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과 불만과 슬픔을 야기하는 모든 현상, 그 현상을 아우르는 어떤 본질적이고 항구적이고 절대적인 무언가가 있으리라는 믿음, 어쩌면 그 믿음이 내가 처음부터 상정한 진리가 아니었을까. 2005년도부터 갑자기 오락이 아닌 공부의 목적으로 책을 읽기 시작했던 것, 책 중에서도 궁극적으로는 종교나 사상서, 철학서를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던 것, 그리고 철학 가르쳐 준다는 곳을 찾아 여기저기 기웃거리고 있는 현재의 내 처지에 이르기까지

 

본질적인 무언가를 향해 느리지만 서서히 접근해 가고 있다고 여겼던 이러한 여정이 사실은, 내가 처음부터 상정했던 진리(본질적인 무언가가 있으리라는 믿음)가 근간이 되어 정당화된 하나의 실천 활동이 아니었을까. 그러니까 내가 확신했던 본질적이고 근본적인 것의 존재, '진리가 있을 것이다'라는 내가 지어낸 그 진리란 결국, 나를 둘러싼 바로 이 상황, 나의 실천으로 이루어진 바로 이 환경, 내가 만들어낸 이 카르마 속에서 내가 나 자신을 나의 인식 수준에서 정당화하기 위해 동원한 믿음이었던 게 아닐까.

 

동원된 믿음과 그러한 믿음을 근간으로 한 일련의 실천들의 기저에서 나를 움직였던 힘은 무엇이었을까. 내 안의 무엇이 나로 하여금 이런 쪽으로 흘러가게 유도했을까? 어떤, 욕구 불만이 있었던 것 같다. 열등감, 아류의식, 자기애 부족, 자기확신과 자기긍정의 부족, 부족한 자아 존중감을 보충하려는 욕심 등. 욕심은 사실상 '생에 대한 욕망'이 아닐까. 오리지날하게 존재하고 싶은, 내가 나로서 여실하게 존재하고 싶은 그런 욕망. 내 몫의 생에 대한 집착.

 

고통과 불만과 슬픔이 미친 불길처럼 치솟아 올라 문득 습관처럼 이 모든 것들을 스스로 우아하게 일거에 종결해버리고 싶은 때가 있다. 사신의 유혹으로 마음이 달뜨는 그런 밤이 있다. 그러나 나는 사실은 그 누구보다도 열렬하게 살고 싶은 사람이 아닐까. '살고 싶은 욕망’에 과부하가 걸려있는 사람이 바로 나라는 사람 아닐까.

 

살고 싶은 욕망은 곧 앎에 대한 욕망이기도 할 터, 그래서 나는 알고 싶었던 것이다. 그리고 계속해서 더욱 더 알고자 하는 것이다. 나는 무엇을 이해하는 데 있어 남들보다 늘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대신에 나에게는 곰곰이 끈덕지게 생각하는 습관이 있으니, 이것을 내 장점으로 삼아도 될 것이다. 또 나는 깨우친 것을 금방 잊어버리기도 잘 하지만, 내게는 생각한 바를 글로 남길 수 있는 능력이 있고, 또 한편으로 니체에 따르면 그때그때 잊어버리는 것이야말로 놀라운 능력이라고 하니까 기실 걱정할 바가 못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소의 말
                 
                  이중섭

높고 뚜렷하고
참된 숨결
나려나려 이제 여기에
고웁게 나려
두북두북 쌓이고
철철 넘치소서
삶은 외롭고 서글프고 그리운 것
아름답도다
여기에 맑게 두 눈 열고
가슴 환히 헤친다

 

제주도 여행 도중 들렀던 이중섭의 생가에는 빈방 벽에 덩그러니 이런 시가 붙어 있었다. 그럼에도 삶은, 종내에는 어찌할 수 없이 그리운 것이라던 이 화가는 나이 마흔에 간염과 영양실조로 요절했다. 시신은 무연고자로 처리되어 사흘이나 방치되었다. 기쁘게 몸 받아 다만 흉터와 옹이 몇 개 새기고 돌아가는 게 어쩌면 우리에게 내정된 섭리인 것일까. 맑고 고요한 심연에 단단한 옹이를 거느린 사람들한테서는 언제나 범접할 수 없는 위엄과 기품이 느껴진다. 눈밭을 걷는 목이 긴 사슴처럼 우아하고 의연한 사람들. 표표한 걸음마다 깊은 향이 여운으로 남는 그런 사람들을 앞에서는 그저 숙연해질 수밖에. 생의 그 모든 비린 것들이 눅진하게 발효되기까지 나는 얼마나 더 많이 고함치고 울부짖고 날뛰어야 할까. 찰진 밥이 되기 위해 얼마다 더 오랜 동안 뜸이 들어야 할까. 숨 막히는 어둠 속에서 나는 얼마나 더 모진 것들로부터 겁간을 당해야 할까. 가슴 환히 헤치고 끝내 아름답다 말할 수 있을 때까지 곰삭혀야 할 날들이 아직은 아득하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개천 바닥에서 물결을 따라 힘차게 요동하는 실지렁이, 타는 여름 매미의 그악스런 울음, 바람 불 적마다 일제히 소리치는 플라타너스 잎사귀들, 아기새처럼 고개를 쳐들고 정오의 햇살을 꿀떡꿀떡 받아먹는 해바라기, 과녘을 주시하는 궁수의 형형한 눈빛... 코나투스, 권력의지, 자기보존욕망, 생명욕동, 양태를 지속하려는 성질 등 이 모든 딱딱한 말들은 결국 이런 것들을 설명하기 위한 관념어가 아닐까. 철학적 표현이든 서정적 표현이든 궁극적으로는 동일한 실체를 언어화하려는 각기 다른 방식의 노력이 아닐까. 우리가 이토록 열심히 '그것'의 존재를 감지하고 만끽하려 하는 모습 또한 생명 가진 것들의 열렬하고 아름다운 하나의 몸짓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학 시절 동아리 사람들끼리 암실을 빌려 사진 작업을 했던 적이 있다. 자궁 같던 암실에서 흑백 필름을 현상하며 느꼈던 흥분과 설렘을, 아직도 나는 두근대는 추억으로 간직하고 산다. 현상액에 인화지를 띄우고 가만가만 흔들면 낮에 찍었던 풍경들이 아스라이 떠오르기 시작하는 것인데, 그때의 벅차오름을 어떻게 필설로 형언할 수 있을까. 상(像)이 꽃처럼 피어나던 그 마법 같은 현현의 순간을.

 

시도 그렇게 오는 시가 있다. 처음엔 아무 것도 안 보이지만 곰곰이 있으면 문득 꽃처럼 피어나는 시. 그래서 어쩔 줄 놀라 두 눈 비비고 다시 들여다보게 되는, 그런 시. 쉬운 시가 재미없는 까닭은 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꽃도 사진도 시도 피어나는 순간이 가장 눈부시다. 피어나는 순간의 시가 가장 아름답지만, 필듯 말듯 하는 순간의 시도 애틋하다. 잡힐 듯하다 놓칠 때마다 정수리가 자꾸만 간지럽다. 난해한 시가 꼭 싫지만은 않은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이 외 몇 권의 책을 더 독파하고도 동생은 아직 연애에 성공하지 못했다. 동생의 책장에 무슨 업보처럼 쌓여 가는 연애 관련 서적을 볼 때마다 책이라는 것이 대저 얼마나 쓸모없는 물건인가 통감하게 된다. 이만하면 이론은 충분하게 습득하였으니 이제 그만 책일랑 집어던지고 당장 강남역으로 나가 한 마리 굶주린 들개처럼 헌팅을 해봄으로써 실전 경험을 쌓는 편이 낫지 않겠느냐, 하는 충고를 할까 말까 망설이면서 동생과 오손도손 삼겹살을 구워 먹는 크리스마스 저녁이다. 크리스마스에 비가 내린다는 사실에 우리는 얼마나 환호했던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