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몬스터 위로하기
예스페르 세데르스트란드 지음, 클라라 다켄베리 그림, 손화수 옮김 / 책빛 / 2025년 2월
평점 :
살면서 우리는 누군가를 위로해야 하는 순간을 맞이한다.
그 순간에 어떤 말을 건네야 할지, 어떤 표정을 지어야 할지,
내가 해줄 수 있는 건 무엇인지 고민을 하고 걱정을 한다.
행여 조심스러운 마음이 작게 보일까 고민할 때도 있고,
내 표현이 너무 크게 느껴져 부담스러울까 고민도 한다.
해주고 싶은 말은 한가득 있지만, 왠지 조심스러워지고
해주고 싶은 것이 너무도 많지만 애써 참고 내려놓는다.
그 상대가 소중한 존재일수록 마음은 점점 복잡해진다.
혹시 나의 위로가 부족했던 건 아닐까 후회를 하게 된다.
아무리 노력해도 개선이 되지 않으면 나는 이내 실망해
더 이상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나 자신을 탓하기도 한다.
어떻게 하면 내가 위로가 될까, 고민하고 또 고민한다.
그러나 의외로 해답은 간단하고 쉬울 때가 많다.
내가 무엇을 해서가 아니라, 곁에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힘이 되고 위로가 될 수 있는 순간들이 참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런 경험은 나에게도 똑같이 해당되곤 한다.
내가 힘들고 지칠 때, 무작정 엉엉 울고 싶은 그 순간에
내곁에서 나를 지켜주고 묵묵히 바라봐 주는 누군가는
기댈 수 있는 나무가 되며, 쉬어갈 수 있는 그늘이 된다.
특정한 위로의 문장이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정해진 위로의 행동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존재만으로, 함께한다는 믿음만으로도
커다란 위로가 되고, 고마운 동행이 되곤 한다.
그림책 속 소년과 몬스터의 이야기도 마찬가지였다.
문밖에서 아무 말 없이 눈물만 흘려대던 몬스터를 위해,
온 팔을 뻗어 안아주려 했던 소년의 행동,
떨리고 있을 그 손을 잡아주려 했던 생각,
가득 찬 눈물을 닦아주려던 따스한 손길도 필요하지만,
가끔은 진정한 마음이 담긴 따스한 동행만으로도
따스한 위로와 공감이 될 수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커다랗고 대단한 뭔가를 해주어서 고마운 것이 아니라,
곁에 함께 있어주는 것 자체가 위로라는 것을 느꼈다.
국어사전 속 위로라는 단어는 '따뜻한 말이나 행동으로
괴로움을 덜어 주거나 슬픔을 달래주는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나는 그 설명에 글자를 덧붙여 적어두고 싶다.
'따뜻한 말이나 행동, 혹은 함께 있어주는 마음을 통해
괴로움을 덜어주거나 슬픔을 달래 주어 편안하도록 함.'
이라고 말이다.
👉🏻위 리뷰는 직접 책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