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F 보다 Vol. 1 얼음 ㅣ SF 보다 1
곽재식 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3년 4월
평점 :
곽재식, 구병모, 남유하, 박문영, 연여름, 천선란 6명 작가의 ‘여긴 어디? 나는 누구?’ in SF.
이 6명의 작가들은 얼음이라는 소재를 각각 어떻게 표현했을까? 이 점을 가장 궁금해하며 책을 펼쳤다. 시공간 얼려버리기. 가장 처음으로 곽재식 작가님의 소설을 넣은 건 정말 제대로 된 낚시였다. 난 깔깔 대며 읽었고, “대단하지 않은가?(p.7)” 이런 문장을 읽으며 내가 방송에서 들었던 곽재식 작가님의 코맹맹이 목소리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이 후 다른 작가님들은 아포칼립스 시절을 빙하기로 만들어버리기도 하고, 눈꼽같은 얼음덩어리를 귀에 넣고 다니는 존재로 만들기, 녹고 있는 영구동토층 위에 붕괴되기 일보직전인 임대아파트로 설정하기, (**) 눈까지(스포라서..**표시)! 안타깝다, 이런 단행본은 한 여름에 나왔어야했다. 이 책을 읽으며 몇 번을 얼어붙었다. 심지어 남유하 작가님의 <얼음을 씹다>를 읽은 후 난 이 책을 며칠간 멀리했다. 딸래미 손톱 깎아주면서도 괴로웠다. 다른 분 단편도 마찬가지였다. 몇 번 소름 돋았다. 책을 덮은 후 내가 최근에 읽은 한국작가 SF가 뭐지? 질문했다. 김초엽 작가님의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지구 끝의 온실> 두 편이네, 이 책들은 이 6편의 백신이 될 수 없었다. 다 읽은 후 나의 소름들을 다행히도 곽재식 작가님의 “나는 내가 누구인지 알고, 이게 다 무슨 짓인지도 정확히 안다. 나는 소설의 등장인물이다”를 읽으며 위로받았다. 그래. 다 이야기야, 이야기. 이렇게 생각하고 나서야 얼음이 된 나는 스스로에게 “땡”을 외치며 풀어줄 수 있었다.
구병모 작가님의 <채빙>, 천선란 작가님의 <운조를 위한>은 워낙 네임드가 있으신 작가님들이니 다른 분들도 많이 쓸 거 같아서 패스. 나는 연여름작가님의 <차가운 파수꾼>이 인상적이었다. 이름이 여름이시라 그런지 이렇게 추운 이야기를 이렇게 따뜻하게 쓸 수 있는 건가, 아저씨 농담식으로 생각해보며.. 이 책의 다른 제목으로는 <너를 위한 파수꾼> 에이, 촌시럽구나. <교환>!!!! 이건 괜찮을 것 같은데. 노이와 이제트가 처한 세계에서는 교환만으로 생존이 가능한 세계였다. 하지만 그들의 교환이 조금씩 확장하면서 이런 세계에서도 가능할 수 있구나하는 감정에 대해 이야기한다. 따지고 보면 비극인데, 이게 또 독자에게는 비극이라고 할 수 없는 연탄재 한 장 같은 그런 따스함을 우리에게 던져준다고나 할까.
다음 시리즈는 어떤 공통된 소재로 어떤 작가님들이 써주실까? 궁금해하며...
곽재식 작가님의 첫 문장을 다시 한번 읽어본다. 주문이다. 내 팔에 곧 돋을 goosebumps를 손바닥의 마찰열로 싹싹 비벼가며 다시 책장을 펼친다. 내가 놓쳤던 소름을 찾아 다시 한번 이 얼음 위를 위태롭게 걸어보고 싶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