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 광활한 인간 정도전 1 소설 조선왕조실록 1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 체제의 혁신을 꾀한 정몽주와 낡은 체제를 버리고 새로운 체제를 세우고자 한 정도전은 그들이 함께 한 혁명의 정신은 같았으나 혁명을 실천하는 결이 너무나 달랐다. 두 정치가에게 이성계는 현 체제를 혁신할 수 있는 힘이자 현 체제를 파하고 새로운 체제를 세울 양날의 검이었다.

정도전은 정몽주를 거문고의 명인 백아가 종자기를 생각하듯 했지만, 정치가로서 목표한 꿈이 달랐기에 정적이 되어 냉혹한 결말을 맞이하게 된다. 백아는 종자기의 죽음에 거문고 줄을 끊고 연주를 더이상 하지 않았다지만, 정도전은 정몽주의 죽음에도 조선의 개국에 큰 틀을 세워 냈으니 현실 정치는 참으로 냉혹하다고 할 수 밖에 없다.

소설 혁명은 유배 중인 정도전의 일기를 빌어 조선 건국의 티핑포인트가 된 이성계의 낙마에서 이방원에 의해 정몽주가 격살되기까지의 18일간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흘러간다.

정도전 자신의 유배 일기라는 형식으로 쓰여지기 때문에 이성계와 이방원, 그리고 정몽주 간의 갈등 구조는 자기서사적 틀에 묶여 정도전의 자기 정체성을 강조하는 역할에 그치는 한계점을 드러내어 살짝 아쉬움을 남긴다.

조선을 설계한 정치가 정도전보다는 인간 정도전에 그치는 느낌이라 조선왕조실록 500년을 담아내는 시작이라는 작가의 포부는 좀 과한게 아닌가 싶다. 하지만 소설로써는 잘 쓰여져서 수훨하게 읽히고 무엇보다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르테미스
앤디 위어 지음, 남명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7년 11월
평점 :
품절


‘마션‘처럼 ‘아르테미스‘ 역시 최악의 상황으로 몰린 주인공을 유쾌한 결말로 이끌어 내어 부담없이 재미있게 술술 읽혔다. 철저한 과학적 기술 묘사 역시 여전. 이번 작품도 영화화가 기대된달까. 다만 영화 ‘마션‘처럼 몇몇 인물의 인종을 마음대로 바꾸지는 말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혁명, 광활한 인간 정도전 1 소설 조선왕조실록 1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스템을 무너뜨리는 것은 힘으로 가능하겠으나 새로운 시스템을 세우고 이어지도록 하는 것은 힘만으로는 부족하리라. 그런면에서 정도전은 가히 독보적인 인물임에 틀림없다. 김탁환은 정도전과 한창 혈기방장한 이방원과의 대립을 통해 그의 정치적 식견을 권력을 탐하는 정치꾼이 아니라 치국을 계획하는 큰 안목을 가진 정치가로 그려내고 있다.
문뜩 '육룡이 나르샤'가 연상되는건 나만 그런가? 퓨전 판타지에 가까운 드라마였지만 드라마 속 이성계와 정도전, 그리고 젊은 이방원이 자꾸만 오버랩되어 소설 속 인물들이 더 실감나게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테러호의 악몽 2 버티고 시리즈
댄 시먼스 지음, 김미정 옮김 / 오픈하우스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최근 온난화로 인해 북극해가 따뜻해져서 만년빙이 녹아내리고 한 번도 인간에게 내주지 않았던 빙해의 항로가 열리고 있다고 한다. 2030년이 되면 북극에는 더이상 얼음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는 충격적인 소식마저 들린다.

이런 시대에 여름에도 모든 바다를 꽁꽁 얼려버리는 북극에 대한 소설을 읽고 있으니 기분이 참 묘하다. 댄 시먼스의 필력이 대단한건지 맛깔스레 우리 글로 옮겨낸 역자의 역량이 대단한 건지 소설 속 선원들의 추위와 언제 나타나 덮쳐올지 모르는 괴물에 대한 공포는 시종일관 무겁게 옥죄어져왔다.

부족한 난방과 애초 난방을 무의미하게 만드는 추위, 그리고 보잘 것 없는 기준 이하의 식사가 이어지는 좌절 속에 진작 포기하고 쓰러졌어야 할 선장과 선원들은 내내 묵묵히 평상의 일과처럼 함선을 유지하기 위한 업무를 감내해낸다. 3년을 넘게 말이다!

그런 가운데 잊을만 하면 갑자기 튀어나와 이해불가능한 위력을 발휘하여 종이장처럼 선원들을 찟어발기고 잡아먹고 농락하며 안개처럼 사라지는 괴물의 존재는 존 W. 캠밸 주니어의 단편소설 《Who goes there?('The thing'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되었다.)을 연상하게 했지만, 댄 시먼스의 소설은 시종일관 인간의 발걸음을 거부하는 북극이라는 미지의 자연이 주는 절망감이 주는 심연의 공포에 촞점을 맞추고 있다.

인간의 이해를 뛰어넘는 자연의 경이 앞에 종교에 귀의하듯 자연의 일부분이 되어가는 함장 크로지어의 마지막 반전적 결말은 댄 시먼스가 독자에게 주는 보너스같다.

올 봄, 리틀리 스콧 감독에 의해 AMC를 통해 드라마화되기까지 했으니 댄 시먼스의 필력은 공인된 듯하다. 호러물은 내 취향이 아니지만 용기를 내서 드라마도 도전을 해볼까한다.

그리고, "북극곰을 살립시다!" 우리 시대에 더이상 인간의 발길을 거부하는 만년빙 속 북극은 역사 속 이야기가 될지도 모르겠다.ㅠㅠ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알벨루치 2018-12-24 17: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정샘님 늘 건강하시고 메리크리스마스^^
 
무신론의 시대 - 한국 스켑틱 Skeptic 2018 Vol.15 스켑틱 SKEPTIC 15
스켑틱 협회 편집부 지음 / 바다출판사 / 2018년 9월
평점 :
품절


과학이 주의나 사조를 만나 주관이나 경향을 띄게 될 때 과학은 보편적 인류가 아닌 특정 계층을 보위하고 타 계층을 배척하는 무기가 된다. 유사역사학, 유사과학 등이 입안의 혀 같아서 당장은 욕망의 충족을 주겠으나 혀로 인해 결국 망하게 된다는 교훈을 잊지말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