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이 국가보안법 폐지 여부를 둘러싸고 격렬하게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 62.0%(적극 반대 18.8%,다소 반대 43.2%)가 보안법 폐지안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보안법 폐지안 찬성은 33.8%(적극 찬성 4.1%,다소 찬성 29.7%)였다.
반대 의견은 부산·경남지역(67.0%)에서 가장 많았고,찬성은 광주·전라지역이 43.8%로 평균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도 20·30대에서는 찬성 비율이 각각 42.8%,48.2%로 높았지만 40대와 50대 이상은 폐지 반대가 69.0%,77.5%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보안법 폐지에 반대하는 비율은 지난달 초 줄어들었다가 다시 늘어나는 추세다. 10월29일(문화일보) 58.6%에서 11월3일(R&R) 45.3%로 크게 줄었지만 11월6일(동아일보) 50.3%로 조금 늘었고,본보 조사에서는 60%를 넘어섰다. 보안법 폐지 저지에 사활을 걸고 있는 한나라당 공세와 한 탈북자가 밀입북한 뒤 간첩 교육을 받고 다시 입국한 사건 등이 보안법 폐지 반대의견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보안법 폐지안을 제외한 나머지 3개 법안의 경우 과거사진상규명법은 반대가,사립학교법 개정안과 언론관계법은 찬성 의견이 각각 많았으나 찬반 비율 차가 적어 혼전 양상이다.
과거사진상규명법은 반대가 50.3%로 찬성 46.4%보다 높게 나왔다. 찬성은 학생(62.4%)과 화이트칼라(57.1%)에서,반대는 주부(54.2%)와 자영업자(53.6%)에서 각각 많았다.
사립학교법 개정안은 찬성(45.3%)이 근소한 차로 반대(42.4%)보다 많았다. 하지만 찬성 비율은 지난달에 비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11월11일(KSOI) 조사에서는 61.0%,11월29일(MBC) 조사 때는 72.2%에 달했다. 1주일 남짓한 기간 26.9%나 하락한 것이다. 월드리서치 관계자는 9일 “한 달 전 수준으로 찬성률이 줄었다”고 말했다. 응답자들의 지지정당 성향으로 보면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 지지자에서는 찬성이 각각 56.7%,54.8%로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한나라당 지지자들은 56.2%가 반대했다.
언론관계법은 찬성 45.7%,반대 40.9%였다. 11월29일(MBC) 조사보다 찬성이 6.7%포인트 하락했다.
한민수기자
ms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