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리 기자의 영화야 미안해
김혜리 지음 / 강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뭐랄까. 그녀의 문장은 한번만 읽고 지나쳐서는 안된다. 그리 두껍지도 어려운 내용이 아님에도 읽는데 꽤 오랜 시간이 걸린 것은 그 매력적인 농밀한 문장을 마음속에 차곡차곡 담아두려했기 때문이다. 비단 영화를 말하지 않아도 그녀의 문장은 조곤히 내옆에 와서 말해주는, 그래서 한없이 듣고있어도 전혀 귀찮거나 지겹지 않을 것이다.

 

그녀때문에, 아니 그녀가 아니더라도

오늘도 영화가 땡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녀에게 말하다 김혜리가 만난 사람 1
김혜리 지음 / 씨네21북스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경청하는 법은 생각보다 어렵다.

그대를 감싼 부드러운 표피를 뚫고 지나가기란 저 멀리 만년설이 덮인 안나푸르나, 설산을 넘는 것보다 어려운 것일지 모른다. 그래서 곧잘 사람들은 사람들 사이의 벽에 부딪쳤을 때 가혹한 자연조건에 맞서려는지도.

 

결국은 당신에게 남은 것은 하나다. 산을 옮기는 것만큼 누구보다 부지런하게, 산을 넘는 것보다 더 담대하게, 그리고 머나먼 과학적 진실을 찾는 것보다 더 섬세하게, 티라미스보다 더 부드럽게 그대를 향해 걸어갈 뿐이다. 결국 내쳐지는 것보다 다가가려는 절박함이 더 커야할 문제이다.

 

그녀는 듣는다. 묻기보다 듣는 것.

이것이 어쩌면 세상을 뒤덮은 목소리가 높아

익숙한 카페 한구석에서조차 그대와 소통할 수 없는 지금 이 곳에서 모두들 간절히 바라고 있는 것일지 모른다. 그저 그녀는 단지 그 하나만을 먼저 알았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행할 권리
김연수 지음 / 창비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나 역시 국경 없이 살아왔다. 아니 인식조차 못했다.

바다를 넘어본 적도, 국경을 넘어 나와는 전혀 다른 모국어를 통해

세계를 구성하는 자들을 만나보지도 못했다.

내 모국어로 구성된 세계 속에서 나를 둘러싼 세계에 대한 풍문만을 들었을 뿐이다.

 

한 때, 작가가 되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한 때가 아닐지도 모르지만,

어이없게 세계를 상대로 하는 무역회사에서 근무를 하고는 있지만

아직도 내게는 국경이란 존재는 낯설기만 하다.

경계를 넘어서, 국경을 향해 내가 안식할 수 있는 세계를 뛰어넘어

 

또다른 세계를 향할 때,

그 땐 나도 누군가 들고 읽을 만한 글을 끄적 거리는 작가가 될 수 있을까.

 

연수형.

형에게는 앞으로도 날 감탄시킬 무한한 이야기들이 숨겨져 있다는 걸 알아서 다행이에요.

언제 저랑 몽고를 향해서, 카파토키아를 향해서, 에어즈 록을 향해서

같이 걸어가줘요.

 

국경을 향해서, 국경을 넘어서, 그 이루어질 수 없는 끝을 향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울은 깊다 - 서울의 시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탐사
전우용 지음 / 돌베개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서울에 내 정주를 정한지 십여년이다. 내 삶의 1/3, 아마도 그 비율은 점점 높아질 것이다.

내 삶의 어느 시점에 내가 있을 곳을 서울 아닌 곳으로 정할 수 있을지는 모르나 그때까지는 서울은 나의 거처가 될 것이다.

 

서울은 정녕 깊다. 천만이 넘는 사람들, 열몇개의 구, 수십개의 중심가, 그 속에서 우리는 과연 서울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을까. 나는 내가 지내고 있는 이 공간에 대해서 얼마만큼의 관심을 보이고 있을까. 이 책은 우리가 지나치는 서울의 역사성을 일깨워준다. 매일매일 서울은 뉴타운이다 뭐다 파헤쳐지고 새로워지는데 그 속에서 기록은 사라져가고 우리의 기억 역시 사라져간다.

 

공간은 그저 우리가 지나치는 곳이 아니라 우리의 관계가 맺어지는 곳이며, 일상을 직조할 수 있는 곳이다. 우리의 삶이 이루어 지는 곳, 그 공간과 누누히 이어온 시간이 만나는 지점에서 나는 다시 살아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 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7
나쓰메 소세키 지음, 윤상인 옮김 / 민음사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러일전쟁 후, 메이지시대의 일본이나

지금이나 변화무쌍한 사회의 변화 속에서 개인들은 휩쓸려가는 것은 마찬가지다.

 

다만, 그것에 얼마나 감수성을 가지고 바라볼 수 있는 눈을 가지고 있느냐

그런 눈을 가진 작가를 한 사회가 가지고 있느냐가

휩쓸리는 변화에서 반성적 성찰을 얻어내느냐를 가름할 것이다.

 

그 후, 모두 어찌 되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