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머리에서 발끝까지 우리 몸의 구조 - 해부학 ㅣ 리틀 히포크라테스 5
박승준 지음, 나수은 그림 / 봄마중 / 2024년 12월
평점 :
<머리에서 발끝까지 우리 몸의 구조, 해부학>
봄마중 출판사의 ‘리틀 히포크라테스’ 시리즈 다섯 번째 책이다. 히포크라테스라는 이름이 들어가는 만큼, 복제인간, 의학, 수술, 혈액에 이어 ‘해부학’ 즉, 우리 몸의 구조에 대해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님이신 박승준님이 쓰시고 재미를 더하는 일러스트는 나수은님이 그렸다.
생물의 구조와 형태를 연구하는 해부학에 설명해주는 이 책은, 1장에서는 의학의 아버지인 히포크라테스와 히포크라테스처럼 해부학에서 중요한 클라우디우스 갈레노스, 그림으로 그려둔 레오나르도 다빈치,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를 소개한다. 개인적으로 나는 의학의 아버지는 알았는데 ‘의학의 황제’는 몰랐다. 그는 클라우디우스 갈레노스로 “2세기경 그리스와 로마에서 활동했던 의사야.(...) 로마에서 검투사들을 치료하는 일을 맡게 됐어.(...) 이를 기록으로 남겼지.”(p.21)라고 한다. 그리고 당시 종교의 영향으로 시체 해부를 금지한 시대에 대해 설명해놓았는데 이에 대해 딸래미와 이야기를 하다가 동양의 신체발부 수지부모와 침술이야기까지 진도가 나갔다. 아무래도 슬이는 아는 이름인,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인상적이었다고 한다. 그가 그린 인체해부도는 200년이 지나서야 알려졌기에 그 영예는 다른 사람에게 넘어갔다는 부분에서 안타까웠다고. 이 인체 해부에 대한 수다는 렘브란트의 ‘니콜라스 박사의 해부학 강의’까지 넘나들었다. 이후 우리 몸의 구조를 근골격계, 신경계, 순환계, 호흡계, 소화계, 내분비계, 비뇨계, 감각계 등 8분야로 나누어 우리 몸을 이해하도록 돕는 쉬운 설명과 재미있는 그림으로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쉽게 풀었다. 슬이는 이 중 감각계 부분 중 맛을 느끼는 혀 부분과 비뇨계 장에 도입에 나온 벨기에에 있는, 줄리앙이라 불리우는 오줌싸개 동상이 옷을 매번 갈아입는 모습도 재미있어했다. 의학뿐 아니라 역사와 세계문화를 곁다리로 알수 있어 더 좋은 책이다.
“태풍이 부러워요, 진로가 있잖아요.”라는 요즘 아이들의 말처럼 진로를 고등학교 입학 전에는 정해야 유리한 우리나라의 교육시스템이 야박하다. 하지만 진로를 꼭 하나만 정해서 파는 시대는 이미 지났고 우리 아이들의 세대는 최소 세 개 이상의 직업군을 체험할 것이라는 미래학자들의 말들이 오고가는 요즘, 생명연장의 꿈을 이어온 의학에 대해 관심있는 친구들이 읽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