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haven‘t changed at all. - P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의 해석 - 개정판, 무의식의 세계를 열어젖힌 정신분석의 보고 돋을새김 푸른책장 시리즈 8
지크문트 프로이트 지음, 이환 옮김 / 돋을새김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앞서 읽었던 멘탈 트레이닝 플러스에서 참고문헌으로 나와 있어 읽어보고 싶었습니다.

나는 꿈을 많이 꾸어도 그리 의미부여하지 않고 개꿈이라 생각하는 대신 신랑은 꿈에 의미부여를 많이 하는 편인지라 꿈얘기를 듣고 어떤 일이 정말 의미가 되는 일이면 그러네 하면서 신기해하기도 했는데,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개꿈이라 생각했던 나도 이 책을 읽고보니 꿈에 대해 한번 생각해 보게 되기도 했습니다.

20세기에 아인슈타인이 과학적 인식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했다면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 구조를 인식하는 데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기했다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의사이면서 정신의학, 사회심리학, 문화인류학, 교육학, 범죄학 등의 여러 분야에서 영향을 끼친 정신분석의 창시자입니다.

이 책은 총 7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장에서 꿈이 무엇이고 어떻게 꿈이 생성되는지

두번째 장 꿈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

세 번째 장에서 성인과 아동의 꿈을 나눠 설명하고

네 번째 꿈의 왜곡 현상에 대해 말합니다.

다섯 번째 '꿈의 재료와 출처'에서 꿈이 어떻게 생성되는지

여섯 번째 꿈의 작업

일곱 번째 꿈 과정의 심리학으로 꿈이 형성될 때 작용하는 정신 과정에 대해 알아봅니다.



우리는 결국 예기치 못한 심리적 자극 원인을 발견함으로써 그것이 꿈을 낳게 하는 동기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47)


꿈의 속성을 이해하지 않으면 우리는 꿈을 결코 이해할 수 없다. (96)


사소한 인상이 꿈의 내용을 지배하는 것 같은 인상은 전적으로 꿈에서의 왜곡 현상 때문이다.

잠재된 꿈의 내용과 드러난 꿈의 내용 사이에 걸쳐져 있는 연결고리를 파악할 수 있다. 이것이 꿈을 해석하는 데 있어 중요한 관건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112)


꿈에서의 압축은 말과 명칭을 선택할 때 가장 분명하게 드러난다. 일반적으로 꿈은 언어를 사물처럼 다룰 때가 많다. 그런 경우 사물에 대한 표상처럼 언어를 조립해 희극적이고 기묘한 낱말들이 탄생한다. (160)


꿈은 묘사하기 어려운 꿈의 재료들을 어떤 방식으로 암시하는 것일까? 먼저 꿈은 이 재료들을 총괄해 하나의 사건이나 상황으로 통합하여 전체적으로 보여준다. 꿈은 '논리적 관계'를 '동시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한다. 마치 라파엘로의 벽화처럼, 한 무리의 철학자나 시인들을 아테네 학당에 모아놓은 화가의 방식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166)


같은 꿈의 재료를 서로 다른 관점에서 묘사하고 있는 듯한 꿈들도 있다.

두 개의 꿈이 서로 다른 꿈의 재료에서 생겨나 교차하는 경우도 있다. (168)


꿈의 선명도를 결정하는 강도는 서로 무관한 두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우선 소망충족을 표현하는 요소들이 강도 높게 묘사된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178)


꿈에서 무슨 일을 할 수 없다는 것은 반대의 표현, 즉 '아니오'를 의미한다. 그것은 어떤 의지에 반발하는 대립 의지이다.

어린시절의 사건은 원래대로 부활하지 않는다. 다만 꿈으로만 재현될 뿐이다. (242)


꿈의 과정은 무의식의 소망 충족이라는 단계를 밟는다. 그러나 무의식의 소망 충족 시도가 평정을 위협할 정도로 전의식을 뒤흔들게 되면 꿈은 즉시 중단되고, 각성된 전의식이 꿈을 지배한다. (257)


꿈이 꿈만의 독자적 유물이라기보다는 낮에도 활동하는 무의식적 사고에 빚지고 있다는 쪽으로 인식의 지평을 넓혀야 하는 것이다. (265)


꿈이라는 정신활동을 무의식으로 설명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면서 심리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 프로이트는 억압된 본능은 사라지지 않고 언젠가는 자신에게 돌아오기에 자신의 무의식에 귀를 기울일 때 자신의 삶의 진정성으로 살아갈 수 있다고 말합니다.

https://blog.naver.com/juniuscho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별한다는 것에 대하여 - 상실한 사람들을 위한 애도심리학
채정호 지음 / 생각속의집 / 201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카톨릭대 정신과 교수이자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과장이신 채정호교수님께서 상실한 사람들을 위해 상실로 인한 7가지 심리적인 문제들, 상실의 슬픔을 잘 떠나보는 법, 상실 후에 새로운 나를 만나는 법들을 안내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에 상실의 순간을 맞이하고 싶지 않더라도 상실의 순간은 피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제가 처음 상실을 경험했을 때는 초등학교 3학년 때 같이 살던 할머니가 돌아가셨을 때입니다. 더이상 할머니를 볼 수 없다는 괴로움은 중학교 다니는 때까지 영향이 미쳤던 것 같습니다. 아마도 어렸을 때 혼날 때마다 할머니께서 막아주시고, 감싸주시고, 위로를 할머니에게서 받다가 나를 더이상 감싸주는 사람이 없어 할머니가 더 생각나지 않았나합니다.


그 후로 주변의 누가누가 떠나간 사람들이 있었지만, 내게 크게 와 닿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7년 여 전 엄마가 쓰러지시면서 시한부 삶이 되면서 엄마가 언젠가는 떠나가시겠다는 생각을 했었지만 생각을 한 것과 실제 떠나버린 후의 느낌은 달랐습니다. 물론 나는 가정을 이루고 있기에 내 가정에서 살아가야 하니 바쁜 날들을 보내면서도 불쑥 불쑥 엄마 생각이 간절하게 납니다.


엄마가 생각나게 되면 피아노 앞에 앉아 엄마가 들어주셨던 피아노곡을 칩니다.

엄마가 음악을 한 것도 아니고 음악에 대해 아는 바가 없었지만, 내가 피아노를 칠 수 있었던 것은 엄마가 도와줬고, 내가 하고 싶어하던 것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신 분이시기에 내가 원하는 것 실컷 하면서 이 길로 성공하길 바라셨지만, 성공적인 일이 되진 않았을지라도 혼자 있게 된 나를 위해 나의 슬픔을 피아노로 치면서 달랠 수 있도록 해 주신 것인가. 앞으로 다시는 피아노 앞에 앉게 될 일이 없을 것 같은 느낌이었지만 다시 앉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별은 누구에게나 슬픈 일이지만 그 슬픔으로 인해 언제까지 우울해있어야만 할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내 주변 사람들과도 평생 같이 살 수 없듯 언젠가는 다 이별할게 되어있는 건 사실이듯, 잃어버리는 것에 익숙해지고 견디면서 사람은 성장해 가는 것 같습니다. 지금의 내 삶에 감사하고, 과거에 집착보다 내 삶의 우선순위를 점검하면서 삶의 방향을 새롭게 그릴 수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https://blog.naver.com/juniuscho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y I have your name? - P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m honored to meet you.
The pleasure is mine. - P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