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아이(만 13세 미만)를 홀로 키우는 저소득 미혼모에게 월 12만원(엄마가 청소년일 경우 17만 원)의 양육비를 준다. 만약 미혼모가 직접 키우기를 포기하고 아이를 다른 양육시스템으로 보낸다고 해보자. 입양을 보낼 경우 입양가정은 입양수수료 270만원을 지원받고 매달 15만원(만 14세 전)의 양육수당과 20만 원의 심리치료비, 100% 의료지원을 받는다. 또는 위탁가정이나 시설에 보낸다고 해보자. 2015년 보건복지부의 <대안양육제도 양육비 실태조사연구>에 따르면 위탁가정은 월 66만 7,000원, 공동생활가정은 128만여 원, 양육시설은 166만여원의 지원금을 정부에게서 받는다.
시설의 경우 종사자 인건비 일부가 포함되므로 단순 동등비교를 할 수는 없겠으나 어떤 경우든 미혼모가 아이를 버리는 것보다 직접 키울 때에 정부의 지원이 가장 적은 것은 사실이다.
만약 미혼모가 기초생활수급자가 되면 이 혜택도 사라진다. 생계급여와 아동양육비는 중복해서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 P123

이렇게 구조적으로 아이 버리기를 부추기는 사회에서 아이를 버리는 ‘주범‘이 여전히 미혼모라고 말할 수 있을까? 나는 이른바 ‘정상가족‘이 아닌 다른 삶은 잘못되었다고 차별하고 배제하면서 교육받을 권리와 일자리까지 위협하는 한국의 가족주의에 그 혐의를 두고 싶다.
- P125

덧붙이는 말: 이 장에서 내내 ‘미혼모‘라고 썼지만 나는 사실 이 용어가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 ‘미혼‘은 ‘아직 결혼하지 않았다‘는 뜻을 담고 있어서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에 갇힌 용어이기 때문이다. 책을 쓰면서도 ‘비혼모‘로 바꿔야 하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고민 끝에 ‘미혼모‘를선택했다. 미혼모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는 운동을 벌이는 활동가들이 ‘미혼모‘라는 용어를 쓰는 중이고, 그들과 보조를 맞춰야 하겠다고 생각해서다.
- P129

부양의무제로 인한 부작용이 많은데도 이 제도가 폐지되지 않는 이유는 "아직도 가족이 부양을 책임져야 한다는 강한 가족주의 전통"이 우리 사회에 남아 있기 때문이다.
- P173

언론학자 강준만은 『개천에서 용 나면 안 된다』라는 도발적인 제목으로 ‘개천에서 용 나는‘ 모델을 발전이라고 간주하면서 용이 되기 위해 모든 고난을 감내하라는 식의 희망고문을 비판한다. ‘개천에서 용 나는‘ 모델은 ‘억울하면 출세하라‘와 본질적으로 다를 바가 없다는 것이다.
- P179

"너희 아버지 뭐 하시니?" 같은 질문, ‘이상적, 정상적‘ 가족을 전제하고 던지는 가족 관련 질문들은 지금의 20대에겐 폭력이다. 20대에게만 그럴까. "남편은 뭐 하느냐", "아이는 몇 살이나", "결혼을 안 하는 이유가 뭐냐", "왜 아이를 낳지 않느냐" 등등 가족에 대한 질문들은 소위 ‘결혼적령기를 지났으나 비혼상태인 성인, 미혼모, 성소수자, 무자녀 가족 등 다수의 사람들에게 폭력적이다.
- P2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제로 국내에서 법원은 민법 징계권 조항을 근거로 부모나 양육권자가 자녀의 행동 교정과 훈육을 목적으로 체벌하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성인 간의 관계에서는 상대에게 의도적으로 해를 끼치는 행위는 이유가 무엇이든 형사적 처벌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보호와 교양 목적의 징계‘라는 말로, 상대에게 의도적인 해를 끼쳐도 된다고 법이 허용하는 유일한 대상이 아이들이다. 
- P56

부모의 자녀에 대한 권리는 부모의 자유권이라기보다 자녀의 보호를 위해 부여되는 기본권으로 권리보다는 의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 P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로지 식단 조절로 18kg을 뺐다.

이제 운동을 해야 한다.

올해 목표 중 하나는 자전거 타기.

이 나이 먹도록 자전거를 탈 줄 몰랐다.

어릴 적엔 자전거가 집에 있을 만큼 넉넉하지 않았고, 집 앞 도로에서 자전거 교통사고를 목격하고는 이후 배우는 걸 포기했다.

5인 가족, 나 빼고 자전거 네 대.

널따란 평지에 자전거도로도 잘 닦여있는 동네 살면서 자전거를 못 타는 건 생활의 불편까지 가져왔다.

머리 나쁘면 손발이 고생하는 게 아니라 자전거 못 타면 다리가 고생한다. 뭐 운동이 될 거라고? 천만에. 아예 안 걷는 게 문제.


구청에서 자전거 교실이 있어 신청했다.

주 3일 3개월. 꽤 길다.

처음엔 따릉이로 가까운 곳 이동하는 정도의 수준으로만 목표를 잡았는데 어랏!

자전거교실 1개월 차에는 따릉이 수준.

2개월 차에는 한강 라이딩.

3개월 차에는 장거리 라이딩까지 가능하단다.

목표 수정.



첫날, 두 발로 자전거를 끌다시피 하고 자전거 익숙해지기.

둘째 날, 안장 높여 페달에 발올리고 굴리기.

셋째 날, 큰 자전거로 바꿔줬다.

나, 생각보다 잘한다. 이놈의 운동신경이란. ㅋㅋ

넷째 날, 운동량 및 라이딩 지속시간 늘리는 중.



자전거 배우는 곳이 한강과 가까운 곳이다.

자전거로는 10분도 안 걸리는 거리인데 도보로 35분이 걸린다.

마을버스를 타고 갈 수 있는데 이게 한 시간에 두 번 운행, 그래서 버스 시간 안 맞으면 한 시간이 걸리기도 하는 곳이다.

그래, 걸어보자.

평소 하루 1000보도 잘 안 걷던 내가 변했다.

어제는 처음으로 왕복 도보, 물론 시속 6km 정도로 속보로 걸었다. 지방을 태워야지!

날이 좋아 꽃구경도 하고, 음악도 듣고 좋았다.

아침마다 귀찮다, 제낄까? 내적 갈등은 여전하지만 그래도 집을 나서니 좋긴 좋다.

자전거도 이제 속도를 즐기기 시작했다.

자전거 타는 것도 워치가 자동으로 인식한다는 것도 신기했다.

그러나 극복하기 힘든 게 있으니 바로 안장통.

하체 근력보다 안장통때문에 오래 못 타겠다.

한 달쯤 타면 좀 괜찮아지려나?



어젯밤, 평소보다 피곤해서 책도 안 읽고 그냥 뻗음.

아침에 일어났더니 워치가 이리 알려준다.

안 하던 운동했다고 칭찬은 안해주고...ㅠㅠ


올 하반기에는 자전거로 행주산성 가서 국수를 꼭 먹고 올 테다.

올봄은 안되겠고, 내년 봄에는 안양천 벚꽃길을 자전거로 즐기리라.

아! 가을 단풍을 즐기러 가면 되겠구나.

무엇보다 기분이 좋은 건 늘 제대로 이루지 못하는 '올해의 목표'에서 올해는 적어도 하나는 클리어할 수 있다는 점이 벌써부터 즐겁다.


새로운 시작은 설렘과 두려움이 교차한다.

생활의 활력소가 되는 것 같다.

식단 조절이 내 생활의 일부가 된 것처럼,

자전거 타기도 내 생활의 일부가 되도록 익숙해지자.


내가 자전거 타기 시작한 건 어찌 알았는지(?) TV에서 자전거 관련 방송을 했다.

이것도 다 운명인건가...

EBS 평생학교 자전거 편, 눈높이 설명이 친절하고 좋았다.

앞부분 못봐서 유튜브 검색하니 8회까지 공개되어 있다.

괜히 방송시간 맞춰 기다렸네. ㅋ

짧은 편이라 금방 훑어봤다.

https://youtu.be/mQuGuLaPtEY?si=XANsyOZglbDVoX1g


자전거 관련 책도 읽고 싶어 담아놨다. 주말에 몽땅 대출각. 천천히 읽어봐야지.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25-04-10 14: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두바퀴(자전거)를 달릴 적에 엉덩이가 아프다면, 여러 가지 까닭이 있는데, 엉덩이만 아플 수 없습니다. 아마 무릎과 발목과 등허리와 어깨와 팔목과 손목과 손가락에다가 목까지 다 아플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키높이’에 따라서 ‘자리(안장) 높이’를 맞추어야 하는데, 두바퀴가 낯선 분한테는 으레 ‘키높이’가 아닌 ‘낮게’ 자리를 맞추더군요.

그러나 두바퀴가 낯설대서 자리를 낮게 두면 오히려 버릇이 들기 때문에, 두바퀴가 낯설어도 처음부터 키높이에 맞게 자리를 살펴야 어울립니다. 처음 두바퀴를 굴릴 무렵에는 아예 자리(안장)를 빼고서 굴리도록 합니다. 자리를 다시 끼워서 두바퀴에 몸을 실을 적에는, 등허리를 곧게 펴고서 손끝으로 살짝 손잡이를 쥘 만큼 자리높이를 맞출 노릇입니다.

두바퀴를 처음 타는 분이라면, 반드시 ‘생활자전거’로 배워야 합니다. ‘생활자전거’는 등허리를 곧게 편 채로 팔을 곧게 뻗어서 손잡이를 잡을 수 있습니다. 이때에 발판을 구르면서 무릎이 ‘자리(엉덩이)’ 밑에서만 움직여야 합니다. 다리로 발판을 구를 적에 무릎이 밑에서 살살 돌면서 “무릎과 다리가 곧게 펼” 수 있을 만한 높이로 발판을 굴려야 하니까, 이러한 높이를 어림해서 안장을 맞출 노릇이지요.

자리높이를 제대로 맞추기만 해도 엉덩이가 아플 일이란 하나도 없습니다. 자리높이를 제대로 맞추었는데 엉덩이가 아픈 다른 까닭이라면, 아직 두바퀴가 안 익숙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두바퀴를 처음 배우는 분은 30분 넘게 타면 안 됩니다. 적어도 이레는 30분 밑으로, 이레가 지났으면 하루에 5∼10분만 조금씩 올리되, 하루 1시간에 이르면, 이대로 석 달은 느긋이 보내야지요. 우리 몸이 두바퀴라고 하는 새로운 탈거리에 제대로 맞출 때까지 느긋이 천천히 보내어야, 이때부터는 2시간이나 3시간도 달릴 수 있습니다.

두바퀴는 그야말로 온몸뼈를 새로 맞추듯 누리면서 천천히 달리는 탈거리입니다. 이제 두바퀴를 굴릴 수 있다고 여기면서 함부로 ‘시속 15km’ 넘게 달리려고 하면, 반드시 무릎과 손목과 발목과 목과 엉덩이와 등허리 모두 다칩니다. “걸음마 두바퀴”를 달리는 분은 부디 온날(100일) 동안은 20km 밑으로만 달리기를 바랍니다. 웬만해서는 25km를 넘게 달려도 안 되고, 두바퀴를 달린 지 여러 해 되었다면, 그때에는 이따금 30km를 넘겨도 됩니다. 이 얼거리를 지킬 줄 알면서 두바퀴를 익히면, 온살(100살)에 이르러도 두바퀴를 즐길 수 있습니다.

+

설마 벌써 사진에 나온 저 자전거를 몰지 않으시겠지요?
이제 겨우 첫걸음 두바퀴인데
저 자전거를 함부로 타려고 하신다면
앞으로도 엉덩이는 죽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적어도 석 달은 천천히 생활자전거만 타면서
엉덩이와 몸과 뼈를 가다듬으시기를 빕니다.

딸기홀릭 2025-04-10 23:03   좋아요 0 | URL
긴 설명에 감동했어요
관심갖고 조언해주셔서 감사해요
무릎이나 등허리 등은 안아픈데 어딘지 정확히 말하기 힘든 그곳이 아프네요
통증원인은 익숙치 않아서라고 생각했어요
전에 스피닝할때도 첨엔 그랬거든요
무엇이든 100일은 지나야 제것이 되었다 할 수 있나봐요
그래서 100일을 다 챙기나 봅니다
저의 자전거타기도 100일의 기적을 기대해 보아요~

설마...라고 하셨지만 저 자전거 맞아요
첨엔 생활자전거로 연습했고 잘 탄다고 바꿔줬어요
저걸로 연습하고 담달 한강라이딩도 저걸로 할거예요
안장도 제 골반높이로 조정 잘 해놓은 상태예요
앞으로 엉덩이가 죽어나가지 않고 적응하길 바라봅니다^^

2025-04-10 22: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5-04-10 23: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5-04-10 23:1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5-04-10 23: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숲노래 2025-04-11 04: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자전거를 처음 익힐 적에는 ‘기어 1단‘만 있는 생활자전거로 가르칩니다.
왜 기어 1단 하나만 있는 생활자전거로 가르쳐야 하는지는
우리가 스스로 생각해 볼 일입니다.

자전거에 맞는 몸과 마음으로 차분히 자리를 잡기 앞서
‘장비‘부터 너무 급이 높은 것으로 쓰면
어디가 어떻게 어긋날는지 생각해야겠지요.

산악자전거 또는 ‘준 산악자전거‘나 ‘사이클‘은
자전거를 처음 배우는 사람이
반드시 안 타야 할 자전거입니다만......

자전거를 배우거나 타고 싶다면
다른 책보다도
만화책 《내 마음속의 자전거》를 읽어 보시기를 빕니다.
 

아이들은 문자 그대로 ‘작은 인간‘이다. 그저 작을 뿐 성인과 다르지 않은 사람,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이 세상에 초대받아 성인과 종류만 다를 뿐인 불안을 견뎌내야 하는 여린 생명체다. 한 사회에서 가장 약한 자가 그 사회의 수준을 드러내 보여준다면 작은 단위의 사회라 할 가족도 아이를 중심에 놓고 보아야 제대로 볼 수 있지 않을까. 
- P11

‘사랑의 매‘라는 표현은 때리는 사람의 의도에 따라 어떤 폭력은 정당화가 가능하다는 뜻인데, 이는 전적으로 매를 든 사람의 논리다. 맞는 아이들에겐 체벌의 이유가 사랑이든 분노든 다를 게 없다.
- P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타인의 죽음만큼 자신이 살아있음을 일깨워 주는 것도 없다.
- P1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