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뒤흔든 특허전쟁 승자는 누구인가 - 2012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AcornLoft
정우성 지음 / 에이콘출판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본주의의 위기는 전쟁을 갈구한다. 유형의 그리고 무형의(intangible)...

 

  무형의 전쟁인 특허전쟁은 국경이 아니라 '경쟁의 경계선'을 획정하여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과정이다. 상대방의 절멸을 통한 '독점'보다 시장의 안정적인 '분점'에 목적이 놓이기도 한다.

 

  지은이는 2011년 4월, 애플이 삼성전자를 상대로 포문을 연 특허전쟁을 애플+마이크로소프트+오라클 진영의 '반 구글 전쟁(Anti-Google War)'으로 규정한다. 애플동맹이 노린 것은 실은 구글이었고, 삼성전자는 구글의 방패막이로 동원된 종속변수이다. 그들은 삼성전자와 사이에서가 아니라 구글과 사이에서 경계선을 긋고 싶었던 것이다. 탁견이다. 지피지기하지 못한 삼성전자는 싸움의 복합적 맥락을 점검하지 못한 채 호기롭게 확전의 승부수를 띄웠지만, 스스로 내린 닻은 자만심의 덫이 되고 말았다. 소송과정을 통하여 디자인특허에 대한 통합적 이해의 중요성이 거듭 강조되었다. 표준특허전략은 그것이 '양날의 검'임을 깨닫지 못하는 한 가장 무딘 칼에 불과하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전기문학과 정우성'으로 불렸다는 글쓴이의 역량은 책 곳곳에서 빛을 발한다. 무협지처럼 읽힌다. 다만, 강조와 중언부언의 '경계'가 이따금 모호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특허전쟁 - 기업을 흥하게 만드는 성공적인 특허 경영 전략 AcornLoft
정우성.윤락근 지음 / 에이콘출판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저하게 비즈니스 관점에서 쓴 특허법제의 이모저모. 실용적이고 유익하다. 2011년에 나온 책으로 5년 사이에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었고 따로 그에 대한 업데이트를 할 필요가 있겠으나, 업계 분위기를 파악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물인터넷 - 모든 것이 연결되는 세상
매일경제 IoT 혁명 프로젝트팀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영학부 리포트처럼, 정확성은 별론으로 하고 (기사성) 자료를 한데 모아볼 수 있다는 것은 장점.

 

경제신문 특유의 '호들갑스러운 논조'와 '틀에 박힌 기승전결 구조'['캐안습'이었던 과거 - 특히 기업들이 '개잘해서' 기적적 성장("혁신DNA", "성공DNA" 운운) - 구미일 선진국들은 앞서 나가고 중국은 무서운 속도로 따라오는데, 성장동력은 떨어지고 무엇보다 규제가 '넘나' 많다. 세상은 이토록 급변하는데, 미래에 대한 준비와 도전정신, '헝그리정신'(모기업 대표, 모단체 위원장 내지 기관장 인터뷰)이 부족하다. 요컨대 '대박위기' - 이러저러한 게 중요하다고 족집게 식으로 찍어 줬으니, 전략 세워서 과감하게 혁신하고("3X", "5Y", "ABC" 등 알파벳이나 두문자를 딴 신조어 등장), 정부는 이를 적극 지원·육성해서("~ 3.0", "글로벌 ~", "~허브"와 같은 용어 등장), 새로운 패러다임에서는 '패스트 팔로워'에 그치지 말고 '퍼스트 무버'가 되자. 끝.]로 인한 '닭살돋음'만 극복한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업, 인류 최고의 발명품
존 미클스웨이트 & 에이드리언 울드리지 지음, 유경찬 옮김 / 을유문화사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원제는 <The Company : A Short History of a Revolutionary Idea>이다. 본디의 제목이 책 내용을 더 잘 대변한다. <기업, 인류 최고의 발명품>이라는 제목을 선택한 역자와 출판사의 선택이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아니나, 좀체 흥분하지 않는 영국인 저자들의 논조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 새로 출간되기 전의, <기업의 역사>라는 상대적으로 원저에 더 충실한 구판 제목도, 비록 자극성은 조금 떨어지더라도 나쁘지 않은 제목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적어도 나의 경우에는, 이전 제목이 아니었더라면 이 책을 제때 발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기업이라는 실체가 자본주의의 역사를 통하여 겪은 우여곡절은, 일면 국가나 사회와 사이에 펼친 힘 대결 내지 투쟁 과정이기도 하다. 책은 그러한 과정의 주요 장면을, 개략적으로나마 버릴 내용 없이 밀도 높게 서술하고 있어, 마치 '요약본 무협지'를 읽는 것 같은 기분도 든다. 이 많은 내용을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압축한 탁월한 솜씨는 '역시 이코노미스트 기자답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저자들은 그 활극의 끝에 기업과 시민사회가 얻게 된 깨달음과 성숙의 면모에 대해서도 지적한다.
 
  이코노미스트 기사들처럼, 사실의 나열에 그치지 않고 성실한 공부를 바탕으로 나름의 분석을 (소개)하고 있는 것이 유익하다. 그러나 독서의 흐름을 고려한 탓인지 출처를 해당 부분마다 표시해주지 않고, 책의 끄트머리에 '참고문헌' 형태로 한꺼번에 정리하고 있는 것은 대단히 아쉽다.

"우리는 새로운 조직 사회에 직면해 있다. 우리 삶은 과거의 진로에서 완전히 벗어났다."(247쪽)

- 우드로 윌슨(미국 28대 대통령), 1912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빅데이터 마케팅 - 고객 참여와 성과를 끌어내는 마케팅 로드맵
리사 아더 지음, 이흥섭 옮김 / 더난출판사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했던 말을 또 하고 또 하고...

 

  단행본 공급이 저널 생산, 변화 속도(즉. 책으로 정리되어야 할 컨텐츠의 생산량과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여 읽을 책이 별로 없는 아주 짧은 기간 동안에는,

  단지 조금 발빠르게 출간되었고 마땅한 대안이 (당시까지는) 딱히 없다는 이유로, 이렇게 대충 쓴 내용 없는 책이 잠깐이나마 읽히기도 하는 것 같다.

 

  구호가 난무하는 여느 자기계발서(?)가 대개 그러하듯, 몸짓이 무척 크지만 쓸 말은 적다.

  핵심만 취하고, 나머지는 빛의 속도로 훑어보는 것으로 족하다.

 

  출간 직후 거의 두 주 사이에 여러 분들이 부여한 후한 별점에도 불구하고,

  금방 퇴장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도 효용을 다하여 잊힌 것이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