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갈취한 탈북자 브로커…한국행 루트 알려주고 정착금 가로채
기사입력 : 2005.03.16, 18:21

중국의 탈북자들에게 한국행 루트를 알려준 뒤 국내로 입국하면 알선료 명목으로 정착지원금을 가로채온 탈북자 출신 브로커 13명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서울경찰청 형사과는 16일 탈북자 20명에게 국내 입국 경로 등을 알려주고 이들이 입국 후 정부로부터 받은 정착지원금 중 1억3000만원을 뜯어낸 혐의(폭행)로 김모(49)씨 등 4명을 구속하고 9명을 불구속입건했다.

김씨 등은 지난 1월 말 하나원에서 정착 교육을 마치고 퇴소한 탈북자 이모(43·여)씨 집에 찾아가 “중국에 있을 때 약속한 돈을 내놓으라”고 협박해 500만원을 뜯어내는 등 탈북자 20명으로부터 1인당 250만∼1000만원씩 가로챈 혐의를 받고 있다.

지난해 3월 주중 한국대사관을 통해 입국한 탈북자 출신 김씨는 하나원 퇴소 뒤 곧바로 브로커 활동을 시작,중국으로 건너가 탈북자들과 접촉해 “중국이나 몽골의 한국 대사관에 진입하면 한국으로 갈 수 있다”며 대사관 진입 방법 등을 상세히 알려주고 “한국행에 성공하면 돈을 지불한다”는 각서까지 받았다.

2002년 3월 탈북한 김모(24·여)씨에게는 “북한에 남아 있는 가족을 한국에 데려다 주겠다”며 1인당 450만원을 요구했고,김씨의 어머니와 동생이 지난해 8월 북한을 탈출,몽골을 경유해 입국하자 김씨를 협박해 900만원을 챙겼다.

강준구기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휴대전화 스팸 하루 100만건 발송…전국 최대 ‘060 유통망’ 적발
기사입력 : 2005.03.16, 18:25

휴대전화에 무차별적으로 스팸메일을 보내 200억원대의 부당이득을 챙긴 전국 최대 060 스팸전화 유통망이 경찰에 적발됐다. 부산경찰청 광역수사대는 16일 060번호를 이용해 하루 100만건의 스팸메일을 발송하고 부당한 정보이용료를 편취한 혐의(전기통신사업법 등)로 박모(37·부산 북구)씨와 이모(35·경기도 성남시)씨 등 전국 73개 업체 70명을 검거했다.

경찰은 이 가운데 박씨 등 11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고 류모(39·부산 진구)씨 등 5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KT와 데이콤으로부터 1750회선의 060번호를 임대받아 2003년 10월부터 하루 100만건의 음란전화 스팸메일을 발송했다. 이들은 수신된 메시지를 보고 전화를 건 남성고객을 상대로 폰섹스 등을 통해 통화시간을 오래 끄는 방법으로 지금까지 210억원 상당의 정보이용료를 편취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조사 결과 박씨는 2003년 10월 부산 수영구에 스팸전화발송 M업체를,이씨는 지난해 11월 서울 용산구에 J업체를 설립한 뒤 KT와 데이콤으로부터 매출액의 10%를 사용료로 주기로 하고 060번호 1750회선을 임대받았다. 그후 이를 다시 서울 인천 광주 부산 등지 65개 하부업체들에 매출액의 30∼50%를 받기로 하고 재임대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화회선을 재임대 받은 업체들은 불특정 다수의 휴대전화에 무차별적으로 스팸메일을 발송한 후 메시지를 보고 전화한 남성들을 상대로 고용한 여성들과 음란전화를 하도록 해 30초당 500원씩의 고액 전화정보이용료를 받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윤봉학기자 bhyoon@kmib.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겨자씨] 썩은 가지의 결말
기사입력 : 2005.03.16, 17:43

 
 
 
 
 
 
 
어떤 농가에 초라한 행색의 나그네가 찾아와 밥을 좀 달라고 했다. 그 집에는 먹을 것이 많았다.
 
그러나 비정하고 욕심많은 농부의 아내는 밭에 가서 다 썩어가는 마늘 줄기 하나를 뽑아주며 “이거라도 먹을 테면 먹으라”고 하였다.
 
나그네는 그것으로 겨우 배고픔을 달랬다. 세월이 흘러 농부의 아내가 죽어 천사를 만났다.
 
“이 땅에 있을 때 좋은 일을 많이 했으니 천국에 보내주세요.” 그녀의 말에 천사는 생전에 그녀가 나그네에게 주었던 썩은 마늘 줄기를 보여주면서 “이것을 붙잡고 나를 따라오라”고 말했다.
 
그녀는 좋아하면서 한쪽 끝을 잡고 천사를 따라 올라갔다. 그런데 천국에 오르기 전 썩은 마늘 줄기가 뚝 끊어져 농부의 아내는 지옥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톨스토이 단편에 나오는 이야기다. 선행은 주님의 은혜를 체험할 기회를 얻는 것과 같다. “가난한 자를 조롱하는 자는 이를 지으신 주를 멸시하는 자요…”(잠 17:5)

김상길 논설위원 skkim@kmib.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겨자씨] 실패의 교훈
기사입력 : 2005.03.14, 17:58

 
 
 
 
 
 
 
 
1950년 미국의 사업가 프랭크 맥나마라는 자신의 주요 고객들을 초청해 뉴욕의 레스토랑에서 파티를 열었다.
 
만찬이 끝나고 돈을 지급하려는 순간 사무실에 지갑을 놓고 온 것을 알았다. 그는 음식값을 지불하지 못해 고객들 앞에서 톡톡히 망신을 당했다.
 
그는 변호사 친구를 찾아가 자신이 봉변 당한 것을 털어놓으며 말했다.

“현금이 없을 때 음식값을 대신 지불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두 사람은 장시간의 연구 끝에 먼저 결제하고 나중에 상환하는 카드를 만들었다. 이것이 바로 세계 최초의 신용카드인 다이너스 카드(Diners Card)다.
 
다이너스 카드는 이름 그대로 맥나마라가 저녁(Dinner)을 먹다가 곤혹을 치른 후에 만든 카드라는 뜻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실패와 실수를 인생의 교훈으로 삼는다. 예수의 12제자들은 유다를 제외하고 모두 허점투성이들이었다.
 
그러나 기독교의 역사는 허점투성이 제자들에 의해 쓰여졌다.

임한창기자 hclim@kmib.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울 가장살기좋은 도시 90위
기사입력 : 2005.03.15, 00:18

서울의 생활환경은 세계 215개 도시 가운데 90위로 평가됐다. 14일 세계적 컨설팅 업체 머서 휴먼 리서치 컨설팅(MHRC)이 발표한 삶의 질 평가에서 서울은 에스토니아 탈린과 함께 공동 90위에 머물렀다.

서울은 지난해 평가에서도 단독 90위에 랭크됐다. MHRC는 매년 ‘살기 좋은 도시’ 보고서를 발표하는데 한국 도시로는 서울,여수,울산이 포함됐다. 하지만 이 조사는 실제 거주자가 아니라 유럽 비지니스맨의 시각이 주로 반영됐다는 한계가 있다. 여수는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와 공동 109위에,울산은 에콰도르 키토와 같은 114위에 랭크됐다.

뉴욕을 100점으로 했을 때 서울의 평점은 81.5점이었고 여수와 울산은 각각 75.5점과 74.5점으로 평가됐다. 개인의 안전만을 기준으로 한 별도 평가에서는 울산과 여수가 공동 99위였으며 서울은 104위였다.

올해 조사에서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스위스 제네바와 취리히가 전반적인 삶의 질에서 각각 1,2위를 고수했으며 최하위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이라크 바그다드였다. 뉴욕을 기준으로 한 바그다드의 평점은 14.5점에 불과했다.

전반적인 삶의 질을 기준으로 할 때 캐나다 밴쿠버와 오스트리아 빈이 공동 3위,독일 프랑크푸르트와 뮌헨,뒤셀도로프가 공동 5위,뉴질랜드 오클랜드와 스위스 베른,덴마크 코펜하겐과 호주 시드니가 공동 8위에 올랐다.

아시아 지역 도시 중에는 일본 도쿄와 싱가포르가 공동 34위로 순위가 가장 높았고,요코하마가 보스턴과 함께 공동 36위,고베가 뉴욕,런던과 함께 공동 39위에 각각 랭크됐다.

제네바=연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