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프라하 거리에서 울고 다니는 여자
실비 제르맹 지음, 김화영 옮김 / 문학동네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스 소설은 온갖 알레고리로 가득찼다. 알면서도 속은 게 실수라면 실수다. 번역자와 소개글에 혹해 제목을 보이는 그대로 읽어버린 것이다. 내가 아는 가장 매력적인 도시, 프라하 거리에서 울고 다니는 여자의 사연이 궁금했다. 나는 바보다. 오드리토투가 나오는 영화가 그랬고 아멜리 노통브의 소설이 그랬다. 아무리 돌려봐도 이해를 못했다. 또 같은 실수다.  

이 여자는 누구지? 얼굴을 보여주지 않는 여자가 울고 다닌다. 프라하 거리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다가가면 사라지고 사라졌나 싶으면 다시 나타난다. 어느 날은 뒷꽁무니를, 어느 날은 뒷모습을 보았다. 여자는 희미하다.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되풀이한다. 나는 늘 여자를 본다. 쫓다 멈추기를 반복한다. 여자는 기억으로, 상처로, 안식처로 나를 데려간다. 페이지가 넘어가면 갈수록 여자가 우는 이유는 처음처럼 중요하지 않다. 그저 여자를 따라가기만 하면 될 것 같다. 이상하고 매혹적인 소설이다. 서사구조가 없으니 소설이랄 수 없고, 그렇다고 시도 아닌데 복잡미묘하고 혼란스럽다. 그러나 단편적이면서도 야무진 구성이다. 퍼즐의 조각을 하나하나 맞출 때의 흥분처럼 차차 뚜렷해진다. 그랬나 싶으면 또 멀어진다. 여자의 발자국은 안 가는 곳이 없고 못 올 곳이 없다. 여자는 빠르고 강하게 움직인다. 몽환스럽고 매혹적이며, 아름다우면서도 슬프다.  

소설은 여자가 사라지면서 끝맺는다. 여기 아니면 저기, 안 아니면 밖, 현재 아니면 과거를 동시에 오가느라 늘 다리를 절뚝거리던 여자의 발자국만 남았다. 무엇이든 될 수 있을 그녀는 다시 돌아올 것을 예고하지 않는다. 어쩌면 지금 이 시간에도 우리의 도시를 울며 배회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여자를 발견하면 따라가자. 그 곳에서 발견하는 모든 것들이 나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애
김별아 지음 / 문학의문학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나는 개새끼로소이다>를 반복적으로 읽어본다. 후미코는 우연히 접한 이 시에서 박열의 열망과 이념을 읽어냈다. 그리고 사랑하게 되었다. 표현에 의하면 '어디에도 없는 아이' 후미코와 그녀의 삶의 지표 박열은 사랑할 수 밖에 없었던 게 당연하다. 일제 식민지하 애국혁명가를 꿈꾼 조선남자와 그를 사랑한 일본여인의 사랑. 소설 [열애]를 관통하는 주제는 국경과 사상과 죽음을 뛰어넘는 절절한 러브스토리이지만 그게 또 마냥 그렇지만도 않다. 슬프다. 외롭고 치명적인 울컥함이다.  

사랑과 신념. 우리는 그 둘 중 어느 하나에라도 치열한 적 있었던가. 이 소설을 영화로 만들면 지루할지도 모른다. 중반부가 지나도록 박열과 후미코는 만나지 않는다. 그러니까 꽤 오래 조선남자 박열과 일본여인 후미코 각자의 삶에 대해 열거하는 셈이다. 사랑할 수 밖에 없었다고 생각한다. 삶을 살아오기 보다 살아내는 것이 인생이었던 두 남녀. 신념을 지키기 위해 꿈틀대는 욕망과 자유에 대한 갈망으로 자신을 내던진 남자에게서 일본의 어디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던 후미코는 자신을 읽은 것이다. 그리고 살아있다고 느꼈다. 살겠다고 다짐했다. 그 남자의 투쟁에서 자신의 존재감, 희망, 미래를 꿈꾸었던 것이다. 그래서 모든 것을 함께 한다.  

죽음 앞에서는 신도 두렵다. 조선인 독립운동가와 일본인 아내의 죽음조차 초월한 사랑. 훗날 역사에는 그렇게 기록되었다. 박열의 독립운동은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는 그렇게 젊고 용맹한 하나의 무명 독립운동가가 되었다. 시대가 원하는 불의의 것에 얼마만큼 나를 걸고 싸울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생각했다. 일도, 사랑도, 그 무엇에도 치열하지 못해 흔들렸다. 그들의 첫 밤을 생각했다. 세상에서 가장 원한 일이었지만 세상에서 가장 두려웠던 일, 후미코의 첫 날 밤에 대해 생각했다. 사형과 무기징역 사이의 균열에 대해 떠올렸다. 두렵다. 하늘 아래, 인류 아래 다시 이런 사랑이 있을까봐 두렵고, 내 손으로 어찌할 수도 없을 음모가 두렵고, 내 삶이 허무가 될까봐 두렵다. 몸으로 겪지 않고서는 아무리 머리로 이해해도 알 수 없는 무엇이 있다. 분노와 통한. 통감. 역사가 두렵다. 사랑이 나는 무섭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11-17 23: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