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이틀 미스티 아일랜드 Misty Island
요코야마 히데오 지음 / 들녘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책을 읽는 맛이 있다. 어떻게 보면 따라가는 인물의 변화로 인해 사건의 실체에 근접해 가는 듯 보이면서 그 뒤에 이야기에 대한 궁금증을 증폭시키는 어떤 방법론적인 서술방식이 효과적으로 독자를 몰입시킨다. 그래서 재미있다.


하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도 있다. 한 사람 한 사람을 통해 보여지는 일본 사회의 단면과 여러 사람들간의 이해관계 그리고 인물의 입장들을 통해 인간과 사회의 유기적인 관계를 적나라하게 파헤치는 것은 사실이지만(그리고 저자는 이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 추리소설이라는 장르를 선택한 듯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엔딩에서 밝혀지는 사건의 전모는 너무나 급작스럽고(중간에 그에 관련된 어떤 단서도 없다) 허황되어 허탈하게 만든다. 휴머니즘의 극치인가 아니면 한 생명의 가치를 보여주려는 것인가? 어떤 의미를 선택하더라도 마지막 부분의 결말은 와닿지 않을 것 같다. 결말을 드러내는, 그리고 그 지점에 무언가를 담아내려는 저자의 의도가 있었다면 조금 더 섬세하게 그리고 세밀한 연결지점을 통해 효과적으로 결말을 향해 다가갔으면 더욱 좋았을 소설이었다. 현실 속 인간이 절망 속에서 과연 다른 사람의 생명의 가치를 위해 굴욕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것인가? 그에 대한 의문을 남긴다. 소설의 완성도 면에서 차라리 아내와의 관계에 대한 반전이나 다른 얘기들로 이야기를 풀어냈다면 처음과 끝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더 안정적인 소설이 되지 않았을까 싶어 아쉬웠다. 그리고 지금 현대사회의 계층적 구조의 모순과 경직된 체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 결국 이 소설은 사회파 추리소설의 계보를 잇는 것처럼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루레이] 슬럼독 밀리어네어 - 아웃케이스 없음
대니 보일 감독, 데브 파텔 외 출연 / 컨텐트존 / 2013년 7월
평점 :
일시품절


서글픈 인도의 현실에 인도영화적인 판타지를 계산적으로 엮어내어 풀어낸 작품이다.
한 인간의 인생의 초반부가 이렇게 극적일 수 있을까 싶지만
그건 영화이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들어가는 재치도 괜찮은 포인트다.
퀴즈쇼와 경찰취조의 중간중간마다 어떻게 그가 퀴즈를 풀어낼 수 있었는지에 대한
회고담이 적절하게 어우러져 그다지 인위적이지 않게 궁금증을 자아내며 진행되는 것이 흥미로웠다.
낯선 이국의 풍경과 삶의 신파가 마음을 자극하는 것은 적절한 배분으로 구성된 플롯과 경쾌한 컷들의 진행 때문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라딘 북펀드 티켓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eft> 요즘세대의 단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줄 것 같은 책. 그리고 그에 대한 대안까지 기대하게 만드는 책. 꼭 필요한 책이라는 생각에서 북펀딩을 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Bronson (장기수 브론슨의 고백) (한글무자막)(Blu-ray) (2009)
Magnolia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기수 브론슨의 고백은 무엇을 전달하고 싶어하는 건지는 정확하게 모르겠지만
그의 정신상태와 내면의 폭력성과 그것을 예술로 승화하려는 한 인간의 모습을
감독이 감정이입해서 뽑아낸 영화같다.
니콜라스 윈딩 레픈은 영화는 폭력이며 예술 역시 마찬가지라고 여기는 것 같다.
빌할라 라이징을 보았을 때 역시 무엇을 그려내고자 하는 지 명확하게 알 수 없었지만
단지 원초적 폭력성, 잔인함에 대한 독백같다는 생각은 들었다.
이 감독이 만드는 것은 흥미롭지만 이해가 안가는 구석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루레이] 드라이브 - 아웃케이스 없음
니콜라스 윈딩 레픈 감독, 라이언 고슬링 외 출연 / KD미디어(케이디미디어)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모든 좋은 영화의 기본 조건은 미세한 감정의 교류다.

그 감정 하나로 사건이 발생하고 해결될 때 사람들은 자신 속에서 그것들을 발견한다.

이 영화에서는 사랑의 감정때문에 사건이 벌어지고 그 아름다운 것으로 인해 폭력이 극치에 달하게 되는 것.

그것에 영화적 재미를 느끼게 만든다.


그리고 이 영화의 뛰어난 점은 절제다.

모든 것이 절제되어 있다.

이야기도 과하지 않고 대사조차 과하지 않다.

그리고 영화를 다보고 난 후의 주인공의 성격 역시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는다.

영화에 꼭 필요한 부분들을 배제하고 모두 배제한 느낌이다.

그런 영화의 단백함이 뛰어난 연출력으로 인식되지 않았을까 싶다.

이질적 감정의 결합(폭력적인 도시의 이미지와 배경음악), 주인공의 무표정, 과하게 꼬이지 않은 대립과 복수, 끝을 알 수 없는 결말, 절제된 액션. 등이 이 영화의 장점이다.

하지만 그것을 빼고 나면 아무것도 없는 영화가 또 이 영화다.

영화는 언제 테크닉으로 전락하고 말았는가.

그러나 단순한 테크닉을 넘어서는 인간의 모습과 감정을 또한 이 영화가 담아낸다. 그래서 수작!

2011년도 최고의 영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