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떡과 초콜릿, 경성에 오다 - 식민지 조선을 위로한 8가지 디저트
박현수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3월
평점 :
오늘날 인스타에는 데이트코스 추천 릴스가 넘쳐난다. 수많은 맛집의 메뉴와 디저트, 예쁜 공간이 담긴 사진과 동영상들은 수많은 조회수를 기록한다. 한편, 쌀, 면과 같은 주식과 달리 디저트는 가성비, 맛, 새로운 유행에 민감한 선택적 음식이다. 저자가 일제 강점기에 들어온 초콜릿을 ‘로맨쓰’의 맛이라고 표현하는 이 책도 그렇다. ‘식민지 조선을 위로한 8가지 디저트’라는 부제처럼 당시의 데이트를 상상할 수 있는 디저트들이 눈에 선하다. 하지만 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은 마냥 달달하지만은 않고 ‘마뜩찮은’부분이 그림자처럼 존재하는 것에 대해 저자는 ‘들어가며’에서 이렇게 이야기한다.
“책을 마무리하고도 마뜩찮은 부분이 있다. 조사에 따르면 가장 인기 있는 디저트는 종류에 상관없이 몇 가지 특징을 지닌다고 한다. 하나가 달콤한 맛이라면 다른 하나는 부드러움인데, 요즘은 거기에 차가운 맛도 더해진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다룬 디저트가 사람들을 매혹한 이유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새롭게 등장한 디저트는 달콤하고 차가운 맛에다 문명이라는 가면까지 쓰고 조선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런데 그 과정은 이전까지 즐겨 먹던 간식이 밀려나는 과정과 맞물려 있었다. 한과, 약과, 식혜, 엿 등의 주전부리는 달콤한 차가움에서 새로운 디저트의 경쟁 상대가 되지 못했다. 앞선 마뜩찮음은 여기에서 연유한다.”(p.8)
나는 이 한 단락의 글이 이 책을 관통하는 기찻길 같다는 생각을 했다. 이 문장처럼 디저트는 달콤하면서 부드럽고 가끔 차가운 맛도 더해져야 하지만, 여기에 더해 새로운 유행과도 같은 멈추지 않는, 근대의 맛은 당시의 퍼스트무버, 얼리어댑터이자 인플루언서들을 자극하며 일반인에게 보급한다. 그러면 이전의 오랜 전통을 가진 디저트나 잠시 유행했던 것들은 더이상 메인에 서지 못하고 구석으로, 뒤안길로 밀릴 수밖에 없다. 이런 모습은 우리나라의 전통과 충돌했던 근대성과도 닮아있다. 디저트에서 이것을 발견한 저자에게 감동(!)하며 나는 이 책을 흥미롭게 읽기 시작했다.
이 책은– 커피, 만주, 멜론, 호떡, 라무네, 초콜릿, 군고구마, 빙수 –라는 여덟가지 디저트가 일제강점기의 경성에서 널리 퍼지는 광경을 파노라마처럼 보여준다. 함께 커피를 마시고 초콜릿을 먹는 연인들, 영화를 보며 마시는 라무네, 추운 겨울에 코와 손이 빨갛게 부르터가면서 학업의 끈을 놓지 않고자 장사에 나선 만주를 파는 학생들, 지저분한 가게지만 고소한 기름냄새 풍기며 배고픔을 극대화 시켰을 호떡집 중국인 주인들, 그 앞에서 부끄럽게 먹는 한국인. 멜론이라는 최상급의 과일을 향한 이상의 비애, 조선시대에는 널리 퍼지지 못한 고구마지만 강점기 시절, 감자가 아닌 고구마를 훔친 복녀와 군고구마에 밀린 군밤, 그리고 왜 아아를 한국사람들이 좋아하는지 이제야 알것만 같은 빙수에 대한 범국민적인 사랑. 일제 강점기라는 아픈 시절 속 다양한 사연과 소설 속에 녹아든 디저트에 대한 이야기들이 2025년을 살아가는 내 눈앞에 생생하게 재현된다.
유행이라는게 돌고돌아 당밀이 함유되어 건강한 단맛이라는 띠를 두르고 다시 인기중인 조청과 할머니 입맛 MZ들이 선택한 약과의 약진이 눈부신 요즘 디저트 세상을 본다. 이 책을 더욱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현상이다.
또, 개인적으로는 호떡부분을 읽으며 <작은 땅의 야수들>에서 1920년대 후반에 많이 생겨난 중국집을 배경으로 활동하는 정호를 떠올렸다. 호떡파는 중국 상인들처럼 이때, 산둥지방에서 중국인들이 많이 넘어왔다고 고증이 되어 있었다. 1950년 중반이후를 시대배경으로 한 김원일의 <마당깊은 집>에서 한국전쟁으로 팔을 잃은 상이군인 출신의 준호댁이 아이를 업고 붕어빵을 굽던 모습도 떠올랐다. 일제강점기 이후의 또 다른 디저트의 출현이다. 벌써부터 이 이후의 디저트들이 담긴 저자의 책이 기대된다. 어떤 작품에서 어떤 모습으로 어떤 달콤함으로 무장한 디저트들이 우리를 유혹해 왔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