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 아시아 모멘텀 - 아시아는 세계의 미래이자 한국의 미래다
장대환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1년 6월
평점 :
이 책의 저자가 하나의 아시아. 즉 원 아시아(One Asia)를 주장하는 것. 그 자체는 사실 별로 대단한 것이 아니다. 아시아가 단합해서 하나의 강력한 경제적, 정치적 실체로 떠올라야 한다는 주장들은 계속 있어온 것들이기 때문이다. 저자가 새로운 책을 내면서 까지 새로이 주장할만한 내용은 아니다. 이 책이 주목을 받아야 할 이유는 따로 있다.
아시아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아시아의 땅 넓이와 인구의 비중, 아시아의 유구한 역사적 배경에 비추어 아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도 강력한 성장을 계속하고 있는 아시아 경제가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는 점 때문에 전 세계가 앞으로의 시대에는 아시아의 비중이 이제까지보다 훨씬 더 커질 것이라는 평가를 받아온 것은 누구나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제 아시아의 강력한 부상은 막연한 가능성이나, 먼 미래에 가능할 수도 있을 일이 아니다. 아시아의 부상은 지금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생생한 현실이다. 중국의 화려한 비상이 그렇고, 전세계를 휩쓸고 있는 글로벌 금융위기에 유렵국가들이 맥을 못추고 있는 중에도 아시아 국가들은 엄청난 발전을 계속하고 있는 점도 그렇다. 바로 이 사태를 통해서 아시아는 단번에 가능성이 아니라 실체로서 그 능력을 인정받아버렸다.
그러나 아시아의 미래는 그다지 순탄하지 만은 않다. 아시아는 그 넓은 땅과 수많은 인구, 다양한 문화적 자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로 그 거대함과 다양성 때문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능성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시아는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엄청난 가능성인 다양성이란 것에 발목이 잡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제까지 아시아는 스스로가 이미 강력한 세계적 파워를 가진 실체임을 자각하지도 못하고 있어왔고, 스스로의 능력을 입증하기 위해 하나의 아시아로서의 단합해야 할 강력한 동기도 가지고 있지 못하다. 막연한 기대마저 가지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강력한 아시아로 부상할 구체적인 방법론은 찾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방법론이 없는 당위론은 힘을 가질수 없는 것은 자명한 결과이다.
이 책의 장점은 여기서 발휘된다. 원 아시아가 되기 위한 모멘텀을 저자는 바로 아시아가 가지고 있는 결정적인 단점으로 여겨져 왔던 다양성에서 발견하기 때문이다. 아시아의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단점으로 여겨져 온 이질성을, 각각의 서로 다른 조각들이 모여서 하나의 위대한 작품이 되는 모자이크 모양으로 잘 조화롭게 하여 거대한 힘을 발휘하게 하자는 아이디어이다.
아직은 하나의 아이디어에 불과한 시작이지만, 적절한 모멘텀은 모든 중요한 시작이 그렇듯이, 위대한 결과를 위한 작지만 큰 발걸음이 아닐수 없다. 아시아의 단점이 바로 아시아의 장점이 될 수 있다는 저자의 역발상이 주목을 받을만한 대단한 주장으로 여겨지는 이유가 바로 그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