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공인’이라 속이고 취업·고소득 현혹 민간자격증 광고 조심!
기사입력 : 2005.01.14, 19:12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을 구하고 있는 강모(25·여)씨는 최근 황당한 일을 당했다.

국가공인자격증을 따서 사회복지시설 등에 취업이 100% 보장된다는 광고만 믿고 노인복지사 자격증 교재를 신청했으나 알고 보니 노인복지사는 국가공인자격증이 아니었다. 강씨는 “서적 6권과 비디오·카세트 테이프 4개에 불과한 교재값이 무려 75만원이었다”면서 “교재를 반송하고 판매처에 대금 반환을 요구하자 오히려 20%의 위약금을 내라고 하더라”며 분통을 터뜨렸다.

경기불황으로 인한 취업난이 장기화되면서 자격증으로 취업의 높은 문턱을 넘어보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이들을 상대로 한 각종 협회나 시설 주관의 민간자격증 광고가 우후죽순격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자신들이 발급하는 민간자격증이 마치 국가자격증인 것처럼 현혹시키거나 취업 또는 고소득이 보장되는 것처럼 허위·과장 광고를 하는 경우가 많아 구직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14일 교육부와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에 따르면 현재 국가가 관리하고 있는 자격증은 의사나 변호사,교사 등 잘 알려진 자격증과 노동부,산업인력관리공단이 발급하는 항공기능정비사 등 610여종의 자격증을 포함해 모두 740여종이다. 공단측이 파악한 민간자격증은 500∼600종에 이르지만 현재 국가가 공인하고 있는 민간자격증은 대한상공회의소나 한국금융연수원 등에서 관리하는 신용분석사,인터넷정보관리사,네트워크 관리사 등 모두 45개(표참조)에 불과하다. 기관에 따라 공신력이 있는 자격증도 있지만 국가공인자격증이라고 광고하는 것은 허위에 해당되는 셈이다.

공인을 받지 못한 기관들은 주로 스팸메일이나 생활정보지를 통해 교재를 판매하거나 ‘1회 시험실시’ ‘취업률 100%’ 등 과장 광고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심지어 일부에서는 자격증과 관련된 교재를 판매한 뒤 사무실을 폐쇄하거나 자취를 감추는 사례도 있다. 소비자보호원에는 자격증 관련 상담전화가 매일 5∼6통 이상 걸려오고 있으며 구체적인 피해사례도 지난해에만 200여건 이상 접수됐다. 소비자 보호원 관계자는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민간자격증과 관련된 문의나 민원이 계속 늘고 있다”며 “특히 국가공인자격증인줄 알고 수십만원대의 교재를 구입한 피해자들이 많다”고 말했다. 지난 12월에는 간병사 자격증을 취득한 30∼40대 여성들이 “민간자격증을 국가공인자격증인 것처럼 속였다”며 협회관계자를 소비자보호단체에 고발하기도 했다.

교육부 산학협력과 원용연 사무관은 “자격증을 취득하려 할 때는 국가공인자격증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민간자격증의 경우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관리하는지 여부를 꼼꼼히 따져봐야한다”며 “특히 해당 자격증을 산업현장에서 실제로 요구하고 있는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민호기자 aletheia@kmib.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Name  
   권순욱 
Subject  
   노인의 얼굴

 

“늙으면 섧다네

눈 어두워 그렇지.

돋보기 안경 쓰고 확대경 손에 드나, 그래도 바로 안 보여 두 번 세 번 살핀다네.

늙으면 섧다네

귀먹어 그렇지.

남의 소리 반타작 묻어 귀에 지나가고, 재빠른 전화 소리는 정말 듣기 힘들다네.

늙으면 섧다네

무시당해 그렇지.

수에도 치지 않는 젊은이들 풍조로다.무언가 지들끼리만 쑥덕쑥덕 하누나.

늙으면 섧다네

짝 잃으니 그렇지.

백년 해로 약속 어겨 어느 한 쪽 먼저 가니. 남은 쪽 외로움이야 일러 무엇하리오,.

늙으면 섧다네

병들어 그렇지.

내 몸은 내 몸이나 내 맘대로 못하니, 옆에서 돌보지 않으면 꼼짝못해 답답하지.”

(지금은 고인이 되신 한영선 목사님의 시이다)


사람들은 이 땅에서 장수의 복을 누리기를 원하지만, 인생의 연륜이 더해감에따라 나도모르게 검은 머리가 백발로 변하고, 팔 다리의 힘이 약해지게 된다.

이것은  생리적인 현상으로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할 수 있는 일도 점점 줄어들고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고 맡겨야 할 일들이 점점 늘어나게 된다.

그렇다고해서 그 분들이 아예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노인들은 많은 삶의 경험과 전문 분야에서의 지혜와 혜박한 지식을 소유하고 있기때문이다.

성경에도 노인들의 지혜와 현명함에 대해 기록하고 있는 구절들을 찾아 볼 수 있다.

“늙은 자에게는 지혜가 있고 장수하는 자에게는 명철이 있다(욥12:12)”고 했다. ,


우리는 노인들의 지혜와 명철에서 오는 경험담과 충고에 귀를 기울일줄 알야야한다.

그분들의 생각과 언행이 때로는 다소 보수적일 수도 있고 세대차로 인해 진부하게 보여질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때문에 기성세대로부터 배척당하거나 소외당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그들안에는 젊은 이들이 쉽게 넘불 수 없는 귀한 철학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나이든 어른들에 대한 공경을 우리는 그들의 허약한 몸을 부축해 주거나, 그들이 필요로하는 물질을 공급해 주는 것으로 잘못 이해 될 때가 있음을 본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그들의 말에 신중한 자세로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그것은 단순히 노인의 공경에 대한 자세의 표출을 넘어 그들이 저녀온 삶에 대한 깊은 지혜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아름다운 행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는 요즘 참으로 이상한 풍조에 젖어 살고 있다.
모두가 하나같이 하는 말이다.  


“자녀들을 이해하라, 어린이들을 이해하라, 청소년들을 이해하라,.

신세대 젊은이들을 이해하라.” 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아무도
“부모님을 이해하라, 나이드신 분들을 이해하라, 어른들을 이해하라.”

고는 하지 않는다.

 
그래서 소외당한 부모와 어른들이 점점 많아지게 되고, 많은 어른들이 한숨과 눈물로 세월을 보내게 되는 경우를 보게된다.


어린이들은 반항으로 자기 의사를 마음대로 표현하지만, 어른들은 그저 참는것을 능사로 여길뿐이다.

여기서 우리들은 지금까지 우리가 지녀왔던 어른들에대한 생각들을 한번쯤 되돌아볼 때라고 생각된다.

그렇다. 어든들은 지금의 나를 있게 하신 분이요, 우리가 누리는 모든 것을 물려준 분들이다.

그래서 어른들은 “현재와 나의 존재 근거”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만으로도 그분들은 존경받아 마땅하다.

 
명심할 것은 우리가 신앙 안에서 구원을 체험하며 믿음생활을 할 수 있는것 또한 신앙을 지켜온 어른들의 몫이었다.

그분들은 하나님의 교회를 위하여 일생을 바치셨다.


이제 우리는 우리의 모든 정성을 다하여 노인들의 얼굴을 바라보며 그분들을 공경하며 섬길것을 다짐해야 할 때라고 본다.  

“자녀들아 너희 부모를 주 안에서 순종하라 이것이 옳으니라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이 약속 있는 첫 계명이니

 이는 네가 잘 되고 땅에서 장수하리라   (옙6: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머니,
 
올해 영주권 신청을 하려고 하는데 여러가지 서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준비해 주실 수 있는지 모르겠네요.
 
아래에 필요한 서류 목록입니다.
 
1. 호적등본 1통
 
2. 본인의 제적등본 1통 (본인의 부모, 형제 자매가 나온)
 
3. 배우자의 호적등본 1통
 
4. 주민등본 1통
 
5. 주민초본 1통
 
6. 배우자의 주민초본 1통
 
7. 영문최종학교 성적증명서, 졸업증명서 (총신대학원)
 
8. 배우자의 영문최종학교 졸업증명서
 
9. 전직장 경력 증명서
 
10. 목사안수증명서
 
이중에서 '배우자'라고 된 부분은 처형께서 준비해서 어머니께 보낼겁니다.
나머지 부분만 준비해 주시고, 보내시기 전에 한번 연락을 주시면 좋겠습니다.
목사안수증명서은 지난번에 워킹비자를 신청할때 보냈었는데, 한번 더 필요하답니다.
 
어떻게 준비했는지 저는 잘 기억이 안나네요. 승동교회가 소속된 노회가 동서울노회니까 그곳 사무실에서 받은 것 같은데요. 전화로 신청하면 우편으로 보내주었던 것 같습니다.
 
저의 영어 이름은 Lee, Sung Ho입니다.
 
준비하시다가 잘 안되시는 것이 있으시면 연락을 주세요.
 
성호드림
2005/ 01/ 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삼성電, ‘순이익 100억불 클럽’ 가입

삼성전자가 지난해 10조7867억원(103억달러)의 순이익을 올려 국내 기업 최초로 순이익 100억달러 클럽에가입했다.

삼성전자는 4/4분기에 매출액 13조8953억원, 영업이익 1조5326억원, 순이익 1조8254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직전분기인 지난해 3/4분기보다 매출액은 3%, 영업이익 44%, 순이익 32% 각각 감소한 수치다.

삼성전자 IR팀 주우식 전무는 “원화절상과 LCD의 지속적인 가격하락, 휴대폰 재고조정을 위한 물량감소로 전분기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면서 “영업이익은 마케팅 및 R&D비용 증가, 7000억원의 특별상여금 지급 등으로 줄었고 순이익은 영업외 수익, 법인세 감소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주전무는 “1회성 비용인 특별상여금 지급을 제외할 경우 4/4분기 영업이익율은 16% 수준으로 상승되며 각 총괄 사업부문 영업이익도 5%씩 상승하는 등 시장의 우려와는 달리 견고한 실적을 유지해 나간 것으로 평가된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이에따라 지난해 연간 매출은 전년보다 32% 늘어난 57조6324억원, 영업이익은 67% 증가한 12조169억원, 순이익은 81% 늘어난 10조7867억원(103억달러)을 달성했다. 수출도 전년보다 40% 늘어난 47조5956억원(416억달러)을 기록했다.

순이익 100억달러 돌파는 2003년 기준으로 전세계 기업 중 9개 기업에 불과한 ‘대기록’으로, 금융과 석유화학 업체를 제외한 순수 제조업체로는 도요타 자동차가 유일하다.

사업부문별 4/4분기 실적은 반도체부문이 4/4분기 중 가격하락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수요증가로 매출은 직전분기 보다 1% 증가한 4조7800억원을 올렸으나 영업이익은 전분기보다 18% 감소한 1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LCD부문은 가격 하락폭의 대폭 감소와 가격하락에 따른 수요 증가로 전분기 대비 3% 증가한 1조9500억원의 매출액을 올렸으나 영업이익은 100억원으로 전분기 보다 97% 줄었다.

휴대폰을 포함한 정보통신부문의 매출은 4조3200억원으로 지난해 3/4분기보다 10% 감소했다. 휴대폰 부문 매출액도 전분기보다 13% 감소한 3조9700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 역시 마케팅 비용 증가와 3G 시장을 대비한 R&D 비용증가 등으로 지난해 3/4분기보다 76% 급감한 1500억원을 기록했다.

디지털미디어부문과 생활가전도 내수 침체의 영향을 크게 받아 각각 1300억원, 9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주 전무는 “지난해 원화가치 상승, 고유가, 원자재난, 중국의 긴축 경제정책 등 위협요소들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순이익 100억달러 돌파라는 상징적인 사건을 만들어 냈다”면서 “올해도 시장여건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지속적인 원가절감과 제품 차별화 가속화로 이에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반도체 부문에서 예년과 달리 1/4분기 수요가 상대적으로 견조할 것으로 보이고 통신사업 부문은 신제품 출하 등의 영향으로 매출, 물량, ASP가 모두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LCD도 하반기에 상황이 호전될 것으로 보이는 등 향후 전망은 밝다”고 말했다.

한편 사업부문별로 2004년도 연간 실적은 반도체 부문은 낸드플래시 가격인하를 통한 수요 진작 전략에 힘입어 매출액은 전년대비 43% 성장한 매출 18조2248억원, 영업이익은 107% 급증한 7조475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율은 41.1%를 달성했다.

LCD부문은 전년보다 매출액은 67% 성장한 8조6887억원을, 영업이익은 111% 증가한 1조8845억원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가격 하락으로 인한 수요 증대로 하반기 수급 균형이 예상되며 대형 LCD TV 시장의 본격적인 확대를 맞아 3월경에 세계 최초로 7세대 LCD 양산을 개시, 시장 지배력을 더욱 강화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전년대비 55% 성장한 8653만대 휴대폰 판매로 판매 신기록을 달성한 정보통신부문은 33% 성장한 18조9359억원의 매출과 2조811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같은 휴대폰 판매량 증가폭은 올림픽 마케팅과 북미시장 및 브릭스(BRICs) 지역에서의 판매 호조에 힘입은 것으로 회사측은 분석했다.

디지털미디어와 생활가전부문은 내수 부진 등의 영향으로 각각 258억원과 537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은정기자 mybang21@moneytoday.co.kr>

< 저작권자 ⓒ머니투데이(경제신문) >


입력: 2005년 01월 14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혼 아내 “前남편 선처” 재판부도 감동

주위에 폐를 끼치지 않으려고 스스로 교도소행을 선택한 절도범 전 남편에 대한 아내의 사랑은 재판부까지 감동시켰다.

서울 서부지법 형사3단독 박순성 판사는 13일 김모씨(42·무직)에 대해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과 보호관찰 처분을 선고했다. 김씨는 당초 4차례나 연쇄적으로 절도를 저질러 당연히 구속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이날 의외로 관대한 처분이 내려지자 법정에서는 한순간 술렁거림과 함께 감동의 파장이 번져나갔다.

김씨는 10년 전만 해도 번듯한 직장과 재롱둥이 딸(당시 2살)을 가진 단란한 가정의 어엿한 가장이었다. 그에게 불행이 찾아온 것은 1995년 4월 무렵. 갑작스럽게 발병한 간질로 김씨는 회사를 그만둘 수밖에 없었다. 졸지에 실직자가 된 김씨는 새벽마다 인력시장에 나가 막노동 일거리를 찾았지만 번번이 간질 발작을 일으키는 바람에 노동판에서조차 쫓겨나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가장 역할을 다하지 못한 김씨는 아내와 자주 다투게 됐고, 결국 2001년에는 이혼하기에 이르렀다. 병원 치료비도 갚지 못한 김씨는 그 짐을 차마 아내에게 지우기 싫었다. 또 어린 딸에게 자신의 발작 모습을 보이고 싶지도 않아 마침내 이혼을 결심하기에 이르렀다. 이혼 이후에는 누나 집에 얹혀 살면서 자신의 처지를 비관해 술을 많이 마시는 등 자포자기한 상태로 지냈다.

지난해 추석을 앞두고 김씨는 ‘누나에게 신세를 지고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느니 교도소에 가는 편이 낫겠다’는 엉뚱한 마음을 먹게 됐다. 가정집을 돌면서 4차례에 걸쳐 현금과 신용카드 등을 훔치던 그는 결국 지난해 10월 경찰에 붙잡혀 서울 영등포구치소에 수감됐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이혼한 아내 박영숙씨(가명·40)는 김씨를 구하기 위해 발벗고 나섰다. 생활고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남남이 됐지만 김씨에 대한 사랑은 여전히 깊고 진하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박씨는 전 남편 김씨의 누나와 함께 절도 피해자들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고개를 숙이면서 사과하는 한편 피해를 모두 보상했다.

이날 재판장에 나온 박씨는 눈물을 흘리면서 “남편이 출소하면 재결합하겠다”고 말했다. 부부의 인연은 함부로 끊어질 수 없음을 확인하게 된 김씨는 최후 진술에서 “아내에게 사랑한다고 말하고 싶다”고 말한 뒤 끝내 울음을 터뜨렸다.

한편 박판사는 “김씨의 범행은 실형을 선고받아 마땅하나 잘못을 깊이 뉘우치고 있는 데다 전처 등이 피해를 모두 변제했으므로 이번 한차례에 한해 형의 집행을 유예한다”고 밝혔다. 박판사는 “걸핏하면 이혼하는 요즘 생활고와 병마로 헤어진 부부가 다시 결합하는 것을 보게 될 줄 몰랐다”며 “판결하는 입장에서도 가슴이 뭉클해 눈물이 핑 돌았다”고 말했다.

〈최명애기자 glaukus@kyunghyang.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