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귀귀당 1 : 시간이 녹는 줄도 모르고
박현숙 지음, 신소현 그림 / 북스그라운드 / 2024년 6월
평점 :
*신선계에서 ‘조청 가래떡 구이’를 만들며 “수만 년 동안 신선들의 다과를 책임지는 중요한 일을 해 ”(p.9)온 수수할멈과 그녀를 도와주는 동북은, 인간계의 디저트가 맛있다는 한 신선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그렇게 인간 세상에 온 수수할멈과 동북은 인기 좋은 디저트 맛집을 찾아 돌아다니다가 타르트와 빙수, 두 가지를 연구해보기로 한다. ‘무인 카페’라면 사람이 찾아오지 않을 줄 알았으나, 민찬이가 문을 열어 들어오고, 수수할멈은 이 아이에게 디저트의 맛을 테스트해보려 한다. 하지만 신선계의 재료로 만들다보니, 인간이 먹을 때 생기는 부작용이 있었다. (민찬이가 몰래 음식을 싸가서 발생하는 일이긴 하지만) 그렇게 3일이라는 시간이 녹아버리고 이 사라진 시간에 있었던 일을 되돌리려는 민찬이의 이야기가 이 책에 담겨있다.
*단맛이라면 아이들은 다 좋아한다. 슬이 역시 마이쭈와 하리보 젤리로 컸다.(쪘다로 써야 하나) 과자, 초콜릿, 빵, 마쉬맬로우... 요새는 외국의 값싼 젤리와 사탕까지 쉽게 사먹을 수 있다. 내가 주지 않으려고 해도, 유치원, 학교, 학원에서 항상 받아온다. 그래서인지 슬이는 웬만한 과일의 단맛은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 이런 인간계의 단맛이 못마땅할 수수할멈의 마음을 나는 알 것 같다. 하지만 동북은 “음식이든 다과든 입으로만 먹는 게 아니라 눈으로도 먹는다는 걸 말이야. 인간계의 디저트는 하나같이 예뻐.”(p.13)라고 말한다. 나는 이 부분에서 왜인지 무지하게 찔렸다. 나는 수수할멈처럼 노력은 했나, 싶었다. 할멈처럼 연구라도 해야 슬이가 야채, 과일의 건강한 단맛을 느낄 수 있겠구나.
*이 책은 4학년 민찬이가 주인공이다. 최근 들어 살이 찐 자기의 모습을, 좋아하는 여자아이인 지호에게 들키고 싶어하지 않는, 사춘기에 들어선 남학생이다. 지호가 서우라는 아이를 더 챙기는 것 같아 마음이 불편한 민찬이 옆에는, 생각없이 말하는 태평이가 있다. 나는 이 책 통틀어 태평이가 그렇게 얄미웠다. 사실 이 아이가 팥쥐역할을 맡은 건 아니다. 그냥 생각없이 그런거 아니냐, 저런거 아니냐, 정도를 민찬이에게 이야기하는데, 야는 또 왜 그렇게 태평이말만 듣는건지!!(의외의 고구마 인물이었음) 슬이에게 너라면 태평이같은 친구라도 있는게 낫니, 없는 편이 나은지에 대해 이야기해볼만한 인물이었다.(슬이는 그런 애라도 있는게 낫다고!!!!!!) 이제 초등 고학년이 되어 친구들과의 관계가 조금 더 복잡해져가는 요즘, 슬이에게 엄마는 네가 친구들에게 태평이같은 친구는 아니었으면 좋겠구나라는 말을 대신 해줄 수 있는 그런 책이었다.
*동북이가 사실은 토끼 간 구하러 갔던 거북이였다는 것, 신선계에 젊어지는 샘물의 실존 인물이 존재했다는 것 등등 어디서 많이 들어본 옛이야기가 녹아있는 것도 이 책의 재미를 더한다. 나는 무엇보다도 동북이가 왜 그렇게 재채기를 하나 했다. 이런 디테일이 살아있는, 천도복숭아 빛을 띈, 이 귀하고 귀한 책의 다음 시리즈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