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어렸을 적엔... - 첫번째 이야기
이승은 외 작품, 권대웅 글, 여동완 사진 / 이레 / 2001년 2월
평점 :
절판


닥종이 인형도 아니고 지점토 인형도 아닌 꺼끌꺼끌한 느낌을 주는 천으로 만든 인형이 정겹다. 코가 낮고 눈이 작은 것이 더 마음을 끈다. 인형제작자 부부께서 옛 시절을 느끼게 해주는 동시도 소개해주고, 동시의 분위기에 걸맞는 인형들도 보여주고 있어서 재미있게 읽었다. 옷이야 손으로 일일이 꼬매고, 나무 소품도 깍아서 만들었다지만 오래된 만화책이나 영화 포스터, 광고는 어떻게 만들어 붙였을까? 축소 복사를 여러번 했을까? 설마 인형을 실물 크기로 만들었을리는 없고... 오래된 라이언 재봉틀은 무엇으로 만들었을까? 넘 궁금하다.

중국집에서 아이들만 자장면을 시켜주고 엄마는 구경만하는 모습도 아름답고, 사람 없는 한적한 중국집이지만 자장면 두 그릇밖에 못 시켜먹어서 미안한 마음에 구석자리에 앉는 겸손한 어머니의 모습을 볼 수 있어서 정말 반가웠다. 책의 내용 중 이상국님의 시 '국수가 먹고 싶다' 중에서 '세상은 큰 잔칫집 같아도 어느 곳에선가 늘 울고 싶은 사람들이 있어'라는 부분이 마음에 와 닿았다. 가벼운 마음으로 즐겁게 읽기에 참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뭐가 들었지? 비룡소 아기 그림책 4
박은영 글, 그림 / 비룡소 / 2001년 5월
평점 :
품절


붓자국이 보일 정도로 별로 힘 안들이고 그린 그림같이 보이지만 이런 그림일수록 더 신경써서 그린 그림이라는 느낌이 든다. 뚜껑이 덮여있는 빨간 통! 약간은 찌그러진 것처럼 보이는 통에 무엇이 들었을지 생쥐는 너무 궁금하다. 삐죽 보이는 얼룩무늬를 보니 얼룩말같기도하고, 삐죽삐죽 긴 발톱을 보니 사자같기도 하고, 번쩍번쩍 빛나는 눈을 보니 부엉이같기도 하고, 긴 꼬리를 보니 악어같기도 하단다. 쥐의 엄청난 호기심은 결국 통을 넘어뜨리고 그 안에서 튀어나온 주인공은? 바로.... 누굴까요? 생쥐가 부분부분을 보고 상상하는 동물이 바로 다음장에 그려져 있어서 재미있기는 하지만 약간 산만해보이는 그림이 아이의 흥미를 끌지는 못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 그림을 보면 물감을 군데군데 묻힌 고양이라고 정체가 밝혀지기는 하는데 아이가 튀어 나오는 고양이를 보고도 좋아하지 않아서 서운했다. 우리 아이만 그런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럴드와 마법의 정원 해럴드 시리즈 2
크로켓 존슨 지음, 서애경 옮김 / 비룡소 / 200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귀여운 아기가 자주색 크레파스 하나를 가지고 너무너무 멋진 그림을 그리며 상상 속의 여행을 한다. 작은 아기가 어쩜 그리도 그림을 잘 그리는지... 아이가 크레파스를 가지고 움직이면 성도 나오고 임금님도 나오고 거인 마녀도 나온다. 모기떼, 장작불도 타오르게 하는데 비가 내리게 하는 것쯤이야.... 정말 이렇게 신기한 크레파스가 있어서 원하는 것을 만들어낼 수 있으면 좋겠다. 지은이 크로켓 존슨에 대한 설명을 읽어보니 해럴드라는 아이가 나오는 책이 시리즈라고 한다. 나는 그동안 이 책을 모르고 뭐했지? 이 책을 계기로 The carrot seed, How to make an Earthquake, The happy egg도 읽어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해럴드 시리즈와 바너비 시리즈를 다 읽어보아야겠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독특하고 좋은 책이다. 진지한 아기의 얼굴 표정이 너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빠랑 똑같네 벨 이마주 32
캐서린 앤홀트 그림, 로렌스 앤홀트 글, 이상희 옮김 / 중앙출판사(중앙미디어) / 2002년 8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사주고 처음에는 읽어주지 않고 아이 혼자 들춰보게 내버려 두었다. 내가 읽어준 줄거리를 기억하고 보는 것보다 그림을 보면서 혼자 생각할 시간을 주기 위해서... 내가 여섯살이나 된 아이에게 한글을 가르치지 않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 이제 막 논리적으로 생각하기 시작한 아이에게 눈으로 보이는 글자나 현실만을 보지 말고, 뭐라고 써 있을까 궁금해하고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주기 위해서 말이다. 유아교재 파는 분들이 본다면 웃긴다고 하겠지만 말이다.

어쨋든, 며칠 만에 내가 이 책을 읽어주겠다고 하자 아이는 나에게 먼저 설명을 한다. 이 책 보면 누가 계속 따라 다닌다고.... 무슨 뜻인가하면 아이 사자가 밀림 속으로 들어가 여러 친구들을 만나고 그 친구들처럼 행동해보고 노는 동안 아빠 사자가 계속 뒤따라 다닌다는 뜻이다. 아이는 그 사자가 아빠사자인지 뭔지는 모르지만 주인공 아기사자를 계속 따라다닌다는 것을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 콩알만하게 그려진 아빠 사자를...

내가 두번째로 읽어주려고 하자 아이는 누나에게 설명을 한다. 아기사자가 한 행동들을 누나에게 설명해주는 것이다. 이럴 때 책 사준 돈 뽑는다는 생각으로 기쁘다!!!! 아기 사자가 새로운 친구들을 만날 때마다 친구를 흉내내는데 아이에게 여러분도 해보라고 할수 있냐고 물어보는 것이 재미있다. 읽을수록 아이가 재미있어한다. 마지막 장면에서 아기 사자가 아빠 사자 배위에서 자는 모습을 보고는 아이가 너무 만족스러워한다. 남보다 조금 느리게 가도 절대 손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빨간 우체통이 전해준 사랑이야기
나이테 지음, 백명식 그림 / 다산교육 / 2001년 3월
평점 :
절판


이 책에는 네 편의 짧지도 길지도 않은 이야기가 나온다. 네 편에 나오는 아이들 모두 다 만나서 한번씩 꼭 안아주고 싶다. 아무 말도 필요없이 아무 위로도 필요없이 그냥 안아주고 싶은 아이들. 이 아이들의 외로움과 속상한 마음을 어떻게 다 말로 위로해줄수 있을까? 몸이 불편한 형을 보고 마음 아파하는 동생 솔찬이, 동생과 함께 고아원에 살고 있는 세영이, 소녀가장이 된 누나와 함께 사는 동민이, 섬에서 할머니와 외롭게 살고 있는 해동이의 외로움을 어떻게 매꿔줄 수 있을까... 왜 아무 걱정없이 천진난만하게 즐거운 시절을 보내야 하는 아이들에게 이렇게 어려운 일이 생기는지 속상하다. 잘 사는 집 아이들은 공부에 허덕이며 살고, 못 사는 집 아이들은 구겨진 자존심을 펴느라 힘들게 살고...

세상은 너무 불공평하다. 그러나 남의 집 눈칫밥을 8년이나 먹으며 살아본 내가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고생을 하고 살면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고생하지 않고 살아온 사람들보다 훨씬 깊고 큰 눈으로 세상을 보게된다는 것이다. 옥동자의 말처럼 그런 못생긴 얼굴은 아무나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옥동자만의 피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젊어 고생은 사서 한다는 말도 있듯이 고생하지 않은 사람하고는 인생을 말할 수가 없다. 아무리 좋은 이야기를 해줘도 그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한다.

동민이,세영이,솔찬이,해동이 모두 나중에 큰 사람이 되려고 남보다 조금은 힘들고 외로운 시절을 보내는 것이 틀림없다. 아이들에게 꼭 읽어보라고 권해주고 싶다. 엄마들에게도 권해주고 싶다. 아이들은 100% 만족을 주는 환경에서 키우는 것이 아니라 30%의 시장기와 30%의 추위를 느끼게 해주는 것이 진정한 자식 사랑의 길이라는 것을 알게 말이다. 이 말은 내가 하는 말이 아니고 일본의 유명한 유학자 가이바라 에키켄이 하신 말씀이다. 진짜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