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자가 AI 시대를 산다면 - 2500년을 초월하는 논어 속 빛나는 가르침
김준태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4월
평점 :
올해 초, 어쩌다 오공완 챌린지에 끼어 논어를 필사했다. 논어, 하면 엄청 고리타분하고 융통성없고 꼰대스러울 것만 같았는데 슬이를 향한 나의 잔소리보다 훨씬 간결해서 의외였다. 그리고 알쏭달쏭한 공자의 문장마다 따뜻한 인의예지가 듬뿍 담긴, 세상 다정한 책이었다. 이런 공자가 AI시대에 살고 있다면? 이분은 경쟁사회 속 우리나라의 속도와 AI 시대에 적응할 수 있을까? 왕 호구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며 이 책을 펼쳤다.
저자님의 다른 책<왕이 절박하게 묻고 신하가 목숨 걸고 답하다>를 한 달 전에 읽은 터라 특히 더 반가웠다. 이 책에서는 조선시대의 책문을 짚으며 오늘날의 국가경영에 대해 논한 저자가 이번에는 공자를 AI 시대로 데려왔다. 공자는 철기가 등장하면서 세상의 패러다임이 바뀌던 때에 살던 인물이다.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여 생산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으나 “문제는 정신이 이를 따라가지 못했다”(p.5)고 한다. 먹고 살기 편해졌으니 태평성대에 가까워지지 않을까, 하고 나같은 백성 나부랭이는 생각했지만, 당시 권력자들은 더 많은 수확량을 갖기 위해 영토를 넓히는 전쟁을 해댔으니 백성들의 삶은 사지로 몰렸던 것이다.
“공자의 고민은 여기에서 출발합니다. 도덕적 가치관이 전복된 시대, 무한 경쟁이 강요되는 시대, 과정이나 동기가 아니라 오직 결과만이 평가받는 시대, 평화로운 일상이 위협받던 시대를 안타까워한 그는 평생을 바쳐 세상과 사람들을 구제하고자 노력했습니다. 구제라 해서 무슨 거창한 게 아닙니다. 공자가 지키고 회복하고자 했던 것은 다름 아닌 ‘사람됨’이었습니다.
AI로 인공지능이 인간을 대신하는 오늘날 역시 공자의 시대와 다르지 않다. 인간이 아닌 AI가 인간같이 사고하는 것으로 보이고 이성적으로는 더욱 완벽하다. 그럼 이제 자유에 좀 더 가까워지지 않을까, 싶지만 오히려 대체당할 것만 같은 불안감으로 기우는 우리 인간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인공지능이 따라오지 못할 인간다움은 어디서 찾아야 할까, 저자는 공자의 인의예지, ‘사람됨’에 주목한다.
이 책은 총 5부로 1부, ‘사람’에서는 공자의 ‘인’을 다룬다. 2부는 ‘올바름’, ‘의’, 3부는 ‘관계’로 ‘예’, 4부는 ‘배움’, ‘지’ 그리고 5부는 인의예지를 제외한 ‘삶’에 대한 논어 문장에 대한 저자의 생각들이 담겼다. 나는 2부 ‘착한 거짓말은 없다’에서 친절을 위한 거짓보다 솔직한 게 낫다는 부분을 읽으며 ”너 T야?“를 떠올렸다. 호의가 당연한 것이 되어 서로 간의 신뢰가 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공자가 우려했다고 뒤이어 쓰여있는 것을 보며 솔직한 성격에 대해 그저 MBTI와 같은 성향, 성격이라고 치부해온 못난 내 모습과 비교되었다. 3부의 ‘사랑한다면 수고롭게’에서 ‘충’이라는 한자에 대해 새롭게 배우기도 했다. 가운데 중과 마음 심이 합쳐진 ‘충’, 즉 진심이라고 여기서는 말하는데 “듣기 좋은 말만 해서는 안 된다는 겁니다. 잘못했으면 감싸지 말고 일깨워 주라는 거죠. (...) 진정으로 그 사람을 사랑하는 길이고, 진정으로 그 사람에게 충성하는 방법입니다.”(p.124).를 읽으며 요새 같으면 오지랖이 될 수도 있고 또 경청이 점점 더 힘들어지는 사회에서 쉽지 않다라는 생각도 들었다. 이 외에도 AI에 대체되지 않는 인간으로 살기 위해서는 유추가 중요하고 또 끊임없이 능동적으로 배우는 사람만이 공자가 말하는 ‘사람됨’을 갖춘 사람으로 살아가는 길임을 강조한 저자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사람으로 태어났지만 사람답게 산다는 것은 참 쉽지 않은 일이로구나.
SNS에는 ChatGPT로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꾼 프사가 도배중이다. 이 외에도 인스타에는 AI기술을 업무에, 공부에 이용하는 간단한 쇼트가 범람한다. 이 기능을 할 줄 모르면 마치 시대에 뒤처지는 것처럼 보이려는지 다들 열심이다. 하지만 그 전에 인공지능이 대체할 수 없는 사람됨이란 어떤 것일지 이 책을 읽고 올바른 가치관을 갖는게 우선순위가 아닐까,라는 생각을 던져 주는 책, <공자가 AI시대를 산다면>이었다.
p.s 프롤로그에 저자가 종강 인사를 대신해 학생들에게 보낸다는 ‘공자의 가상 편지’는 꼭 읽어보시라. 감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