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 용량’ 이젠 걱정마세요… 포털사들 1GB 넘어 무한대로도 제공
기사입력 : 2004.12.12, 19:43

‘사진을 첨부한 이메일을 분명히 보냈는데 상대방은 못 받았다고 오리발을 내민다?’

이메일 용량 제한 때문이었지만 이젠 걱정할 필요가 없다.

포털사이트들이 기가급 또는 무한대로 이메일 용량을 늘려가고 있어 동영상이나 사진도 용량 걱정 없이 주고 받을 수 있게 됐다. 지난 2월 마이엠이 국내 최대인 100메가바이트(MB)의 이메일 용량을 제공하면서 불붙었던 이메일 용량 늘리기 경쟁이 재현되고 있는 것.

저장공간을 늘리는 경쟁뿐아니라 이메일에 편집,검색 등을 추가하는 기능 업그레이드 경쟁도 치열하다.

KTH가 운영하는 파란닷컴은 6일부터 이메일 저장공간을 100MB에서 1기가바이트(GB)로 늘려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1GB는 100MB의 10배 크기로 동영상 68분,MP3 음악파일 250곡 이상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다.

여기에 최대 2GB의 파일을 첨부해서 메일을 보낼 수 있는 무한파일첨부 기능,메일에서 쓴 글을 자신의 블로그나 미니홈피에 동시에 등록할 수 있는 원소스 멀티유즈 기능,메일내에서 HTML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멀티메일 기능 등을 새로 도입했다.

가장 많은 이메일 가입자를 갖고 있는 다음도 현재 100MB인 이메일 용량을 내년초 최대 1GB까지 늘리고 이메일에 음성메시지를 첨부하는 기능을 준비중이다. 특히 이메일을 보다가 메신저로 이동하거나 웹하드를 열어봐야 하는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메신저(실시간 대화수단)와 웹스토리지(인터넷 저장공간),이메일 기능을 하나로 묶은 ‘한메일플러스(가칭)’를 내년 상반기중 내놓을 예정이다.

코리아닷컴은 저장공간에 제한이 없는 동호회 서비스 ‘e룸’과 연동해 받은 이메일을 e룸에 저장해 놓고 사용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무한대로 이메일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업체도 이미 등장했다.

드림위즈는 228MB의 기본 메일 용량 외에 원하는 사람에게 용량 제한없이 메일을 받을 수 있는 무한메일 서비스를 제공중이다.

인터넷 솔루션업체인 티나루도 용량을 무제한으로 제공하는 이메일과 웹하드 서비스인 ‘하우메일(www.howmail.net)’을 시작했다. 이용자가 1촌,2촌,3촌 등 관계를 설정해 해당 관계에 있는 사용자 모두에게 메일을 전송할 수도 있다.

해외에서도 이메일 용량 늘리기 경쟁이 치열하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핫메일의 계정을 250MB로 늘리자 야후도 지난달 16일부터 무료 이메일 용량을 100MB에서 250MB로 확대했다.

야후는 메일 용량을 늘리는 것과 함께 이메일 발송자 신원 인증기술 업그레이드와 이메일 내용 검색 기능도 강화했다.

이에 앞서 구글은 지난 4월 자사가 제공하는 G메일 가입자에 대해 1GB로 늘려 용량 경쟁에 불을 지폈다. 다만 G메일서비스는 아직 시험 단계로,현재 계정을 갖고 있는 사람이나 구글 초대를 통해서만 계정을 얻을 수 있다.

업체들 사이에 이메일 경쟁이 불붙은 것은 단순한 문서 외에도 사진,동영상,MP3파일 등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전송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메신저와 휴대전화 문자메시지(SMS),미니홈피,웹하드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확산되면서 이메일이 외면당하고 있는 것도 최근의 이메일 경쟁을 부추기고 있는 요소다.

이명희기자 mheel@kmib.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인 70% “황혼독립 희망”


자식들과 따로 떨어져 혼자 살고 싶다는 노인들의 ‘황혼독립’ 욕구가 급증하고 있다. 늙으면 자식들에게 얹혀사는 게 통례로 돼 있는 우리 사회의 달라진 모습을 그대로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국토연구원은 13일 서울과 지방 소도시 55세 이상 1,000가구를 대상으로 ‘주거실태 및 주거의식’을 조사한 결과 ‘앞으로 자녀와 따로 살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59.9%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10.2%는 ‘노인전용시설에 입주하겠다’고 답했다. 전체 70.1%가 자녀들과의 ‘더부살이’를 기피하고 있는 셈이다.

현재 따로 살고 있는 노인가구 비율 43.9%보다 26.2%포인트나 높은 수준이어서 노인들의 독립 욕구가 커지고 있음을 반영한다.

연구원은 이같은 추세를 감안하면 2020년쯤 노인들의 독립가구 구성비가 지금보다 1.7배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인간 수명이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할 때 80세 이상 고령자 가구 수는 현재 16만가구에서 2020년엔 68만3천가구로 3.3배 정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인 인구의 급증에 따른 초고령화 사회로의 발전 속도도 우려할 상황이다.

연구원은 통계청 자료를 인용,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중이 7%에서 14%로 늘어나는 데 걸리는 기간이 우리는 일본보다 5년이나 짧은 19년에 불과해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에 속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노인가구의 주거비 부담이나 주거여건은 열악한 수준이어서 정부 차원의 사회복지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연구원 윤주현 선임연구원은 7일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기 때문에 노인주거문제를 개인적인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다”면서 “국가 차원에서 노인주거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현기자 parkjh@kyunghyang.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포토뉴스]철모르는 개나리

예년보다 포근한 날씨의 영향으로 12일 서울 남산 도서관 앞 개나리가 꽃망울을 터트리자 지나가던 학생들이 신기한 듯 바라보고 있다.

〈권호욱기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절정의 축구 국가대표
기사입력 : 2004.12.09 13:06  조회수 : 1419
우리나라 축구의 2002년 월드컵 선전을 예고했던 경기입니다. 2002년 스코틀랜드와 벌인 경기에서 한국은 무려 4골을 넣으며 멋진 승리를 이룹니다. 4골 모두 기가막힌 득점이었지만 마지막 안정환의 슛은 당시 외국언론도 깜짝 놀라게 했죠. 경기가 끝난 뒤 스코틀랜드 선수의 인터뷰가 기억납니다.

“한국 축구의 수준이 이렇게 높을 줄 몰랐다. 잉글랜드 프리미어 수준이다”

출처 사커라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공든탑이 무너진다
기사입력 : 2004.12.12 24:20  조회수 : 506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인간탑 쌓기 축제현장에서 찍은 사진이라고 합니다. 공든탑이 무너지는 순간이네요. 아래 사람들이 많았으니까 크게 다치지는 않았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