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승부터 발랄까지, 추석음악 7선
2006.09.29 / 김영 기자 

매년 돌아오는 긴 연휴. 한편 즐겁지만 한편으론 지루하다. 책과 만화, 영화와 TV 특별 프로그램을 선별해 ‘추석나기 올가이드’라는 이름으로 반복 소개하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수많은 장르의 아이템 중에서 꽉꽉 막히는 도로 위에서든 집안 방구석에 틀어 박혀서든 간편히 즐길 수 있는 것은 역시 음악. 며칠 전 발매된 따끈한 신보부터 몇 달 전 깜빡 놓치고 지나간 음반까지, 올해 발매된 숱한 음반을 뒤져봤다.

추석용 음반을 떠올릴 때엔 두 가지의 서로 다른 고민에 부딪힌다. 찬바람이 불어오는 계절의 특성상 말랑말랑 다정한 선율을 고를 것인가, 무료한 나날을 충전시켜줄 상큼하고 신나는 리듬을 선택할 것인가. 팻 매스니와 브래드 멜다우의 듀오 앨범 <Matheney Mehldau>는 그런 고민과 상관없이 무조건 추천할 만한 음악이다. 재즈의 깊이를 껴안는 동시에 재즈의 자유로움을 누릴 줄 아는 각기 다른 스타일의 두 연주자가 함께했다는 것만으로도 주목할 이유는 충분하다. 굳이 음색을 가르자면 가을용 서정에 가까울 터. 그러나 연륜과 패기를 자랑하는 이 두 명의 재즈 뮤지션은, 센티멘털리즘으로 치장된 달콤한 재즈와는 거리가 멀다. 팻 매스니 특유의 촉촉한 기타와 브래드 멜다우 특유의 부드러운 연주가 어우러지는 장관, 쉽게 만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재즈에 뿌리를 두었으되 장르를 훌훌 벗어나 제 색깔을 찾아가는 또 한 명의 뮤지션이 있다. 상반기를 겨우 넘긴 지금이지만 성급함을 무릅쓰고 ‘올해의 목소리’로 손꼽을 만한 코린 베일리 래의 동명 앨범 <Corinne Bailey Rae>. 데뷔 앨범 한 장이 그녀를 스타로 만들었다. ‘소울풀한 노라 존스’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노라 존스와의 비교마저 찬사로 여겨지지 않을 만큼 역량 있는 보컬이다. 재즈와 포크, R&B와 소울, 팝의 감성을 황금비율로 섞은 음악은 기교를 줄이고 서툰 모방을 없앤 그녀만의 목소리에 썩 잘 어울린다. 대중성과 완성도를 고루 갖춘, 다들 말은 쉽게 하지만 쉽게 이르지는 못하는 경지에 이 소녀는 이미 올라 있다. 더구나 가을, 재즈 보컬이 절로 그리워지는 철이다.

그러나 가을 서정이 아무리 짙어져도, 올해 한국의 음악팬들은 여름의 흥분을 잊기 어려울 것이다. 지난 8월 열렸던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은 처음 만나는 3일간의 잔치를 통해 지우기 힘든 도취를 선사해줬다. 헤드라이너로 나섰던 스트록스와 프란츠 퍼디난드, 블랙 아이드 피스의 공연도 훌륭했지만 뜻밖의 발견은 세컨트 스테이지에 섰던 제임스 므라즈. 페스티벌 덕분에 4년 전 나왔던 제임스 므라즈의 데뷔 앨범 <Waiting for My Rocket to Come>까지 올해 라이선스 발매됐다. 미국식 록을 토대로 삼긴 했으나 이 청년의 머릿속에는 음악의 장르 구분이라는 게 본디 없어 보인다. 포크와 재즈, 팝과 힙합, 일렉트로니카에 보사노바까지 왕성히 끌어들이는 혼성 모험가. 그런데도 가사는 어찌나 애틋하게 가슴을 저며 오는지, 그의 방향을 가늠할 길이 없다. 므라즈의 이름이 각인됐다면, 작년에 순서를 바꿔 국내 발매됐던 2집 <Mr. A-Z>까지 챙겨 보는 것도 좋겠다.

펜타포트의 추억이라면 플라시보 또한 빠뜨릴 수 없다. 여름밤 야외무대에서 펼쳐진 그들의 공연이 훌륭했는지 아닌지, 그런 건 사실 중요치 않다. 무려 10년을 기다렸다. 플라시보는 동명 데뷔 앨범 <Placebo>(1996)로 단숨에 영국음악계의 혜성으로 떠올랐다. 그들은 10년 동안 천천히 세계를 중독 시키며 퇴폐와 상실의 늪으로 청자들을 이끌었다. 그런 카리스마를 확인하는 자리는 거기 있을 수 있다는 것으로 충분했다. 기억을 지우기 않기 위해, 또는 그 자리에 있지 못한 것을 보충하기 위해 올해 봄 발매된 플라시보의 <Meds>를 더욱 곱씹는다. 10년 동안 잘 숙성된 플라시보표 음악이 가득하다. 추석 직전에는 10주년 기념 앨범 또한 발매를 계획하고 있다 전한다.

하지만 10년쯤의 음악 인생이 대수롭지 않게 여겨질 때가 있다. 반세기를 음악과 함께 살아온 드문 뮤지션들에게 음악은 곧 삶이다. 노장이라 불리는 이들은 많다. 그러나 월드뮤직의 대모와 대부인 세자리아 에보라와 베보 발데스만큼 음악의 변방에서 제 힘으로 선, 힘 있는 뮤지션은 드물다. 두 거장은 모두 올해 모두 새 앨범을 발표했다. 매번 이것이 마지막일지 모른다는 불안감으로 그들의 신보를 기다리지만, 그들은 언제나 우리보다 젊고 당당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아프리카의 작은 나라 카보 베르데 출신으로, 한 많은 나라와 한 많은 생을 고스란히 음악으로 녹여내는 노년의 뮤지션 세자리아 에보라의 <Rogamar>는 애수와 희망이 교차하는 바닷가의 노래를 들려준다. 들을 때마다 눈이 젖고 다시 들을 때에는 마음이 출렁인다. 쿠바음악의 생생한 전설 베보 발데스는 이제 나이가 아흔에 가깝다. 평생을 피아니스트로 살아왔지만 피아노 솔로 앨범은 그조차도 이번이 처음. 베보 발데스의 <Bebo>는 쿠바 재즈의 고전들을 가져오면서 쿠바의 전통을 충실히 따른다. 17개의 트랙이 하나같이 빛나고 모두가 정교한 보석과 같다. 월드뮤직이 낯선 이라도, 이들을 놓치는 건 아까운 일이다.

컴필레이션 앨범 <아가미>는 올해 발매된 앨범 중, 가장 훌륭하지는 않을지라도 가장 새롭고 주목할 만한 시도다. 젊은 뮤지션 정재일이 프로듀서를 맡은 이 앨범은, 2000년대 한복판에서 난데없이 튀어 나온 민중가요 모음집이다. 70, 80년대의 한 많은 시절, 입에서 입으로 전해졌던 피 끓는 노래들이 지금, 한대수, 이적, 윈디시티, 스윗소로우, 전제덕 등 다양한 뮤지션들의 입을 통해 불려진다. 참여한 이에 따라 곡에 따라 편차가 있는 건 사실이지만, 이런 돌출 행동이 많아질수록 우리 음악계도 풍성해질 수 있다. 추석과 민중가요의 조합이 썩 어울리지는 않지만, 징검다리 휴일이 끼어 어느 때보다 기나긴 연휴라면 고정관념을 깨볼 여유도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색소폰의 거인, 존 콜트레인 대표작 10선

1967년, 41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난 색소폰의 거인 존 콜트레인은 재즈사가 기억하는 대가들 중 하나다. 1955년, 마일스 데이비스 퀸텟의 멤버로 가입한 존 콜트레인은 주류 재즈 무대에 등장하며 얼마 후에 맞게 될 무한한 비상을 위한 치열한 연주 내공을 쌓아간다.

그로부터 10년, 존 콜트레인은 짧지만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신화로 남게 된다. 쉬츠 오브 사운드(Sheets of sound)라 명명된 스피드와 테크닉의 한계를 뛰어넘은 한 연주 기법, 재즈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펼쳐놓은 그의 클래식 쿼텟 (Classic Quartet) 을 통해 존 콜트레인은 모던재즈의 가장 찬란한 분수령을 일궜다.

이런 가공할만한 음악적 성과에 더해 존 콜트레인은 '재즈 정신'(Jazz Spirit)의 표상이기도 했다. 1960년대 초, 공민권 운동으로 대변되는 흑인 민중들의 아우성을 존 콜트레인은 자신의 색소폰 연주로 승화해 낸다. 그의 대표작이기도 한
(1964) 은 무한 자유의 예술 재즈를 통해 억압과 차별로 얼룩진 흑인 사회에 찬란한 서광이 되 주었다.

올해 9월 23일은 존 콜트레인 탄생 80주년이 되는 날이다. 짧지만 굵었던 그의 발자취를 지금 소개하는 10장의 대표작을 통해 찬찬히 음미해보는 시간을 마련했으면 한다.



1. Lush life(1957) -Fantasy/Prestige

마일스 데이비스의 그늘을 벗어난 존 콜트레인의 독자적인 음악성이 감지되는 작품. 유창하고도 감성 짙은 테너 색소폰의 울림을 선사한 앨범은 발라드 연주 'Like some in love' , 'Lush Life'로 모던 재즈사의 위대한 출발을 감행한다.




2. Blue Train (1957) -Blue Note

블루노트에서 발표한 그의 유일한 작품이자 모던 재즈계에 길이 남을 명반으로 칭송되는 작품. 진한 여운을 발하는 대곡 'Blue Train' 하나만으로도 앨범의 가치는 빛난다. 50년대 후반, 주류 재즈계의 콜트레인 돌풍을 예고한 앨범 'Blue Train'은 향후 10년간 이어질 존 콜트레인 신화의 신호탄이었다.




3. Soultrane(1958)-Fantasy/Prestige

국내에 처음으로 라이센스로 소개된 콜트레인의 앨범. 'Lush life'에 이어 레드 갈란드(p)와 폴 체임버스(b)의 공력이 진가를 발휘하며 하드 밥의 열기를 뿜어낸다. 종횡무진 리듬의 생기로 넘실대는 'Russian Lullaby', 'You say you care' , 사랑스런 발라드 연주 'Theme for Ernie'가 귀에 아른거린다.




4. Giant Steps(1959)-Antlantic

같은 해 마일스 데이비스가 발표한 문제작 'Kind of Blue'에 비견될 모던 재즈의 위대한 발자취다. 파격적인 대우로 소속사를 아틀랜틱으로 옮긴 존은 코드나 형식에 구애받지 않은 파격적인 즉흥연주를 창조해낸다. 타이틀 곡 'Giant steps'는 코드를 여러 겹 쌓아올린듯한 음의 장관을 그려낸 존의 새로운 시도를 선보이며 훗날 음의 덩어리, 이름 하여 '쉬츠 오브 사운드(Sheets of sound)' 로 명명된다.


5. My favorite thing(1960)-Atlantic

대중적인 레퍼토리로 포진되며 지금껏 가장 사랑받는 존의 걸작. 그가 작곡한 아름다운 발라드 연주 'Everytime we say goodbye'가 주목받았고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에서도 소개된 사랑스런 연주 'My favorite thing'은 싱글로도 커팅되 차트에 진입하는 성과도 올린다. 당시로선 5만장이란 경이적인 판매고를 기록한 앨범은 그가 본격적으로 소프라노 색소폰 연주를 소개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6. Avant-Garde(with Don Cherry; 1960)-Atlantic

프리재즈 운동의 기수였던 트럼펫터 돈 체리와 협연한 존 콜트레인의 프리 재즈 신고작. 모던 재즈계의 파란을 일으킨 색소폰주자 오넷 콜먼과 그의 친구들을 향한 오마주격인 이 작품은 향후 프리-아방가르드로 변모해 갈 그의 음악성을 예고해줬다. 앨범은 대중성 부재라는 취약성으로 인해 녹음된 지 6년이 지난 1966년에서야 발매됐다.



7. Afric/Brass(1961)-Impulse!

맥코이 타이너(p), 엘빈 존슨(dr), 지미 개리슨(b)로 구성된 존 콜트레인 클래식 쿼텟(Classic Quartet)의 실체를 드러낸 임펄스! 레이블 데뷔작. 재즈야말로 흑인성의 진정한 발현이란 나름의 고민을 야심차게 표출한 앨범은 아프리카 리듬과 인도 라가 선법을 소개하며 이전 그의 작품서 접할 수 없었던 실험적 사운드로 가득하다. 다양한 관악기가 이합 집산되며 장엄한 스펙터클을 발하는 'Greensleeves'는 앨범 중 단연 백미다.


8. John Coltrane & Duke Ellington(1962)-Impulse!

재즈 스탠더드 본연의 편안함과 아름다움을 극대화 시킨 걸작. 거장의 반열에 등재된 듀크 엘링턴과 젊은 대가 존 콜트레인의 협연은 'In a sentimental mood'를 통해 재즈사에 가장 아름다운 순간으로 승화된다.





9. John Coltrane & Johnny Hartman(1962)-Impulse!

재즈 보컬리스트와 협연으로 꾸며진 그의 유일한 작품. 크루너(Crooner)의 대사 자니 하트만과의 만남은 재즈 발라드 연주의 전형을 제시했다. 'My one & only love', 'Autumn Serenade'등 포근하게 감싸는 가을빛 재즈 발라드의 진수를 담은 존의 히트 앨범 중 하나.




10. A Love Supremes(1964)-Impulse!

신을 향한 절대적인 믿음을 재즈로 구현한 존 콜트레인의 음악성의 분수령. 아울러 공민권 운동을 통한 흑인 사회의 아우성을 표출한 4부작 컨셉 앨범. 재즈를 통해 흑인 음악의 본령 가스펠의 심오함을 담아내는 'A love Supremes'는 재즈의 영역을 뛰어 넘어 아프로 아메리칸 뮤직의 정체성을 확고히 한 기념비적 작품으로 추대되고 있다.



  2006/09 정우식 (jasbsoy@hanmail.ne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비연 > [알라딘 벤트] 우수 리뷰 선발대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서재지기 > [이벤트] 알라딘 서재 가을 이벤트 "책 + 책"

[마이페이퍼 쓰고 참여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이매지 > [인사동]푸짐한 한정식, 우정











인사동 한 골목길에 있는 푸짐하고 정갈한 한정식집.
들어가면서부터 나올때까지 '우정'을 함께한다.
 
오래된 한옥집으로 푸근함이 먼저 다가온다.
커다란 상에 세팅이 되는데 나오는 반찬 하나 하나가 다 예사롭지 않다.
 
가장 먼저 맛본 것은 김치. 약간 묵은것인데도 깔끔함이 묻어난다. 시원한 무김치도 짜지 않고 간간하다. 이 김치만 두번이나 추가해 먹었다.
 
찬들은 대표적인 것만 짚어보겠다. 무려 20여가지가 훨 넘기 때문에...
 
통통한 낙지와 오징어...특히 낙지의 통통함은 예술적이다. 땡그르함이 절로 느겨진다. 입안에서의 쫄깃함은 물론이고..
 
가자미식해는 푹 삭히지 않아 무게감이 느껴지지는 않으나 상큼하고 아삭한 식감이 난다. 식해를 잘 대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부담이 없을 것 같다.
 
호박과 가지는 샌드위치 식으로 속에 오징어, 새우 등의 해물을 넣은 것 같다. 새우젓으로 간을 했는데 짭쪼름하니 꽤 입에 당기는 맛이다. 가지도 마찬가지...
 
바싹불고기 또는 떡갈비 스타일의 불고기는 쥬이시한 육즙이 느껴진다. 생마늘 한개와 함께 먹으니 더욱 좋다. 몇번 더 젓가락이 가고야 말았다.
 
된장 우거지국에는 매운고추가 들어있다. 구수한 된장내에 묻어나는 우거지가 참으로 마음에 든다. 사실 이 거 하나만 있어도 밥 한 그릇 뚝딱할 정도이다.
 
굴비, 북어찜, 대구조림, 삼치조림 등 네가지 생선이 나온다. 각각이 다 제 맛을 낸다. 특히 삼치조림 토막은 크기가 엄청나다. 심심하고 부드러운 속살이 마음에 든다..(도무지 마음에 안드는게 모가 있는지....ㅋㅋㅋ)
 
콜라겐이 많다는 도가니와 스지는 인기품목이었다.
 
간장게장도 살이 탱탱하게 들어있다. 약간 짭조름함이 강하나 지나칠 정도는 아니다. 속살부터 발라 먹은 후 게뚜껑에 밥을 말아준다. 사실 여기 밥 안말아 먹으면 간장게장을 먹은 것 같지 않다. 껍질에 붙은 내장까지 박박 긁어 먹는다.
 
된장찌개도 구수하고 얼큰했는데...아쉽게 사진에는 없다..
(그 순간 먹기 바빠서리...ㅎㅎㅎ)
 
마무리는 누룽지가 나온다. 여기에 고추장 멸치볶음을 탁하니 얹어서 같이 먹는 맛이 제대로다.
 
다이어트해야한다고 늘 생각은 하는데.... 여기서는 다이어트를 할 수가 없다. 한가지씩만 먹어봐도 배가 안부를 수 없는 시스템이다.
 
반찬 및 요리, 국, 찌개들을 정확히 세어보지는 못했으나 한 25가지 정도가 되는 것 같다.
 
가끔 단골에게는 더 푸짐하고..단골이 아닌 경우.. 그렇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사진에서 보는 것 같은 맛과 퀄리티가 유지된다면 꽤 자주 찾아주고 싶은 집이다.
 
 
 
가격 정식 2만원
전화 732-9675
위치 인사동 크라운베이커리 바로 옆골목
 
쭌의 맛평가 ★★★★


출처 : http://paper.cyworld.nate.com/yesi/1800571/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6-09-26 1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생각보다 사람들이 붐비는 한옥집으로 기억해요. 아주 감동스럽진 않지만 그렇다고 빠지지도 않는 집이었어요.

2006-09-26 10: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비로그인 2006-09-27 19: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연달아서 댓글을 남기게 되는군요. 후훗
책은 오늘 오전에 보냈습니다. 추석이라 배송이 밀릴지도 모른다는 협박을 받았지만, 그래도 무사히 잘 도착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