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누구에게나 신이 필요한 순간이 있다
에릭 와이너 지음, 김승욱 옮김 / 어크로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십 년 이상 나이 차가 나는 사촌 언니의 결혼식이었다. 이제 막 초등학교에 입학한 나는 엄마 손을 잡고 교회 안 나무 의자에 앉았다. 웨딩드레스를 입은 사촌 언니는 턱시도를 입은 남자와 함께 십자가와 목사 앞에서 고개를 숙였다. 목사가 하객들을 향해 기도하자고 말했다. 사람들이 일제히 일어났다. 나와 엄마도 함께 일어났다. 사람들은 ‘복사-붙여넣기’를 하듯 모두 열손가락을 겹쳤고 나는 엄마에게 우리도 해야 하냐고 물었다. 절집 며느리였던 엄마는 절집 손녀인 나에게 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사방에 사람들이 고개를 숙이고 눈을 감은 채로 깍지를 낄 때, 엄마와 나는 뻣뻣이 서서 엄숙해진 그들을 바라봤다. 


에릭 와이너 작가의 《누구에게나 신이 필요한 순간이 있다》 속 「3장-신은 개인적이다」 편을 읽으며 이십 년이 훌쩍 넘은 기억이 되살아났다. “음식을 먹을 때만 유대인”이자 “일주일에 한 번씩 히브리 학교(유대인 학교)에 나간” 정도의 가정환경에서 자란 작가는 세계 곳곳에 있는 여러 가지 종교를 직접 체험하며 종교와 관련한 책을 준비한다. 이제 불혹을 넘긴 작가는 여러 종교 중 하나인 뉴욕 북부 사우스 브롱크스에 자리한 가톨릭 프란체스코회에 발을 디딘다. 한 교회 앞에서 크리스핀 수도사가 작가에게 고해실에 들어가 볼 것을 권유한다. 작가는 “난 가톨릭 신자가 아니에요.”라고 물러섰지만 크리스핀 수도사는 상관없다고 대답한다. 결국 고해실에 들어간 작가는 “칸막이 뒤에서 움직이고 있는 사람들의 옆모습”을 보곤 “죄송합니다만, 신부님. 저는 가톨릭 신자가 아닙니다.”라고 말한다. “네, 그건 상관없습니다.”라는 대답이 돌아왔지만 “어딘가 불편한 목소리”다. 이내 신부는 “지금부터 미사를 집전해야 하는데 이미 지각했다며 삼십 분 후에 다시 와 달라”고 말한다. 작가는 결국 그곳에서 고해를 마치지 못하고 나온다. 


이 에피소드를 보고 다른 장에서 느낄 수 없는 단어가 떠올랐다. 배척이다. 하필 절집으로 시집온 엄마와 그곳에서 태어난 나는, 낯선 십자가를 보고 두 손을 깍지 낄 수 없었다. 종교가 다르므로 행한, 일종의 배척이었기 때문이다. 정작 엄마와 내가 영향을 받은 종교인 불교는 배척이 아닌 포용을 가르쳤는데. 고작 8살이었던 나는 보호자인 엄마의 말이 우선이었기에 포용하지 못했다. 다르게 보면 엄마의 선택은 배척이 아니라 기치(棄置)일 수 있다. 거부가 아닌 내버려 두기. 그날의 강렬한 경험 때문이었을까. 불교 집안에서 자라 불교 유치원까지 졸업했지만 중학생 때 기독교 동아리에 들어갔다. 하지만 작가처럼 “나는 기도에 대해 별로 생각해 본 적이 없어서” 결국 얼마 가지 않아 탈퇴했다. 가장 친한 친구들이 믿는 종교도 가지각색이다. 그들이 종교를 얼마만큼 깊게 받아들이는지 아닌지는 우리 우정에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들이 무엇을 믿든 나를 배척 하지 않는다면 상관없기 때문이다. 적어도 지금까지는 친구들과 함께 있으면 전혀 다른 세계에 홀로 남겨진 기분은 들지 않는다.


작가는 이슬람교 수피즘부터 불교, 가톨릭, 유대교 등과 같은 널리 알려진 종교에서부터 라엘교, 위카 같은 상상력이 풍부한 종교를 샅샅이 탐험한다. 각 종교에 열성을 다하는 사람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며 유신론, 무신론, 불가지론을 생각한다. 어느 날은 “유대인인 내가 지금 성당에서 뭘 하고 있는 걸까?” 같은 생각에 빠진다. 마치 내가 중학생 때 처음 들어간 기독교 동아리에서 느꼈던 감정처럼. 여덟 살 때 십자가 앞에서 모든 사람이 기도할 때 기도하지 않고 뻣뻣이 고개를 들고 있을 때처럼. 


방방곡곡 종교 여행을 마친 작가는 마침내 깨닫는다. “나는 신을 찾아내는 대신 신을 만들어내야 한다. (...) 만들어낸다기보다는 구축하고 조립한다는 말이 더 어울린다.”라고. “나는 지켜보는 것을 좋아한다. 물론 항상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면서.”라는 문장에도 밑줄을 친다. 지금처럼 다양한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배척하지 않는 자세로 주변에 머물기 바란다. 작가가 행한 직접 경험 대신 간접 경험을 통해 그들이 가진 지혜를 엿보고 싶기 때문이다. 나만의 ‘DIY 종교’는 계속 조립 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
에릭 와이너 지음, 김하현 옮김 / 어크로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생각이 좀처럼 몸 밖으로 나오지 않을 때가 있다. 흘러야 할 물이 흐르지 못하고 고여 있는 상태와 비슷하다. 고인 물은 불지도 줄지도 않는다. 맑은지 탁한지도 가늠하기 어렵다. 물을 흘려보내야 한다. 새로운 물을 맞아야 한다. 살면서 가끔 맞닥뜨리는 이 순간, 깊은 생각으로 둘러싸인 ‘철학’을 떠올린다.

하지만 내게 ‘철학’은 가림막을 친 공사 현장 같다. 무슨 일을 벌이는지 자세히 알 수 없고 어딘가 위험해 보이며 공사 관계자 외에는 함부로 출입할 수 없어 접근하기 쉽지 않다.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를 쓴 에릭 와이너는 가림막 주변을 맴도는 드론 같다. 가림막 속 공사장을 멀리서도 보고 가까이에서도 본다. 그렇게 알아낸 것들을 가림막 속 세상, 즉 ‘철학’을 궁금해하는 나 같은 이들에게 전달한다.

내 삶은 가깝던 인간관계가 무너질 때 가장 또렷해진다. 그럴 때면 발 딛고 있는 세상이 새롭고 남아 있는 사람들과 만든 시간이 다시 보인다. 지금까지 걸어온 길을 곱씹고 어디로 가야 하는지도 고민한다. 벌거숭이로 전신 거울을 보는 것만 같은 시간을 계속 헤집는다. 그리고 한참을 생각한다. ‘어떻게 하면 지혜로워질까?’ 책 속에서 만난 여러 철학자들 중 세 명으로부터 ‘지혜로워지는 방법’에 관한 답을 찾아본다.


쇼펜하우어-세계는 내가 만들어낸 세상이다.

쇼펜하우어는 말한다. “세계는 내가 만들어낸 세상이다.” 그의 말대로라면 나는 생각이 몸 안에 가득한 상태만큼, 나를 향한 끝없는 되새김질만큼 세상을 바라본다. 타인도 마찬가지이다. 현실은 모든 이들에게 똑같지 않다. 수십 명이 같은 날, 같은 시간에 같은 곳에서 같은 하늘을 바라보더라도 수십 명이 보고 느낀 현실은 모두 제각각이다. “스스로 생각해서 해답을 내놓는 것이 100배는 더 가치 있다.”라고도 말한다. 에릭 와이너는 ‘데이터를 정보로, 정보를 지식으로, 지식을 지혜로 착각’하는 최근의 상황을 예시로 들며 쇼펜하우어의 말을 오늘날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묻는다. 방대한 데이터에는 각종 SNS 채널로 노출한 개인들의 생각도 포함한다. 그런데 정말 스스로 생각한 것일까?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복사-붙여넣기’한 것은 아닐까? ‘복사-붙여넣기’를 한 것인지조차 모르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내 생각이라 착각하는 건 아닐까?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머릿속에 가득 채우면 그들의 생각이 내 생각을 밀어낸다.’라는 문장이 주의사항처럼 서늘하다. 


에피쿠로스-쾌락은 향락이 아닌 평정(平靜)이다.

인생의 목적은 무엇일까? 무엇이 됐든 이전보다 나아진 상황을 만드는 것일까? 그렇다면 인생의 목적은 욕망일까? 욕망을 해결하면 만족할까? 에피쿠로스는 말한다. “우리를 만족으로 이끄는 것은 어떤 것의 존재가 아니라 바로 불안의 부재다.”라고. 욕망을 채우기보다 두려움을 비워야 한다. 이 말에 크게 고개를 끄덕인다. 곧바로 두려운 것들을 생각한다. 불인정, 실업, 죽음… 단어만 다를 뿐, 공통적인 감정이 있다. 상실감이다. 상실감을 비우고자 여러 생각을 하지만 마땅한 방법이 없다는 생각이 들 때쯤… 깨닫는다. 상실감을 미리 상상하지 않기. 그러면 모자라지도 넘치지도 않은 충분한 만족 상태에 다다라 에피쿠로스처럼 평정심에 이를 수 있다. “충분히 좋음은 자기 앞에 나타난 모든 것에 깊이 감사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만족하자. 그리고 감사하자.


에픽테토스-어쩔 수 없는 것들이 있다.

스트레스가 휘몰아치는 날이 있다. 그런 날이면 어김없이 한 글자로 된 세 가지 중 하나를 찾는다. ‘잠’ ‘술’ ‘책’. 스트레스 받는 일로부터 적당히 거리를 둘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비책이자 ‘정신승리’를 돕는 아이템이다. 스토아학파의 대표 철학자 에픽테토스는 이런 내 마음을 잘 이해해주리라 생각한다. “어떤 것들은 우리에게 달려있고 어떤 것들은 우리에게 달려 있지 않다.”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까무룩 잠이 들거나 달뜬 음주를 즐기거나, 여기 아닌 다른 세계인 책 속으로 빠져 일단 스트레스로부터 떨어진다. 우리는 살아가며 예기치 못한 사건이나 감정에 휘말릴 수 있다. 이때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우리의 생각과 충동, 욕망, 혐오감, 즉 우리의 정신적 감정적 삶을 지배하는 것’이다. 다시 스토아학파가 말한다. “해야 할 일을 하라. 그리고 일어날 일이 일어나게 두라.” 하지만 나는 이런 고고한 말을 확신에 차서 할 만큼의 그릇이 되지 못한다. ‘갑자기’ 같은 상황을 가능하면 피하고 싶다. 스토아학파가 다시 대답을 한다. “프리메디타치오 말로(Premeditation Malorum)” 즉, “최악의 상황에 대한 예상”을 권한다. 스토아학파의 또 다른 철학자 세네카는 말한다. “인생이라는 화살이 어디로 날아갈지를 예상해보라. 최악의 시나리오를 상상하고 ‘유배, 고문, 전쟁, 난파 사고를 머릿속에서 반복 재생하라” 두려움을 구체화할수록 두려움이 줄어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으로 만든 사람
최은미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슬부슬 내리는 보슬비를 등지고 법당에 앉아 불상을 바라본다. 그윽한 백단 향과 습기를 머금은 나무 내음이 주변을 메운다. 소설에 빠질수록 어디까지가 상상이고 어디까지가 경험인지 모호해지는 순간이 찾아온다. “그랬을 거야.”가 “그랬었지.”로 바뀐다. 우리가 매일 살아가는 집에서, 가족이, 우리가 어쩌다 가는 곳에서, 그들이 최은미 소설에서 차갑다가 뜨겁다가 가라앉다 차오른다. 


절이 집이었던 적이 있다. 회색 법복을 입은 할머니가 법당에 앉아 바구니에 든 염주를 굴린다. 사월초파일이 가까워지면 엄마는 커다란 냄비로 뽀얗고 끈적한 풀을 만든다. 마당에는 어른 키 정도의 쇠막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워지고 그 사이로 줄이 이어진다. 염주를 세던 할머니가 잠깐 자리를 비운 법당에, 지금보다 젊었던 엄마와 어렸던 내가 앉아 함께 연등을 만든다. 철사로 만든 연등 틀에 하얀 종이가 둘리고 뽀얗고 끈적한 풀이 엄마 손에서 종이 꽃잎과 엉긴다. 엄마의 손이 새하얀 연등에 닿을수록 자줏빛, 초록빛, 하얀빛 종이 꽃잎이 달린다. 연등이 핀다. 


소설을 담을수록 접어둔 기억이 펴진다. 마음을 따라갈수록 묻어둔 감정이 솟는다. 최은미 작가 식 전개가 내게 주는 감각이다. 한여름 큰비가 내리기 전 퍼지는 더운 공기 같던 ‘시작’이 천둥과 번개, 벼락과 섞이고 굵은 빗줄기를 뿌리며 ‘끝’으로 달려간다. 제자리에서 평온한 건 글자밖에 없다. 이야기와 이야기를 읽는 사람들은 최은미 작가 만든 세계에서 세차게 흔들린다. 그 세계에는 볼 수 없어도 믿어지고 깨져도 이어지며 사라져도 살아있는 것들이 있다.


《美山》에서 두 남동생을 둔 ‘나’는 막내 동생 생일을 맞아 오랜만에 집을 찾는다. 엄마는 나물볶음 요리로 상을 차리고 ‘나’는 엄마와 첫째 남동생 은욱과 은욱의 어린 딸 나윤이 함께 저녁을 먹는다. 정작 생일을 맞은 막냇동생 은석은 아직 자리에 없다. 《네게 내가 나일 그때》 속 소설가 ‘유정’은 친족 성폭력에 관한 주제로 소설을 발표한다. 소설 발표 후 동생 ‘유태’와 어렸을 때 한동네에서 자란 ‘창용’ 오빠를 만나러 고향 미산에 간다. 늘 누나에게 살가운 ‘유태’는 누나가 쓴 소설 이야기를 할 때면 차갑다.


기억하기 싫어도 지워지지 않고 지났지만 계속 지금을 살며 죄를 짓지 않았는데 죄를 지은 사람들을 최은미 작가는 안다. 그들이 아파트에 사는 것도 알고 절이나 수련원, 공방, 공원 같은 곳에 사는 것도 안다. 그들이 차갑다가 뜨겁다가 가라앉다 차오를 순간이 언제인지도 안다. 최은미 작가는 모두 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딩 2021-09-11 1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달의 리뷰 당선 축하드립니다~
 
동해 생활
송지현 지음 / 민음사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해시에서 펼쳐진 ‘남프랑스적인 삶‘에 나도 끼고 싶었다. 여름, 바다, 집, 친구, 일 그리고 술이 모인 청량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 자들 - 장강명 연작소설
장강명 지음 / 민음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같지 않은 소설이다. 10편의 연작소설 모두, 2010년대 한국 사회의 모습을 그대로 옮겨 담았기 때문이다. 책을 다 읽고 1부 ‘자르기’ 2부 ‘싸우기’ 3부 ‘버티기’로 나뉜 소제목장을 보다 다시 책 제목을 봤다. 자르기, 싸우기, 버티기 끝에서 마침내 ‘산 자들’의 이야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