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北, 탈북자 개정형법 적용 본격화

 

한국행 시도 탈북자 사형 무기징역 등 중형
돈벌이 목적 단순탈북자는 노역

탈북자에 대한 북한 당국의 개정 형법 적용이 본격화하고 있다. 한국 입국을 시도하거나 한국 사람과 접촉한 경우엔 사형과 무기노동교화형(징역) 등 중형을 내리고 단순 탈북자에게는 비교적 가벼운 노동단련형을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7일 국내 탈북지원단체의 한 관계자는 북한이 지난달 말 여성들을 중국에 팔아 넘긴 인신매매범 2명을 공개 총살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중앙당의 지도를 받고 있는 ‘비사회주의 그루빠(검열단)’의 총화가 있은 뒤 함북 회령시 장마당에서 공개 재판이 열려 여성들을 인신매매한 남자 2명이 총살을 당했다”고 전했다. 그는 또 “중국에 갔다가 북송된 여성 9명도 인신매매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공개 재판을 받았으며, 이 중 한국행을 시도한 한 명은 18년형을, 나머지도 2∼14년 형을 받았다”고 말했다.

지난해 4월 개정된 북한 형법은 국가전복음모죄, 테러죄, 조국반역죄, 민족반역죄 등 반체제 범죄에 대해 죄질이 무거운 경우 무기노동교화형 또는 사형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단순 탈북 행위는 최고 3년 이하의 노동단련형을 부과할 수 있도록 했다.

다른 탈북단체 관계자도 “북한 당국이 지난 1월 중국에서 체포돼 송환된 탈북자 15명을 회령에서 집단 처형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이들은 대부분 대사관 진입 등을 통해 한국행을 시도했거나 중국에서 한국인과 접촉한 사실이 드러난 탈북자이며,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해 중국에 갔다 송환된 탈북자들은 제외됐다”라고 말했다.

한편, 노동단련형을 선고받은 북한 주민들은 노동교양소에서 매우 열악한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탈북지원단체 ‘좋은 벗들’ 관계자는 “최근 탈북한 사람들의 이야기로는 수감자들이 매일 작업 할당량과 함께 엄격한 통제를 받으며 영양실조로 고통받고 있다고 한다”면서 “특히 국경을 넘다 잡힌 사람은 비교적 힘든 일을 맡고 모범수로 조기 퇴소할 가능성도 낮다”고 말했다.

이상민 기자 21smin@segye.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음식점 창업 나는 이렇게 성공했다!

 
대기업 퇴직자 놀부보쌈 김수익씨 "철저한 사전조사는 필수"
이인열기자 yiyul@chosun.com
입력 : 2005.03.06 17:00 41' / 수정 : 2005.03.06 18:21 42'


▲ 김수익씨
“샐러리맨 생활을 하다 보면 ‘이만큼 노력을 내 사업에 쏟아부으면 정말 잘되지 않을까’란 생각이 들 때가 있죠. 저도 그런 생각에서 창업을 결심했습니다.”

지난 2003년 서울 약수역 사거리에 프랜차이즈 놀부보쌈점을 연 김수익(56)씨. 그는 요즘 종업원 13명을 두고, 한 달에 1억원 가까운 매출을 올리는 ‘사장님’이다.

김씨는 22년간 주한 일본 해운사에서 관리직으로 일하다 이사 진급을 앞둔 지난 98년 명예퇴직했다. 이후 그는 아내와 함께 PC방을 차렸다. 최신형 컴퓨터에 호텔처럼 인테리어를 꾸며놓은 대형 PC방이었다. 매출은 좋았지만 24시간 영업이 부담이었다. 1년 반 만에 업종전환을 결정했다.

음식점으로 결정한 김씨는 “요리에는 전문지식이 없지만 외국계 대기업에 다니며 쌓은 관리 노하우엔 자신이 있었다”면서 “결국 음식의 맛은 균일하게 보장되는 프랜차이즈 업체를 정한 뒤, 나머지 문제는 스스로 해결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다음은 어떤 곳에 점포를 내느냐가 문제였다. 김씨 부부는 30여회 이상의 창업설명회를 쫓아다녔고, 프랜차이즈 업체로부터 7~8곳의 점포 후보지를 소개받아 한 점포당 2~3주일씩 상권조사를 했다. 유동인구를 조사했고, 거리에 다니는 사람의 옷차림을 살펴가며 동네의 경제수준도 가늠했다.

창업 후 그에게 닥친 어려움은 역시 인력관리. 그는 “13명 종업원의 개개인별 특성에 맞게 대해주며, 마음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했다. 그 결과 그의 집에는 창립멤버만 3명이고, 대부분 6개월 이상 일하는 ‘장기(長期) 근속 근로자’들이 있다.


▲ 한희도씨
[창업 나는 이렇게 성공했다] 지역상권 맞춰 불닭집으로

업종전환 리모델링 불짱 한희도씨

“지역 상권에 맞는 업종을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기도 양평에서 불닭 전문점 ‘불짱’(www.bulzzang.co.kr, 1588-9288)을 운영 중인 한희도(37)씨는 일식집에서 불닭 전문점으로 리모델링을 해 성공한 경우이다.

점포가 위치한 양평시장은 유동인구도 많고, 주변에 변변한 일식집이 없어 틀림없이 장사가 잘 될 것이라고 생각해, 작년 5월 2억5000만원을 들여 문을 열었다. 하지만 6개월간 돈을 벌기는커녕 자신의 인건비도 못 건지는 상황이었다. 한씨는 “일식집을 더 계속하다간 정말 깡통을 차게 될 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이 들어 손절매를 하는 심정으로 리모델링을 했다”고 말했다.

업종은 당시 뜨고 있던 불닭 전문점으로 정하고, 특히 인테리어 차별화에 집중해 리모델링을 했다. 소(小)도시 지역상권이라 학교 선후배나 가까운 지인들끼리 많이 모이기 때문에 테이블을 칸막이로 구분했다. 의자도 편안한 소파를 놓아 손님들이 가게에 머무는 시간을 늘리는 전략을 썼다.

그는 리모델링 후 시내 곳곳에 광고 현수막도 내걸었고, 작년 11월 막상 리모델링해 가게를 다시 열자, 금세 입소문이 퍼져 손님들이 몰려왔다.

5개월째인 요즘 20개 테이블이 하루 4회전하면서 올리는 월평균 매출은 7000만원대. 여기서 재료비 4000만원, 월세 350만원, 직원 인건비 550만원, 기타비용 200만원을 제한 순이익은 1600만~1800만원 정도 된다. 그가 리모델링으로 재투자한 돈은 6000만원이었다.

한씨는 “안 되는 장사를 무리하게 끌고 가지 않고 과감하게 리모델링을 한 것이 위기국면을 돌파하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겨자씨] 가시고기
기사입력 : 2005.03.06, 17:50

물고기 중 유일하게 둥지를 만드는 것이 가시고기다. 가시고기는 주둥이로 강바닥의 모래를 퍼내고 그곳에 둥지를 짓는다.
 
모래집에 수초까지 덮어 완벽한 산란의 보금자리를 꾸민다. 가시고기 수컷은 이때부터 알을 보호하기 위해 필사의 노력을 기울인다. 몸집이 큰 물고기들과 처절한 싸움도 불사한다.
 
알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부지런히 그것을 넣고 꺼내는 작업도 잊지 않는다. 가시고기 수컷은 보통 15일 동안 아무 것도 먹지 않은 채 알을 보호한다.
 
그리고 알이 부화할 무렵,둥지 옆에서 장렬하게 죽는다. 영문도 모르는 치어들은 무심하게도 제 아비의 살을 뜯어먹으며 성장한다. 가시고기는 치어를 위해 생명을 바치고,최후에는 몸까지 내어놓는다.
 
그 부성애로 인해 가시고기의 부화율은 90%를 웃돈다.

지금은 사순절. 27일은 부활절. 예수의 사랑은 가시고기의 그것과 같다. 예수님은 지금 한 영혼의 부화를 위해 십자가에서 살과 피를 쏟고 계신다.
 
철없는 치어 같은 인류에 ‘구원’과 ‘영생’이라는 값진 선물을 주기 위해….

임한창기자 hclim@kmib.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랑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   발행일 : 2002.05.21  |  조회수 : 1632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당신의 꿈은 지금 살아 있습니까?
[   발행일 : 2002.06.03  |  조회수 : 11665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