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브루별 왕따 통신
전지은 지음, 남궁선하 그림, 이영선 도움글 / 계림북스 / 2014년 2월
평점 :
품절


 

브루브루 별 왕따통신~

교실 폭력보다 더 무서운 사이버 왕따

왕따라는 말만 들어도~ 쉽게 지나치기 어려운것이

우리 아이가 언제 어느날 가해자가 될수도 피해자가 될수도

혹은 방관자가 될수도 있다는거 때문이겠죠?

 

 

왕따 통신?

브루브루별?

왕따라는 문제를 외계인하고~~? 혼자 제목만으로 온갖 추측을 해보았는데.

추측을 하면서 한편으론 너무 허황되게 이야기가 진행되면~

싫다라는 생각을 했던거 같아요

나는 더이상 숨을데가 없습니다.

누구의 말일까요?

왕따를 당하는 아이에게도..혹은 왕따를 시키는 아이에게도 해당되는 말이 아닐까 싶네요

 

목차를 살펴보면서 책의 이야기를 해볼까 하는데요.

어느날 이렇게 편지가 날아온답니다.

편지는 꾸준히 오는데요.

처음 외계인이라 말한 이 친구는 과연 누구일까요?

 

 

 

망치가 나타났다~~ 망치는 바로 악플러 인데요~

내글에 달린 악플이라니..

생각만해도 싫지요..

 

연예인 뿐만이 아니라..

우리주변의 누군가에게도 안티 클럽이 있을수 있다는거.

그리고 이렇게 상처가 될만한 행동을 마치 꽤 잘난 행동인마냥 알리는 글과

그 글에 댓글을 다는 아이들이 있다는 것이.

아마도 현실일꺼 같아요

 

악플이 나쁘다는건 아이들도 잘 알고 있는데~

그럼 이제 어떻게 해야 하는걸까요?

책속에선 이런 이야기를 해준답니다.

나는 왕따가 아니야

나는 왕따를 시키지 않았어..하는 친구들에게도

가슴을 찌르는 따끔한 충고랍니다.

 

내 편을 들어주지 않는 다른 친구들도 무섭다는거.

예전 EBS에서 왕따 문제를 다룬 프로그램을 보았는데요.

그때 친구는 왕따 문제로 인해 그만 자살을 하고 말았어요.

그때 아무도 그 친구를 위해 경찰서에 가서 증언을 해주는 사람이 없었답니다.

한 친구가 용감하게 나서 증언을 해주었는데요.

그 친구가 그러더라구요

나는 친구를 잃어서 너무 마음이 아프다.

그러나 이런 일조차 해주지 않는다면 평생을 더욱 아프게 보낼꺼 같다.

그 친구는 그때 학교를 그만둔 상태였어요.

우리가 봤을때 아 괜히 나서서 저렇게 됐잖아..하는 마음도 있지만.

글쎄요..

마음 아프고 힘들어 하다 아이가 병드는 것보다..

아이의 확고한 신념을 믿어준 아이의 부모님께도

정말 대단하다고 말해주고 싶더라구요

 

아주 좋은 방법을 알려주면서..

책속이야기를 잠시 접어둘려구요

제가 다 이야기 하면 읽을 마음이 들지 안잖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친구 토토는 경찰이예요
박인경 지음, 봄 그림 / 엠앤키즈(M&Kids)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미의 동네에 새로운 친구 바로 경찰견 토토가 왔어요

마약견으로 활동을 하고 나이가 들어서 경찰견으로 오게 되었는데요

워낙 훈련이 잘 되어있고 아이들과 잘 놀아주어서

아이들 사이에는 인기가 아주아주 좋답니다.


그러던 어느날~

 

 

다미의 동생인 다름이를 구한 토토는 아주 크게 다쳤어요~

바로 동물 병원에 옮겨서 수술을 했지만 회복하는데 너무 오래 걸린다네요

그래서 토토는 어쩔수 없이 경찰견을 그만 두어야 해요

근데 문제는 여기서 일어나요.

경찰견을 그만두는 토토는 이제 어디로 가야할까요?

이렇게 어렵게 살려놨는데.

안락사를 시켜야 할수도 있대요~

다미는 아빠와 엄마에게 토토를 집에서 키우고 싶다고 해요

정말 개를 싫어하는 엄마도 다름이를 구한 토토를 싫다고 할순 없어서

마지못해 받아들이는데요~

 

 

 

아프고 힘든 토토를 바라보며

언젠가는 다시 뛸수있길

다미는 바란답니다.

다미의 예쁜 마음이 담긴 그림하나~

비를 맞는 작은 꽃잎들이 혹여 떨어질까 우산을 씌워주는데요

작은 꽃잎이 토토로 느껴졌다네요

또하나의 사건이 책속에 있지만.

반려견이라는거..

요즘 참 많은 동물들이 버려지잖아요.

예뻐서 사고.. 그러다 대소변 못가리고 짖는다고 안키우고..

그래선지

책속의 토토는 나이도 많고 아프기까지 하는데 주인을 만났으니

행운이라고 해야 하나요?

진정한 가족이 된다는것이 무엇인지 책을 읽으면서

느껴보시길 바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짜증방 - 공주시 한 도시 한 책 읽기 선정 도서
소중애 지음, 방새미 그림 / 거북이북스 / 201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표지속 주인공은 남자아이인지 여자아이인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전 여자 아이인줄 알았거든요.

그래서 아이에게도 애가 남자로 보여 여자로 보여 하고 물었더니

여자 아이라고 하더라구요~

주인공 도도~

몇페이지만 읽어도..

정말 짜증 제대로 나는 친구를 만났답니다.

 

 

짜증은 벽돌이다

엄마는 읽으면서 이 대목이 자꾸만 눈에 들어오던데

10살 울 딸은 도도의 짜증에만 눈이 들어오나봐요

 

 

도도가 만든 짜증방이죠?

표지에서도 나왔지만.

도도는 짜증방에서 무얼보았을지..

사실 방 하나하나 보면서

친구의 감정변화라던가..

혹은 그 안에서 느껴지는 사랑이 화악~다가오더라구요

아..훈계로만 가르치려 하는것이 아니라

감동으로 교훈을 주려고 하는거구나..하고 알게 되었어요

 

책의 내용은 어찌보면 참 간단하게 이야기하고 풀어나가요

그렇게 생각을 많이 하지 않아도 되고요

하지만 읽으면서 재밌고

재밌게 읽으뒤에 느끼게 하더라구요

책을 읽으면서 첫부분에 이런 글이 있어요

동갑내기 엄마들.

근데 도도의 엄마는 주름살이 많아 언니 같데요

그리고 도도네 집 식구들은 모두 말랐다고 나와요.

왜냐구요?

도도의 짜증이 원인이었죠~

 

하지만 나중에 이런 글도 나온답니다.

상희 엄마보다 동생같아요~

도도는 이제 알아요.

짜증이 벽돌이라는 걸.

짜증으로 쌓아놓은 방안에서 나온 도도는

이제 짜증이 얼마나 무서운지 알게 된거 같아요~

 

 

 

아이도 쉽게 읽을수 있어서

더 좋았던 책이랍니다.

책을 읽으면서 아이뿐 아니라 제 짜증의 벽돌은 과연 어느 높이까지 방을 만들었나 걱정이

되더라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니세프가 들려주는 어린이 권리
제라르 도텔 지음, 곽노경 옮김, 루이즈 외젤 그림 / 개암나무 / 2014년 2월
평점 :
절판


<유니세프가 들려주는 어린이 권리>

어린이의 권리 얼마나 알고 계세요?

전 그냥 막연히 어린이의 권리라고 하면

행복할 권리가 있다고만 생각했거든요

크게 말하면 어쩜 다 하나로 통하는 거지만

어떻게 하면 어린이가 행복한지.

혹은 그 기본적인 것을 누리지 못하는 아이들이 얼마나 많은지를

모르고 있었던거 같아요

 

책은 정말 슬픔과 희망을 함께 이야기 해주고 있어요

세상에 너무도 많은 아이들이 기본적인것도 누리지 못하고 죽어가고 있더라구요

차례만 살펴보아도

쉽게 알수 있었는데요

 

나는 이름과 국적을 가질 권리가 있어요 - 앙골라의 이름 없는 꼬마
나는 가족과 함께 살 권리가 있어요 - 프랑스의 가족을 빼앗긴 할머니, 나딘
나는 음식을 골고루, 충분히 먹을 권리가 있어요 - 에티오피아의 앙상한 아기, 이망
나는 질병으로부터 보호받고, 치료받을 권리가 있어요
- 아이티의 모기장이 필요한 소년, 보니파스
나는 깨끗한 물을 마실 권리가 있어요 - 토고의 물 긷는 소녀, 에피파니
나는 학교에 갈 권리가 있어요 - 인도의 가출 소녀, 라리타
나는 노동과 착취로부터 보호받을 권리가 있어요 - 파키스탄의 벽돌 공장에서 일하는 지샹
나는 전쟁을 겪거나 참여하지 않을 권리가 있어요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어린 병사, 조제프
나는 집을 가질 권리가 있어요 - 프랑스의 낡은 집에서 사는 세바스티앙
나는 놀고, 춤추고, 노래할 권리가 있어요 - 시리아의 놀이터를 빼앗긴 바스마
나는 나와 관련된 것에 대해 내 의견을 말할 권리가 있어요
- 나이지리아의 어린 약혼녀, 자하라
나는 존중받을 권리가 있어요 - 프랑스의 따돌림 당하는 아이, 토마

 

 

그중 우리가 가장 쉽게 보고
가장 쉽게 도움을 주고 있는 부분에 대해 저두 담아보았어요
나는 음식을 골고루 , 충분히 먹을 권리가 있어요
너무 슬픈 권리지요?
아마도 이 글을 읽는 사람이라면.
내 아이만큼은 먹기싫다 할때 수저들고 한숟가락이라도 더 먹일려고 다녀보셨을텐데요
먹기 싫다 외치는 아이들만큼이나.
먹고 싶다..말하는 아이들도 너무 많다는거..
가장 기본적인 것이 해결이 안되어서 심지어 죽어가는 아이들이 세상에 너무 많다는게
안타까울뿐이네요

어떤 모습인지 책속 사진을 통해 우리는 금방 볼수 있어요
그리고 이런 모습은 TV에서도 많이 보았을꺼예요
가끔 이런 생각을 했어요
우리 나라에서도 굶고 있는 아이들이 있는데.
나와는 상관없을꺼 같은 먼 나라 아이들의 이야기를 왜 우리가 이렇게 접하고 있지? 하고 말이죠.
아이를 키우는 엄마 임에도 불구하고 부끄럽지만 그런 생각을 했답니다.

 

 

 

먹지 못해서 죽어가요..
그리고 아이뿐 아니라 산모 역시 못먹기 때문에 더 작은 미숙아를 출산하게 되구요
분명 아주 큰 악순환인데..그 고리가 쉽게 끊어지지 않는것도
너무나 슬픈 현실이죠

 

10월 16일 세계식량의 날 이라네요
사실 처음 들어본 날이예요
그만큼 관심이 없었던게 맞는 말이고
돌이켜보면 식량걱정따위 없이 사는 우리내 풍족한 삶 때문일수도 있겠지요

 

어린이의 약속을 보면.

어른이 된후에도 어린이의 권리를 지켜주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습니다 라는 말이 나와요

제가 크면서

이 책에 나오는 권리를 누구에게 침해 받아본적도, 누려보지 못한적도 없는데

그리고 우리 아이 역시 아직은 이 권리를 잘 누리고 있는데요

세상의 수많은 아이들..

사실 잘 알지 못해서..

도와주지 못하고 그 소중한 권리를 아이 스스로 택하지도 못하네요

힘든 나라만의 이야기겠지? 하고 생각하시나요?

아니요? 우리가 잘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프랑스에선

가족과 함께 살 권리를 말해요

어린이의 권리.

우리가 알지 못하고 있는 사이에 너무 많이 침해하고 있는건 아닌지.

가까운 내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도 있음을 알게 되는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 읽는 강아지 몽몽 - 제3회 비룡소 문학상 대상 수상작 난 책읽기가 좋아
최은옥 지음, 신지수 그림 / 비룡소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책 읽는 강아지 몽몽"

일단 그림보단 글씨가 많은 책이예요

저희 아이는 그림 많은 책을 아직도 좋아해서

초3이 되는데도 불구하고 글 많은 책은 살짝이 부담스러워 한답니다.

하지만 어? 강아지가 책을 읽는데? 라는 한문장에 궁금증이 생기나 봐요

몽몽이는 집안 식구들이 모두 집을 비운 사이에

이렇게 책을 읽는 답니다

쉿! 아무도 모르는 우리집 애완견의 취향

바로 몽몽이는 책을 읽는 취향을 가지고 있는거죠~

우리집에도 애완견들이 있는데.

우리집 애완견들의 취향은 무엇일까요?

 

책 좋아하는 몽몽이와 게임좋아하는 영웅이..

둘의 대결이 펼쳐지는 이야기~~

어떻게든 책을 읽게 하고 말테야~~

몽몽이가 영웅이에게 책을 읽게 해줄수 있을까요?

 

------------------------------------------------------------------------

우리 몽몽이가 아주 재미나게 책을 보는ㄷ데~~

아 이 책때문에..몽몽이는 매우 힘들어 지네요~~

몽몽아..너 이제 어떻게 할래?

 

 

 

 

 

몽몽이의 고민은 딱 하나.

바로 어떻게 하면 2권을 읽느냐는 건데요~~

도서관은 애견출입금지라서.들어갈수도 없고

아~~몽몽이 어쩌지?

2권이 궁금해서 결국 병까지 나는 몽몽이~~

그 마음도 몰라주는 주인때문에..

결국 주사까지 맞게 되는데요~~

몽몽이에게 좋은 해결책을 알려주는 공주~~

바로 영웅이가 책을 읽게 하라~~

그럼 영웅이가 궁금해 할테고..

그럼 2권도 살테고~~

제발 읽어라 제발 읽어라~~

영웅이 읽게 할려고 게임기도 숨기고

컴퓨터도 꺼버리고~~

그러던 어느날.

바로 화장실 사건이 벌어지는데요~~

 

표정만 봐도 몽몽이가 목적을 달성한거 같나요?

몽몽이가 2권도 3권도 즐겁게 볼수 있었을꺼 같나요?

책읽기를 좋아하는 몽몽이

그리고 아이들의 모습을 대표하는 영웅이.

그리고 어찌보면 바쁘다고 책 읽기를 소흘히 하는 엄마의 모습이

마치 저와 닮은거 같더라구요

아이가 글을 읽는다고 언제부턴가 책을 읽어주고 있지 않는데

아무래도 다시 함께 읽을수 있는 시간을 갖어야 할꺼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