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프리카의 눈물 - 아사히신문사 40년 베테랑 기자의 아프리카 희망 보고서
마쓰모토 진이치 지음, 김숙이 옮김 / 평단(평단문화사) / 2010년 11월
평점 :
아프리카. 좀처럼 가까이 다가오지 않는 대륙이다. 2010년 월드컵이 열린 곳, 부부젤라의 시끄러운 소리. 이집트의 고대문명을 품에 앉고 있는 땅. 열대의 야생이 아직 존재하는 땅. 아메리카 대륙 남북부의 흑인들이 기원한 곳으로 기억되는 나라이다. 또 한편으로는 우리의 선박을 납치하는 소말리아같은 내전 상태의 나라들. 이름도 유명한 독재자들이 오랜 세월 통치하고 있는 나라.... 이런 것이 아프리카에 관한 이미지들이다.
아프리카는 내용보다는 이미지로 다가오는 대륙이다. 그 땅에 속한 많은 나라들의 이름은 기억하고 있지만, 몇몇 나라들을 제외하고는 그 나라가 아프리카 지도의 어느 부분에 있는지를 도통 알수가 없다. 뿐만 아니라 각 나라의 개별적인 속 사정에 대해서는 거의 무지하다고 할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부끄럽게도 나는 지금 아프리카에서 가장 기근에 시달리는 나라가 어느나라이며, 그 위치가 아프리카 대륙의 어디쯤인지 알지 못한다.
그러나 나는 아프리카에 대해서 나름대로 관심이 있다. 지난 1년간 아프리카에 관한 책을 4-5권은 읽었고, 내가 읽은 아프리카에 관한 책이 20-30 권 가량은 된다. 물론 이집트 고대문명이나, 아프리카 여행서적은 뺴고 말이다. 그런데도 나는 아프리카에 관해서 아는 것이 별로 없다. 왜 그런 것일까. 드문드문 아프리카를 소개하는 책들은 나오는데도 불구하고, 본격적인 아프리카의 지역연구에 관한 책들이 부족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 책은 금년에 읽은 '아프리카 파워' '차이나프리카' 란 책과 함께 함께 가장 얻은 것이 많은 책이다. 아프리카 파워가 아프리카에서의 사업기회를 설명하고, 차아니프리카는 중국이 아프리카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을 하는 현실을 분석한 책이라면, 이 책은 아프리카의 빈곤의 원인과, 아프리카 국가들의 체제에 관한 설명을 상당히 잘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은 아프리카가 "왜 그러한가?" 에 대한 상당히 좋은 대답을 담고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아프리카는 앞으로 우리나라의 경제가 의지해야 할 미개척 시장이기도 하고, 자원의 보고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빈곤에서 탈출한 우리나라의 발전 경험을 전해 주며 함께 성장해나가야 할 국가들이기도 하다. 또한 많은 아픔을 겪고 있는 지역이기에 우리나라의 손길과 온정이 미쳐야 할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국내에 아프리카에 대한 지역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에서 이런 좋은 내용을 담은 책을 대하니 무척 반가운 마음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