나는 한 여름의 특별한 여행!

시네바캉스 서울 Cine-Vacances Seoul
영화와 함께 떠나는 한 여름의 특별한 여행!



* 상영일정 : 2006. 7. 25. Tue. - 8. 24. Thu.
* 상영장소 : 시네마테크 전용관 서울아트시네마

한 여름의 영화여행 - 시네바캉스를 시작합니다!
7월 24일부터 시작하는 ‘시네바캉스 서울’은 서울아트시네마가 해마다 5월에 개관을 기념해 개최하던 ‘시네필의 향연’을 좀더 대중적으로 확대한 행사입니다. 작품수를 약 60 편으로 늘리면서 자연스럽게 기간도 늘어났고 동시에 영화감독들의 연출특강과 교육행사, 아이들과 함께 영화를 볼 수 있는 ‘시네키드’, 그리고 영화와 음악이 함께하는 ‘필름콘서트’ 등의 다양한 행사가 추가되었습니다. 영화애호가는 물론 일반 시민들도 편하고 자유롭게 영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회입니다.

‘시네바캉스 서울’은 기존의 거대한 영화제들과 비교하자면 아주 적은 예산으로 소박하게 치러지는 영화제입니다. 우리는 영화를 함께 보고 즐기며 이야기를 나누길 원하기에, 다른 호사스런 행사는 없습니다. 레드 카펫도 필요 없고 개막을 알리는 떠들썩한 이벤트 공연도 없습니다. 하루의 일과를 마치고, 혹은 여행을 떠나듯 극장을 방문해 해변의 폴린느가 아이에서 어른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험프리 보가트와 잉그리드 버그만이 재회하는 장면을, 폭풍우 속의 장 가뱅과 미셸 모르강을, 매혹적인 자태의 마릴린 먼로와 도미니크 산다를 스크린 위에서 만나며 토드 브라우닝, 사무엘 풀러, 브라이언 드 팔머, 존 카펜터, 다리오 아르젠토와 함께 공포의 휴가길을 떠나게 될 것입니다.

우리가 이 축제를 영화로 떠나는 ‘바캉스’라 칭한 것도, 이 단어의 본래 의미인 무언가로부터 자유롭고자 하기 위함입니다. 제도화된 영화, 시간의 속박에 갇힌 영화, 이 모든 것으로부터 벗어나 좀더 자유롭게 다양한 영화들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 바캉스는 일주일 정도의 짧은 여행이 아니라 한 달간 지속하는 긴 여행입니다. 그리고 이 여행에서 그동안 서울아트시네마를 찾은 열정적인 관객들과 새롭게 영화관을 찾는 관객들이 의미 있는 만남의 기회가 생기기를 원합니다.

영화는 장소의 기억과 결합한 대중문화의 역사를 이루고 있습니다. 영화의 참된 기쁨은 사람들이 영화관을 찾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대형의 스크린에서 우리들은 감각, 감정과 감동을 경험하며 추억의 일부가 되는 다양한 세계의 기억과 만나게 됩니다. ‘시네바캉스 서울’은 그런 대중의 기억이 간직된 다양한 영화들을 극장에서 새롭게 다시 만나는 행사입니다. 여행은 매번 새로운 세계를 접하는 기대감과 만남을 도모하는 용기를 제공합니다.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영화와 함께 즐거운 휴가를 즐기시기 바랍니다.

김성욱(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래머)

개막식 Opening Night
일시: 7월 25일(화) 7시 30분
상영작: 빌리 와일더의 <뜨거운 것이 좋아 Some Like it Hot>(1959/미국/흑백/120min

뭐니 뭐니 해도 저는 <뜨거운 것이 좋아>를 프린트로 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설렙니다. 제가 만든 <친절한 금자씨>에서 최민식씨가 자기를 죽이려는 유족들에게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습니다."라고 대답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 영화를 의식하지 않고 만든 대사였지만 나중에야 <뜨거운 것이 좋아>의 마지막 대사라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아마도 이 영화를 좋아해서 그 기억이 어디에 남아 있어서 무의식적으로 이 대사를 만들게 됐던 모양입니다. 그만큼 이 영화는 제게 소중한 작품입니다. 여러분도 와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박찬욱 (영화감독,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대표)


** 메인 프로그램 Main Program

1)에릭 로메르의 8편의 사랑이야기
에릭 로메르는 ‘희극과 속담’ 연작 등으로 현대인의 마음의 풍경을 여전히 예리하고 섬세하게 담아내는 현역 감독으로 남아있다. ‘최후의 누벨바그’라 불리는 에릭 로메르의 '계절 이야기' 연작 등 8편을 소개하는 섹션.

모드 집에서의 하룻밤 Ma nuit chez maud (1968/흑백/110m)
녹색광선 Le rayon vert (1986/컬러/98m)
가을 이야기 Conte d'automne (1998/컬러/110m)
여름 이야기 Conte d'ete (1996/컬러/113m)
봄 이야기 Conte de printemps (1983/컬러/112m)
겨울 이야기 Conte d'hiver (1992/컬러/114m)
해변의 폴린느 Pauline a la plage (1983/컬러/94m)
수집가 La collectionneuse (1967/컬러/90m)


2) 명화극장: 불멸의 스타
마릴린 먼로, 잭 레몬, 잉그리드 버그만, 험프리 보가트, 그리고 매혹적인 도미니크 산다 등의 스타가 출연한 영화들과 만나는 특별한 프로그램.
뜨거운 것이 좋아 Some Like it Hot (빌리 와일더, 1959/흑백/120m)
카사블랑카 Casablanca (마이클 커티즈, 1942 /흑백/102m)
석양의 건맨 For a Few Dollars More (세르지오 레오네, 1965/컬러/130m)
핀치 콘티니의 정원 The Garden of the Finzi-Continis (비토리오 데 시카, 1970/컬러/94m)
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The Apartment (빌리 와일더, 1960/흑백/125m)
한나와 그의 자매들 Hannah and Her Sisters (우디 알렌, 1986/컬러/103m)

3) 되찾은 시간: 프랑스 영화 1941-1945
잘 알려지지 않았던 비시정권(1940-44)하의 프랑스가 만들어낸 수작을 국내 최초로 소개하는 프로그램. 올드팬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던 마르셀 카르네의 <인생유전>을 비롯해 <안개낀 부두>의 장 가뱅과 미셸 모르강이 다시 함께한 장 그레미용의 <폭풍우>, 나치 점령기 하의 프랑스 영화계를 묘사한 베르트랑 타베르니에의 <통행증> 등이 상영된다.

통행증 Laissez-passer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2002/컬러/170m)
까마귀 Le Corbeau (앙리 조르주 클루조, 1943/흑백/92m)
인생유전 Les Enfants du paradis (마르셀 카르네, 1945/흑백/190m)
기이한 밤 La Nuit Fantastique (마르셀 레르비에, 1942/흑백/103m)
폭풍우Remorques (장 그레미용, 1941/흑백/81m)

4) 뮤지컬 영화걸작선
유성영화 발명 이후 최고의 사랑을 받아온 장르, 뮤지컬의 고전들을 극장에서 재회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
사랑은 비를 타고 Singin' In The Rain (스탠리 도넌, 1952/컬러&흑백/103m)
오즈의 마법사 The Wizard of Oz (빅터 플레밍, 1939/컬러&흑백/101m)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West Side Story (로버트 와이즈, 1961/컬러/152m)
로슈포르의 숙녀들 Les Demoiselles de Rochefort (자크 드미, 1967/컬러/125m)

5) 공포특급
여름의 무더위를 씻어버릴 호러 명작과 더불어, 일상 속의 기이함과 두려움을 공포 영화보다 더 오싹하게 보여주는 걸작들을 함께 모은 섹션.
블루 벨벳 Blue Velvet (데이빗 린치, 1976/컬러/120m)
캐리 Carrie (브라이언 드 팔마, 1973/컬러&흑백/92m)
공포의 휴가길 The Hill Have Eyes (웨스 크레이븐, 1977/컬러/89m)
마견 White Dog (사무엘 풀러, 1982/컬러/84m)
프릭스 Freaks (토드 브라우닝, 1932/흑백/64m)

6) 마스터즈 오브 호러
2005년 10월 미국 [쇼 타임] 채널에서 방영한 장르 영화의 기념비 <마스터즈 오브 호러>를 서울에서 처음으로 극장 상영한다. 다리오 아르젠토, 존 카펜터, 토브 후퍼, 미이케 다카시 등 이름만 들어도 가슴 벅찬 호러의 제왕 13인이 총출동한 옴니버스 모음.

마운틴 로드 Incident on and off a Mountain Road (돈 코스카렐리, 2005/컬러/60m)
마녀의 집 Dreams in the Witch-House (스튜어트 고든, 2005/컬러/60m)
죽은 자의 춤 Dance of the Dead (토브 후퍼, 2005/컬러/60m)
제니퍼 Jennifer (다리오 아르젠토, 2005/컬러/60m)
초콜렛 Chocolate (믹 개리스, 2005/컬러/60m)
병사들의 귀환 Homecoming (조 단테, 2005/컬러/60m)
사슴여인 Deer Woman (존 랜디스, 2005/컬러/60m)
담배 자국 Cigarette Burns (존 카펜터, 2005/컬러/60m)
저주의 금발머리 Fair Haired Child (윌리엄 말론, 2005/컬러/60m)
식 걸 Sick Gril (러키 매키, 2005/컬러/60m)
지옥행 히치하이커 Pick Me Up (래리 코헨, 2005/컬러/60m)
해켈의 공포 Haeckel's Tale (존 맥노튼, 2005/컬러/60m)
임프린트 Imprint (미이케 다카시, 2005/컬러/60m)


***특별 프로그램 Special Program
1) 미드나잇 무비 (심야상영)
일시: 8월 14일 24시
상영작:
블루 벨벳 Blue Velvet (데이빗 린치, 1976/컬러/120m)
캐리 Carrie (브라이언 드 팔마, 1973/컬러&흑백/92m)
마견 White Dog (사무엘 풀러, 1982/컬러/84m)


2) 뮤지컬의 날
일시: 8월 5일 토요일
상영작:
사랑은 비를 타고 Singin' In The Rain (스탠리 도넌, 1952/컬러&흑백/103m)
오즈의 마법사 The Wizard of Oz (빅터 플레밍, 1939/컬러&흑백/101m)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West Side Story (로버트 와이즈, 1961/컬러/152m)
로슈포르의 숙녀들 Les Demoiselles de Rochefort (자크 드미, 1967/컬러/125m)

3) 필름 콘서트 Film Concert
이태리 무성영화 상영 및 연주
연주: Marco Dalpane 그룹

일시: 8월 16일 수요일 밤
상영작:
악마의 랩소디 Rapsodia Satanica (니노 옥실리아, 1914/흑백/56m)
줄리어스 시저 Giulio Cesare (죠반니 파스트로네, 1911/흑백/11m)


**** 만남 및 교육 Education

1) 시네키드
아이들을 위한 시네마테크.
일시: 8월 12일(토) 1시, 19일(토) 1시
상영작:
로보트 태권브이 Robot Taekwon V (김청기, 1976(2005)/컬러/70m)
오즈의 마법사 The Wizard of Oz (빅터 플레밍, 1939/컬러&흑백/101m)

2) 시네 클래스
박찬욱, 봉준호, 김태용 감독이 참석해 들려주는 ‘나의 영화이야기’
1. 김태용 감독 - 8월 6일 일요일 오후 2시 30분
상영작: 가족의 탄생 Family Ties (김태용/2006/한국/컬러/113min)

2. 봉준호 감독 - 8월 10일 목요일 오후 7시 30분
상영작: 1) Sink & Rise -이공프로젝트 중 (봉준호/2004/한국/컬러/6min)
2) 인플루엔자 Influenza -2004전주국제영화제 삼인삼색 (봉준호/2004/한국/컬러/30min)
3) 한영애 뮤직비디오-[외로운 가로등] (봉준호/2003/한국)

3. 박찬욱 감독 - 8월 13일 일요일 오후 2시
상영작: 컷 Cut - 쓰리, 몬스터 Three Extremes 중 (박찬욱/2004/한국/컬러/40min)


3) 작가를 만나다
일시: 7월 29일 안슬기 감독 : <다섯은 너무 많아>와 단편 6편 상영 후 관객과의 대화
일시: 8월 19일 원신연 감독 : <구타유발자들>과 단편 3편 상영 후 관객과의 대화


 <홈페이지 발췌 http://www.cinematheque.seoul.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롤링 스톤 선정 '명반 속에 숨어 있는 안타까운 노래들'



정말 좋은 음반, 특히 자타가 공인하는 명반에서 “이게 뭐야?”하는 소리가 절로 날만큼 실망스럽고 안타까운 노래를 들은 기억을 누구나 한 번 쯤은 가지고 있을 것이다. 롤링스톤(Rolling Stone)이 바로 이런 경험에 기초하여, 흥미 있는 설문 조사를 벌였다. '명반 속에 숨어 있는 안타까운 노래들(Terrible Songs on Great Albums)'. 롤링스톤이 지목한 '안타까운 노래들'의 목록을 발표한다.

The Beatles: 'Maxwell's silver hammer' < Abbey Road >
The Who: 'Squeeze box' < The Who By Numbers >
The Police: 'Be my girl - Sally' < Outlandos D'Amour >
The Velvet Underground: 'The gift' < White Light/White Heat >
James Brown: 'Spinning wheel' < Sex Machine >
Led Zeppelin: 'In the light' < Physical Graffiti >
Pink Floyd: 'Waiting for the worms' < The Wall >
Simon & Garfunkel: 'Voices of old people' < Bookends >
AC/DC: 'Let me put my love into you' < Back In Black >
Run-DMC: 'Perfection' < Raising Hell >


  2006/07 정성하 (bojangle@hanmail.net)

* IZM - New Stream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루(春) 2006-07-19 22: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틀즈 앨범들 디지털작업해서 새로 내놓는대요. 무슨 차이가 있는 건진 모르겠지만, 아무튼 궁금해지네요.

키노 2006-07-20 2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근데 요즘 시디시장이 마구 무너지는 것 같아요. 이러다가 시디가 없어질 것 같아요. mp3의 시장잠식률이 장난이 아니군요. 그리고 소비자들도 1곡을 듣기 위해 음반을 사는 행동은 더 이상하지 않으니 시디 시장은 더더욱 좁아질 수 밖에 없을 것 같아 안타깝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