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을 맞대고 둘이 하나 된 듯 추지만 나의 무게 중심은 언제나 내 안에 있다는 것. 상대에게 의존하지 않고, 결국엔 반드시 나 스스로 내 몸의 균형을 잡아야 한다는 것. 가슴을 다 내어주지만 끝내 홀로 서 있을 줄 알아야 한다는 것. 탱고가 내게 전해준 훌륭한 지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탱고 출 때 팔은 거의 고정되어 있다. 척추를 곧게 세운 상태로 상체 프레임을 늘 견고하게 유지해야 하므로. 반면에 다리는 언제나 자유롭고 가볍다. 하체가 매순간 격렬하게 요동치는 동안에도 상체는 차분하고 고요하다는 것. 그렇게 정중동 동중정을 유지하며 흐르는 선율에 파트너와 함께 몸을 합치시키는 것. 이런 방식이, 춤 출 때 대단히 명상적인 기분을 주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춤판이란 데는 참, 한 번 들어가면 세상에 무슨 이런 동네가 다 있나 싶다가도 빠져나와 돌이켜보면 일장춘몽이 따로 없구나 싶다. 그랬다가 다시 들어가면 역시 또 지구상에 무슨 이런 데가 다 있나 싶고. 한 번씩 큰맘 먹고 입수할 때마다 매번 심신이 새로운 스타일로 리셋되는 기분이 들면서 온몸의 감각이 극도로 발기하는, 현실과는 완벽하게 다른 차원의 세계. 이곳에 있을 때 만큼은 이곳에서 흘리는 땀과 눈물만이 생의 진경이자 정수라는 확신이 드는, 그런 기막힌 세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탱고 출 때 극도로 집중해야 하는 그런 상황이 좋다. 뇌세포가 싱싱해지는 기분. 청각과 촉각이 최대치로 민감하게 열린 상태에서의 심취, 집중, 몰입- 이런 상태가 한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 춤이 아니면 경험할 수 없는 강렬한 기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느낀 건데 탱고는 반드시, 반드시 음악에 맞춰서 춰야 할 거 같다. 땅고 음악에 맞춰서 춰야 그 춤이 비로소 땅고인 것 같다. 음악에만 정확히 맞으면 패턴이 화려하지 않아도 완성된 춤이 될 수 있을 거 같다. 음악하고 따로 놀면 그건 뭐 캬바레에서 부둥켜 안고 추는 거랑 다를 게 뭔가. 노엘리아가 <라 뚜뿡가띠나> 곡에 맞춰서 발동작 하는 거 보면 눈물 난다. 너무 예뻐서. 빠사다도 음악에 맞춰서 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