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포트리스 1
댄 브라운 지음, 이창식 옮김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제목 : 디지털 포트리스Digital Fortress
저자 : 댄 브라운Dan Brown
역자 : 이창식
출판 : 대교베텔스만
작성 : 2005. 07. 29.

 
"뭐냐 이건? 그러니까 원서를 읽으란 말이냐?"
―즉흥 감상―

 
  소설 '다빈치 코드The Da Vinci Code'와 '천사와 악마Angels & Demons'로 유명한 댄 브라운 님의 또 다른 작품 '디지털 포트리스'가 한글번역서로 출판이 되었다는 소식에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곤 있었지만, 전역 후 여행자금을 모으는 군인의 월급으로는 보류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마침 후임 한 명이 그 작품을 샀기에 빌려보게 되었습니다. 후훗. 그런데 이거 읽어 볼만하더군요.
  앞서 번역된 두 작품의 주인공 로버트 랭던이 아닌 NSA(National Security Agency국가안보국)의 암호해독부장 수잔 플레처와 조지타운 대학의 가장 젊은 교수이자 탁월한 외국어 전문가인 데이비드 베커가 주인공인 작품. 그럼 숨막히는 테크노 스릴러의 현장을 살짝 따라가 보겠습니다.
 

  이야기의 시작은 엔세이 탄카토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의 죽음입니다.
  한편 청혼신청의 행복한 꿈에서 깨어나는 수잔은 자신의 약혼자 데이비드의 갑작스런 출장 소식을 접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녀 또한 자신의 직장인 NSA 암호부에서의 비상사태 소식에 부름을 받게 됩니다.
  또 한편 얼떨결에 스페인에 도착한 데이비드는 탄카토의 장례식에 참석하게 됩니다. 그가 접수한 의뢰는 장례식에서 고인의 물건을 회수해오는 것. 하지만 정작 가장 중요할 것 같은 금반지가 사라졌음을 알게되고, 반지를 찾기 위한 그의 험난한 여정이 시작되려합니다.
  이 모든 사건의 발단은 고인 엔세이 탄카토가 NSA의 슈퍼컴퓨터인 '트샌슬러'의 정체를 세상에 공개하고자 트랜슬러마저도 해독할 수 없는 새로운 암호화 프로그램 '디지털 포트리스'를 만들게 되면서입니다. 문제의 소프트를 구하긴 하지만 더 큰 문제는 그 소프트가 '디지털 포티리스'의 암호화 프로그램으로 봉인되어져있다는 것!!
  그렇게 수잔은 NSA에서 데이비드는 스페인에서 '디지털 포트리스'를 무력화할 패스 키를 찾아 나서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계속되는 반전 속에서 사람들이 하나 둘씩 죽어가고 사건은 복잡하게 꼬이기 시작하는데…….

 
  '국가 안보와 테러 방지가 우선인가, 개인의 사생활 보호와 권리가 우선인가'를 묻고 있는 작품. 그것도 그럴 것이 이 작품에 나오는 트랜슬러는 인터넷상의 모든 정보의 암호화 프로그램을 해제시켜 정보를 노출시키게 하는 시스템입니다.
  한창 'X파일―개인적으로 TV시리즈 'THE X-FILES'를 좋아하기에 어감이 마음에 들지 않음―'과 '도청 스캔들'의 난무로 사생활 보장에 대해서 시끄러운 요즘처럼 국가 안보라는 것에 불감증을 느끼는 현대 젊은이들에게 뭔가 생각할 거리를 주는 작품이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빅 브라더big brother와 같은 완전 통제는 바라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비밀이라는 것이 사라지는 모습에 대한 딜레마라니…….
  또한 'quis custodiet custodes ipsos감시자는 누가 감시할 것인가'라는 글귀를 보고 있자니, 요즘 말 많은 검사와 경찰의 수사권 독립에 관한 사회적 이슈까지 생각하게 하는군요.

 
  으음. 그나저나 앞서 읽은 두 작품보다는 뭐랄까요? 우연적 사건전개가 간간이 보이는 듯 해 뭔가 억지 같은 감이 없지 않았습니다. 뭐. 첫 번째 작품이라 불려지니 그러려니 생각해보며, 그래도 댄 브라운 식의 스릴러는 후훗. 한 페이지 한 페이지가 빨리 넘어가는군요.

 
  그럼 언젠가 출간될 'Deception Point'를 기대하며, 또한 작가가 남긴 마지막 메시지를 기록하며 감상기록을 종료합니다.

 
128-10-93-85-10-128-98-112-6-6-25-126-39-1-68-78

 
Ps. 처음에는 위의 숫자가 무엇인가해서 에필로그를 집중적으로 몇 차례 읽었고, 혹시 암호가 아닐까라는 생각에 밤을 설쳤습니다. 덕분에 수면부족과 멀미가 다 나는 줄 알았습니다만, 결국 이런저런 방법 다 사용해보고 알아낸 것이라곤 원서를 읽어야만 암호를 해독할 수 있다는 사실뿐이었습니다. 물론 지금은 답을 알고 있습니다만, 이 작품을 번역하신 분도 이 점을 조금 신경 써 주셨으면 하는 아쉬운 감이 없지 않아 있군요.
 
 

TEXT No. 1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폐허
케빈J.앤더슨 / 시공사 / 1997년 5월
평점 :
품절




제목 : 폐허Ruins THE X-FILES
저자 : 케빈 J.앤더슨Kevin J. Anderson
역자 : 이무열
출판 : 시공사
작성 : 2005. 07. 27.
 

"이번에는 고독한 총잡이The Lone Gun-man 삼총사
바이어스, 랭리, 프로하이크까지?!"

 
  앞선 '그라운드 제로Ground Zero THE X-FILES'에서는 스키너 부국장과 '악령Goblins THE X-FILES'에서와는 달리 친숙한 느낌의 멀더와 스컬리가 나오는가 했더니, 이번에는 멀더의 괴짜친구들 마저―잠시지만―등장하자 이거 흥분해버린 것 같습니다(웃음)
  거기에다가 영상으로 만들었다면 블록버스터가 될 수도 있을 만큼 거대한 규모의 사건 전개까지!! 그럼 또 한번의 'TV에서 방영되지 않은'이라는 타이틀을 건 이번 작품을 우리의 두 주인공을 따라 눅눅하고 후덥지근한 정글 속의 현장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이야기의 시작은 카산드라 루비콘이라는 이름의 여성 고고학자가 엽니다. 찌는 듯한 무더위의 정글 속. 멸망한 마야의 고대문명 중 하나인 '시클리탄'에서 발굴에 힘쓰는 젊은이들이 보이는군요. 원주민들까지 꺼리는 신전이자 이때 것 발굴되지 않은 고대의 피라미드를 탐사하는 사람들. 카산드라는 피라미드 지하에서 고대 마야문명의 흔적이 아닌 전혀 새로운 '무엇'을 접하게 되고, 그 사실을 알리려 지상으로 나오지만 그녀는 자신들이 누군가에게 습격 당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죽음의 추적을 피해 다시금 피라미드의 지하로 도망치는 그녀는 위기의 순간 밝은 빛 속에 갇히게 되는데…….
  미국의 한 고고학 조사단의 실종사건으로 인해 X파일 부서의 멀더와 스컬리는 자신의 딸인 카산드라를 찾고자하는 고고학자 블라디미르 루비콘 박사와 함께 고대의 유적으로 떠나게 됩니다. 하지만 탐색의 과정에서 박사가 의문의 죽음을 당하게 되고, 사건의 실마리가 풀려나가기 시작하지만, 그들 앞에 드러난 진실은 그들 모두의 상식을 뒤엎어버리려 하는데…….

 
  마약 왕의 세력 싸움. 자유를 위한 폭력 독립단체, 의문의 군사기지를 파괴하기 위한 비공식 미군부대. 고대유물을 통해 이득을 취하려는 사람들. 그리고 실종된 사람들을 찾기 위한 주인공들을 한 자리에 모이게 한 고대의 피라미드 '시클리탄'. 소용돌이치는 그 모든 혼란을 잠식시키는 고대의 전설의 실체들이 X파일 특유의 감각으로 재조명되는 모습에 즐거운 기분으로 시간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고대 문명. 현대의 과학으로 해명되지 않는 수많은 미스터리들. 잊혀진 과거에 대한 루머 중 하나인 외계의 문명이라는 소재를 X파일의 두 주인공과 함께 파헤쳐 보았습니다. 하지만 정작 드러난 진실을 두 눈 똑바로 본 주인공이 멀더 혼자라는 사실에, 결국 사건은 다른 모든 X파일의 이야기가 그렇듯 또 하나의 미해결 문서로 종결되고 마는군요.

 
  앞으로의 미래는 알 수 없을 수밖에 없다지만, 그 흔적이 여실히 남아있는 과거마저도 제대로 알 수 없는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 나름대로 인지할 수 있다고 말하는 가까운 과거마저도 역사적 재구성을 통해 왜곡시켜 사실을 망각해 가는 모습을 보면 글쎄요. 한치 앞은 고사하고 방금 전마저도 똑바로 알 수 없는 우리는 '진실'에 대해 무엇을 말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드는군요.

 
  TV시리즈를 뒤죽박죽으로 봐서 이번 작품이 어느 시간대의 이야기인지 확실하진 않지만, 스컬리가 유괴되었다가 돌아온 뒤라는 설명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런. 슬슬 감상기록을 종료하려는데, 제 후임이 구매한 댄 브라운 님의 '디지털 포트리스Digital Fortress'가 도착했습니다. 그럼 '회오리바람Whirl Wind THE X-FILES'은 그 다음으로 보류해보렵니다(웃음)
 
 
[아.자모네] A.ZaMoNe's 무하오타 with 얼음의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라운드 제로
케빈J.앤더슨 / 시공사 / 1997년 4월
평점 :
품절



제목 : 그라운드 제로Ground Zero THE X-FILES
저자 : 케빈 J.앤더슨Kevin J. Anderson
역자 : 이창식
출판 : 시공사
작성 : 2005. 07. 26.
 

"와우!! 그리웠어요. 멀더, 스컬리 그리고 스키너 부국장님!!"

 
  방금 것은 이번에 읽은 소설 X파일 '그라운드 제로'를 읽으면서 느꼈던 즉흥 감상입니다. 그것도 그럴 것이 앞서 접했었던 찰스 그랜트Charles Grant의 '악령Goblins THE X-FILES'보다 훨씬 친숙한 느낌의 폭스 멀더와 데이너 스컬리. 그리고 스키너 부국장까지 만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럼 'TV에서 방영되지 않은'이라는 타이틀을 건 상상력을 자극하는 사건 현장을 살짝 따라가 보겠습니다.

 
  텔러 원자력 연구소를 둘러싸고 있는 반전 시위자들. 그리고 그 모습을 지켜보는 한 노인 에밀 그리고리 박사. 그는 시위자들을 무시하기로 하고 다시 자신의 연구를 검토하기 시작합니다. 그것은 '브라이트 앤빌'이라는 이름의 극비 프로젝트로 전혀 새로운 개념의 혁신적인 핵탄두입니다. 그는 컴퓨터 상의 모의 시뮬레이션을 보며 앞으로 벌어질 프로젝트에 대한 확신을 느낍니다. 하지만 그에게 도착한 우편물 중 하나가 그를 통째로 태워버리고 맙니다!!
  마치 폭탄이 터진 것 같은 모든 것이 타버린 공간. 그곳에 FBI X파일 부서의 두 요원인 멀더와 스컬리가 도착하게 됩니다. 일반 폭발물과는 달리 방사능 반응이 있지만 한편 폭발물의 흔적이 남아이지 않은 체 초열로 인해 구워지고 녹아버린 공간. 그 속에서 둘은 미스터리의 향기가 나는 사건을 추적해나가기 시작하는데…….

 
  이번 이야기는 범죄적인 핵실험에 관련된 이야기로 받아들였습니다. 금지된 실험을 위해 태풍을 기다리는 연구진들과 그것을 막으려는 사람들의 이야기. 특히 핵실험 관계자들의 연속되는 의문의 죽음과 정부차원의 은폐공작. 또한 초자연적인 힘의 개입으로 인한 해명불가능의 사건들. 분명 양심과 도덕을 버린 '신의 힘'에 대한 경고를 이번 작품은 하고 있는 듯 했습니다.
  특히 연속되는 죽음 직전에 도착하는 '대가'에 대한 경고문구가 적힌 편지와 함께 하는 검은 색 모래가루는 인과응보에 대한 설정을 보여주는 것 같아 참 인상적으로 접할 수 있었습니다.

 
  X파일이 그저 허구로 만들어진 이야기가 아닌, 실제 하는 사건들을 기본으로 정부의 음모론이나 설명이 불가능한 사건들을 나름대로의 상상력과 과학적 지식으로 접근한다는 것을 생각해보더라도, 이번 작품에서 나오는 역사적 사실은 '핵실험'에 의한 참상의 모습들에 더 나은 결과를 위해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만들어버린 과학의 이면과 인간의 욕심에 대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만 같아 소름이 다 끼치는 줄 알았습니다.

 
  글쎄요. 결국 사건은 미궁에 빠져버리게 되지만, 작가는 이 작품에서 그 대가에 대한 실로 끔찍한 상상력을 보여준 것 같았습니다.

 
  진실을 향해 이번에는 태풍 한가운데로 들어가는 주인공들. 육감에 가까운 추적과 과학적 추리라는 어울리지 않을 듯한, 하지만 환상적인 콤비 플레이를 보이는 멀더와 스컬리의 모습은 마치 영상물을 보는 듯한 친숙한 기분마저 들었던 것입니다.

 
  그럼 이번 작품의 감상 기록을 종료하며, 이번에는 '폐허Ruins THE X-FILES'를 집어 들어봅니다.

 

[아.자모네] A.ZaMoNe's 무한오타 with 얼음의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랑드르 거장의 그림 열린책들 세계문학 216
아르투로 페레스 레베르테 지음, 정창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 : 플랑드르 거장의 그림La Tabla de Flandes
저자 : 아르투로 페레스 레베르테Arturo Perez-Reverte
역자 : 정창
출판 : 열린책들
작성 : 2005. 07. 25.
 

  앞서 읽은 소설 '뒤마 클럽El Club Dumas' 이후 구입하게 된 같은 작가의 소설 '플랑드르 거장의 그림'. 사실 수중에 들어온 것은 1주일이 조금 지났지만, 제가 그동안 소설 '개미Les Fourmis' 3부작을 읽고 있었던지라 같이 군복무하고 있던 의경한테 먼저 빌려줬었습니다. 그런데 전역해야한다면서 반만 읽고 반납해 주더군요. 그런고로 이번 주말은 예술·역사 추리소설과 함께 할 수가 있었습니다.
  그럼 5세기라는 시간의 공백을 둔 살인사건의 미스터리를 뒤쫓는 주인공들을 살짝 따라 가 볼까요?
 

  예술품 복원가 홀리아. 그녀는 자신이 복원중인 〈체스게임〉이라는 플랑드르 거장―피터 반 호이스의 그림 속에 숨겨진 글씨를 발견하게 됩니다. 엑스레이 판독결과 화가가 직접 글씨를 쓰고 색을 덮어 숨겨버린 글씨 'QUIS NECA VIT EQUITEM―누가 기사를 죽였는가?'. 그녀는 작품이 속삭이는 미스터리를 풀기 위해 마음속 상처로 남은 연인이자 예술사가인 알바로를 찾아가 도움을 청하게되고, 대부에 가까운 골동품상 세사르의 조언으로 소규모회사의 회계사원인 체스플레이어 무뇨스를 만나는 등. 그림에 얽힌 미스터리를 하나씩 풀어나가기 시작합니다. 결국 역사 속 살인의 진상이 밝혀지게 되지만, 〈체스게임〉은 현재의 시점에서 다시 '살인'이라는 이름으로 고도의 두뇌게임을 알리기 시작하는데…….

 
  앞서 접했던 소설 '뒤마 클럽'처럼 역사를 지닌 예술품의 난무 속에서 미스터리에 쌓인 사건들이 본 모습을 찾아가는 내용의 추리소설 같았습니다. 특히 이번 작품에서는 무뇨스가 등장하는 부분인 체스 대국에서의 그 현장감 넘치는 표현에, 예전에 관심이 있다가 포기해버렸던 '체스'를 다시 해보고 싶다는 충동이 일어나더군요(웃음)
  또한 사건 해결의 열쇠가 될 〈체스게임〉의 도표그림과 함께 하는 텍스트들은 복잡한 논리의 쉬운 설명과 함께 책을 읽는 독자들로 하여금 사건 속에 동참하게 하는 듯한 기분이 들었습니다.

 
  단순히 흑과 백의 64개의 칸과 32개의 말이 아닌, 그 속에 담겨진 역사와 사람들의 심리. 그리고 이세상의 오묘한 법칙의 대변代辯들. 거의 문외한에 가까운 저 같은 독자들에게도 쉽게 설명하려고 하는 작가의 끈질긴 노력이 엿보이는 작품이라 받아들였습니다.
  거기에 앞서 접했던 소설 '냉정과 열정사이冷靜と情熱のあいだ'의 남자주인공 쥰세이의 직업이기도 했던 '예술품 복원가'에 대해서도 좀더 알게되었는데요. 단순히 파손된 예술품을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작품을 그린 화가의 심정이 되어 역사를 재구성하는 모습 또한 생생하게 묘사하는 작가의 능력에 감동해버렸습니다.

 
  고대의 예술. 그것은 현대인들에게 있어 거의 미스터리에 가까운 이면을 가진 것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그것은 물질적인 완전한 복제가 가능할지라도 예술가들의 장난 마냥 숨겨진 또 다른 이야기들은―그것을 해독하는 이들도 그저 신기하지만―그러한 장치들을 마련하는 예술가들은 과연 어떤 사람들이었을까 생각해보게 하는군요.
  결국 5세기의 공백을 뛰어넘어 밝혀낸 사건의 진상은 자칫 '유럽의 역사마저 다시 쓰게 할 수도 있었다'라는 파격적인 이야기. 만일 우리들 앞에 이런 식의 엄청난 진실이 놓여지게 된다면, 그리고 그 진실로 인해 '죽음의 게임'이 시작되려한다면…… 아아 생각도 하기 싫습니다.

 
  그럼 이 작품을 읽고 난 뒤의 즉흥 감상을 마지막으로 이 기록을 마칩니다.
 

"우리는 미래로의 비전만 볼 것이 아니라,
지나간 과거의 유산을 재검토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하지 않을까?"
 
 
[아.자모네] A.ZaMoNe's 무한오타 with 얼음의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로운 노래를 불러라
스즈키 코지 지음, 정윤아 옮김 / 씨엔씨미디어 / 1999년 8월
평점 :
절판


제목 : 새로운 노래를 불러라あたらし·い うた うたい
저자 : 스즈키 코지鈴木光司
역자 : 정윤아
출판 : 씨엔씨미디어CNC MEDIA
작성 : 2005. 07. 23.


"어린 시절의 소중했던 꿈은 그렇게 미래로 이어질 것이다"
―본문 中―



   처음 이 수필집에 대해 알게 되었을 때 '청소년들에게 보내는 에세이'라는 작은 타이틀로 인해 읽기를 보류하고 있었습니다. 그것도 그럴 것이 '링' 시리즈와 '어두컴컴한 물밑에서'와 같이 공포 소설로 처음 스즈키 코지라는 이름의 작가를 만났었기에, '그런 소설을 쓰는 사람이 청소년들에게 무슨 할 말이 있단 말인가!!'라는 선입견이 먼저 발동했던 것이지요. 하지만 '낙원'과 '햇빛 찬란한 바다'까지 읽은 뒤로 저는 이 작가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버렸음을 부정할 수 없었습니다.
   그렇게 첫 장을 넘기게 된 '새로운 노래를 불러라'.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감동'이었습니다!!


   워낙에 짧은 글들의 집약체이다 보니 전체적인 줄거리가 이렇다 할 것이 없었습니다. 다만 이 에세이를 읽으면서 진짜 목놓고 웃어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글의 시작부분에서 작가가 일본의 시인이자 동화작가인 미야자와 겐지를 전기를 통해 접하고 '아, 나와 닮은 사람도 있었구나'하며 용기를 얻었든, 저는 스즈키 코지라는 작가를 에세이를 통해 접하고 '아, 나와 닮은 사람도 있었구나'하며 이유 모를 동질감에 행복함에 빠져버리고 만 것입니다.
   비록 살아온 환경이나 지금 그의 생활 등 많은 것들이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었지만, 그가 생각하고 있던 이상향과 미래로의 비전 등이 제 마음속의 그 '무엇'과 공명을 일으키는 이 기분은…… 아아 그저 감동이었습니다.


   태평양으로의 항해라는 어린 시절을 꿈. 그 꿈을 위한 형과의 작은 모험기. 그리고 그 꿈을 가슴에 품은 체 두 딸과 아내와 함께 사랑스런 가정을 꾸려나가는 작가.
   이번 에세이를 읽다가 느낀 점은 그의 소중한 작은 꿈이 계속해서 이어진 것들이, 앞서 읽은 그의 작품들 속에서 '너무나도 잘 녹아들어 있었다'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역시 다양하고 많은 경험들이 현재의 모습과 밝은 미래로의 도약의 발판을 만들 수 있었음에 용기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또 이 작품을 읽다가 생각하게 된 것이 하나 더 있다면, 작가가 바라본 '일본의 모습과 삶'에 대한 것입니다. 안정된 것만을 추구하는 모든 삶에 대한 비판 어린 충고의 생각을 읽다보면, 한국에서 살고 있는 제가 '한국의 모습과 삶'에 대해 생각하고 있던 것과 그리 차이가 많지 않다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공무원을 선호하며 유행이라는 신드롬에 대한 집착과 유행화 되어버린 개성의 모습 등. 생활의 안정만을 위해 변화의 가능성을 배제해버리는 실태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작가의 글을 읽다보니 일본이나 우리나라나 비슷한 모습을 가지고 있기에 더 으르렁거리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아닌가 생각을 해보는군요(웃음)
   하지만 작가는 밝은 미래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어려운 삶 속에서 성공한 케이스라며 '잘난 척 하지 마라'며 질타를 가할 사람도 있겠지만, 전업주부이자 프로작가의 길을 걷고 있는 그의 모습은…… 글쎄요. 제가 꿈꾸고 있던 이상향의 그림이라고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은 군인이지만, 아니 입대 전부터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지만, 이 세상에는 해보고 싶은 것들이 너무 많습니다. 하지만 무턱대고 '불가능'을 말해주는 이들이 많아 정작 해보았던 것이 그리 많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이젠 저도 가슴속에 '용기'를 품고 저 자신의 미래를 위해 '새로운 노래'를 불러보려 합니다.


   무엇보다도 비록 가난했더라도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하고 싶은 것을 위해 '새로운 노래를 불러라'를 외치는 작가. 저는 여기에 제가 즐겨 외치는 구호를 덧붙여 외쳐봅니다.


"새로운 노래를 부를지어다!! 파이팅 버닝 라이프!! 버닝 +ㅁ+ /"



Ps, 혹시 우리는 '불가능'을 교육받지는 않았을까요?

 

[아.자모네] A.ZaMoNe's 무한오타 with 얼음의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