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리아비틀 Mariabeetle - 킬러들의 광시곡
이사카 고타로 지음, 이영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신칸센. 일본의 고속열차이다. 도쿄를 출발해 일본 북동부 지역의 끝까지 200km 의 속도로 달려가는 열차. 중간에 몇번 서지 않고 끝까지 달려가는 열차안. 이 길고 긴 작품의 무대는 오직 이 10량짜리 신칸센 안 뿐이다. 좁은 공간에 승객들이 있고, 그 승객들 사이에 킬러들이 있다. 이 책은 신칸센이라는 제한된 공간안에서, 도쿄에서 목적지에 도착하기까지의 몇시간동안 다양한 킬러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비일상적인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책을 끝까지 다 읽고 나서도 이 책이 말하는 주제가 무엇인지는 솔직히 모르겠다. 이 책의 교훈이 무엇인지도 알 수 없다. 아마도 이 책에는 주제니 교훈이니 하는 것 자체가 없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그렇다면 이 길고 긴 책에 긴 시간을 투자해서 끝까지 몰입해서 읽은 이유는 도대체 무엇일까. 그것은 이 책이 가지고 있는 각 킬러들에 관한 치밀한 묘사의 힘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너무 다른 사람들. 그러나 서로 킬러라는 입장에 서게된 사람들.
이 책은 그들이 왜 킬러가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을 하지도 않는다. 단지 그들은 사람을 죽일수 있는 사람들이고, 그것을 업으로 살아가는 사람들도 있다. 그리고 제각기 다른 이유에서 그 신칸센에 타게 되었고, 처음 그곳에 타게 될떄는 아무도 예측하지 못했던 치열한 삶과 죽음의 사투를 벌이게 된다. 바로 이 지점이 이 작가의 대단함이 나타나는 점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언뜻 부조리해보이는 일들을 겹 쳐서 표현함으로써 그것으로 오늘날의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표현해보려고 한 것이 아닐까.
킬러들. 그러나 제각기 독특한 인간적인 매력이 있는 사람들. 킬러이지만 사람이고, 사람이지만 그리 착하지 않고, 착하지 않지만 미워하긴 뭣한 인물들. 소설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그들이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을 아주 세밀하게 상세한 묘사를 하고 있지만, 마치 무덤덤한 그림을 보는 듯할뿐. 피비린내를 맡을수 없는 소설. 단지 사람과 사람이 부딪히고, 그 사람들은 서로 죽이는 것이 특기인 사람이므로, 사람과 사람의 만남과 대립의 결과로 죽음이라는 부산물이 남을뿐.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사람들이 기차를 내려 역을 빠져나오지만, 그것은 이 길고 독특한 이야기가 끝이라는 것. 그래서 이제 이야기를 마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감동도 없고, 교훈도 없고, 크라이맥스도 없는 책. 바로 이러한 특징이 이 책을 독특하게 만드는 힘인것 같다. 책은 교훈이나 감동이나 크라이맥스가 있어야 한다는 형식을 벗어버리고, 치밀한 인물묘사를 통해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갈등을 묘사하는 과정이 바로 흥미이고, 삶에 대한 통찰이고, 이 비범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