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밥 해 먹기 - 윤기현 선생님의 농촌 이야기 1 산하어린이 121
윤기현 지음, 박홍규 그림 / 산하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으며 시간에 쫓기며 사는 우리 아이들이 너무 불쌍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아이들이 달걀밥을 만드는 과정을 보면 일일이 달걀에 구멍을 뚫어서 삼분의 이는 마셔버리고 삼분의일만 남은 달걀에 밥과 물과 참기름을 넣고 천으로 싸서 황토를 발라서 천천히 익혀야 하는데 우리 아이들에게 재료를 준비해주어도 이렇게 천천히 만들고 익혀 먹을 시간이 있겠느냐 하는 생각이 드니 어른보다 바쁜 아이들의 현실이 답답하게 느껴졌다.

시간에 쫓기며 정해진 일만 하며 살아온 요즘 아이들을 산에 데려다 놓고 놀으라고 해도 가만히 서 있을 것이 뻔하다. 뭐 본게 있고 해 본게 있어야 지들끼리 어울려서 놀지.... 주입식으로 지식만을 암기시키고 시험 백점 맞았다고 좋아할 것이 아니라 생각하고 느낄 수 있는 시간을 아이들에게 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들 스스로 보고 느끼고 생각할 수 있도록 말이다.

각자 집에서 먹을 것을 모아와서 함께 어울려 먹는 아이들의 모습, 맛있다고 나만 다 먹어버리면 다른 아이들과 어울릴 수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니 만큼 함께 어울리고 함께 먹는다는 생각을 몸으로 터득해야 왕따라는 사회적인 문제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런 좋은 책이 나오면 뭐하나? 정작 아이들은 읽을 시간이 없는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 동생하나 만들어 주세요 - 우리창작 1
소중애 지음 / 지경사 / 2001년 5월
평점 :
절판


남의 동생은 이뻐보이고 내 동생은 지긋지긋한 훼방꾼에 경쟁자에 떼쟁이라고 생각하는 아이들. 영원히 풀 수 없는 숙제일까? 동생의 소중함과 필요성을 느낄 수 있는 사건이 생기지 않는한 동생에 대한 형아들의 마음은 언제나 불만투성이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싸우면서 드는 정이 더 무섭다고 동생이 하루만 없어도 허전하고 심심해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면 더 재미있고 기특하고 안쓰럽다.

근배와 근배의 동생 두배를 보며 울고 웃는 겸이의 모습이 재미있고 동생과 함께 부딪히고 싸우는 겸이의 모습이 꼭 내 아이들 모습과 같아서 재미있었다. 있으면 귀찮고 없으면 허전한 동생이라는 존재... 형아,언니,누나들의 영원한 고민이 아닐까 싶다. 해뜸이와 겸이의 사랑스런 모습을 보며 잠시동안 시름을 잊을 수 있어서 참 좋았다. 즐겁고 재미있고 기분좋은 책을 만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절초와 흰 호랑이
차보금 지음, 김소영 그림 / 지경사 / 2001년 8월
평점 :
품절


작고 약한 들꽃이 커다랗고 힘센 호랑이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모습이 대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남들이 보기에는 몸집은 커다랗고 힘센 흰호랑이지만 여리고 순수한 마음을 가진 호랑이를 위하는 구절초의 마음이 호랑이의 몸짓 못지않게 크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백수의 왕인 호랑이가 바다를 보고싶어 하는 구절초를 위해 구절초를 조심스럽게 입에 물고 산정상으로 올라가는 모습도 멋있고 말이다. 구절초와 흰호랑이가 서로를 위해주고 배려해 주는 마음이 정말 기특하고 아름다웠다.

눈을 보겠다는 신념을 가지고 추위와 비바람을 이겨냈던 구절초가 흰호랑이와 함께 할 수 있는 호랑이 친구를 찾아주기 위해 자신의 꽃잎을 날리는 모습은 사람보다 낫다는 생각도 들게 해주었다. 구절초의 희생으로 흰호랑이가 동반자를 만나게 되어서 나도 기뻤다. 마치 어린왕자의 한 장면을 보는 것 같이 서로의 이름을 지어주는 호랑이와 구절초의 모습도 인상적이었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이 네임 이즈 민 캐빈 - 눈높이 어린이 문고 64 눈높이 어린이 문고 64
안선모 지음, 강봉승 그림 / 대교출판 / 200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인 아버지와 미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캐빈. 캐빈의 할아버지는 파란눈의 며느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하시며 캐빈이 클 때까지 캐빈과 캐빈의 어머니, 아들까지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나 점점 나이가 들어가면서 손자가 그립고 아들이 그리운 마음에 캐빈을 받아들이게 된다.

미국에 사는 캐빈을 한국에 와서 1년만 살라고 하시는 것이다. 그러나 결국은 캐빈을 통해 캐빈의 엄마와 아빠를 받아들일 것이라는 것은 기정사실아닐까 싶다. 할아버지의 마음이 변할 것이라는 것을 미리 느끼면서 읽었기에 큰 갈등이 있을 것도 없어서 편하게 읽을 수 있었다. 다만 아무리 한국인 아버지의 철저한 교육을 받았더라도 태어나면서 미국에 살았던 캐빈이 한국에 와서 너무 적응을 잘해서 이해가 되지 않았다.

책을 읽는 동안 문득문득 이 아이가 미국에서 온 애가 맞나 싶을 정도로 너무 한국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할아버지가 마음이 변화된 계기도 너무 단순해서 심심했다고나 할까? 오랜 세월 마음의 문을 닫았던 할아버지가 그렇게 자상한 편지를 쓰다니 좀 이상했다. 요즘 교포들이 쓴 책, 교포사회의 아이들에 관한 책이 많이 나오려는 조짐이 보이는데 갈등구조가 좀 더 명확하고 카타르시르를 느낄 명분이 분명한 이야기가 나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발 속에 사는 악어 사계절 저학년문고 12
위기철 지음, 안미영 그림 / 사계절 / 199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아홉살 인생의 위기철님이 자신의 아이에게 잔소리하고 싶은 마음을 참으며 지어 보셨다는 이야기들이 나온다. 아이에게 일방적으로 잔소리를 하는 것보다 재미있고 교훈적인 이야기를 통해 스스로 느끼게 해준다는 좋은 뜻이 들어 있어서 참 좋았다. 어떤 때는 내가 잔소리를 하면서도 짜증나고 답답할 때가 있는데 위기철님의 아이디어가 참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 전체적인 느낌은 옛날 이야기를 듣는 것같이 재미있고 신나고 지루하지 않았다.

남의 탓만 하는 호랑이 이야기, 곶감이 무서워서 처마 밑에서 벌벌 떨고 서있는 무서운 동물들의 모습, 버릇없는 아이를 혼내주자는 이야기가 특히 재미있었다. 끝이 없이 나오는 가래떡을 먹느라 나이를 먹어버린 호랑이 이야기와 임님금 코가 퉁퉁 부은 까닭이 결국은 임금님이 방귀를 뀐 장군을 혼내준데 있다는 이야기는 정말 재치가 반짝반짝 빛난다는 생각이 들었다. 남과 다른 생각을 해본다는 것이 역시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에게 색다른 느낌의 이야기를 들려 줄 수 있는 너무 재미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