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합니다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지음, 김명남 옮김 / 창비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쉽게 왜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하는지 설명한다.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지만, 누군가가 이렇게 쉽게 설명해주지 않으면 당췌 사람들은 이 이야기를 왜 해야하는지 조차 모르고 살아간다.

매일 매일 내 안의 페미니즘력이 갱신되는 요즘이라서.

오히려 당연하고 쉬운 이 글이 허무하게 느껴지는 면도 있다.

좋은게 좋은거고, 세상은 아름답고, 인간은 선하다고 믿는 젠더 권력의 위쪽에서 오래 자리잡고 살아온 이들이 이 책을 많이 읽는다면,

좋은건 좋은거고, 세상은 아름답고, 인간은 선해지지 않을까 한다.

젠더 이슈를 젠더 이슈라고 말하지 못하는 현실이 개떡같아서

자꾸 젠더 이슈에 대해 생각하게 되나보다.



오늘날 지도자가 되기에 알맞은 사람은 육체적으로 더 강한 사람이 아닙니다. 더 지적이고, 더 많이 알고, 더 창의적이고, 더 혁신적인 사람입니다. 그리고 이런 자질들을 좌우하는 호르몬은 없습니다. 남자 못지않게 여자도 지적일 수 있고, 혁신적일 수 있고, 창의적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진화했습니다. 그러나 젠더에 대한 우리의 생각들은 아직 충분히 진화하지 못했습니다. - 21

얼마 전에 나는 라고스에서 젊은 여성으로 산다는 것에 관한 글을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아는 사람 하나가 그 글을 읽고서 성난 글이었다며, 그렇게 성난 투로 이야기해서는 안 되었다고 말하더군요. 하지만 나는 반성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나는 정말로 성이 나니까요. 오늘날 젠더가 기능하는 방식은 대단히 불공평합니다. 나는 화가 납니다. 우리는 모두 화내야 합니다. 분노는 예로부터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힘이었습니다. 그리고 분노에 더해 내게는 희망도 있습니다. 사람들에게는 더 나은 자신으로 변하는 능력이 있다고 굳게 믿기 때문입니다. - 23

오늘날 젠더의 문제는 우리가 각자 어떤 사람인지를 깨닫도록 돕는 게 아니라 우리가 어떤 사람이어야만 하는지를 규정한다는 점입니다. - 37

나는 내 여성성을 유감스럽게 여기지 않기로 결심했습니다. 나는 여성스러움을 간직한 나 자신으로서 존중받고 싶습니다. 왜냐하면 나는 그럴 만하니까요. 나는 정치와 역사를 좋아하고, 사상에 관해서 훌륭한 논쟁을 벌일 때 가장 행복합니다. 그리고 나는 여성스럽습니다. 여성스러워서 행복합니다. 나는 하이힐을 좋아하고, 립스틱을 바릅니다. 남자에게 받는 칭찬도 여자에게 받는 칭찬도 다 좋지만(솔직히 털어놓자면 스타일 좋은 여자들의 칭찬이 더 기쁘긴 합니다), 가끔은 남자들이 좋아하지 않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옷을 입습니다. 왜냐하면 내가 그 옷을 좋아하고, 그 옷을 입으면 내 기분이 좋으니까요. ˝남성의 시선˝이 내 삶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바는 대체로 부수적입니다. - 42

어떤 사람들은 묻습니다. ˝왜 페미니스트라는 말을 쓰죠? 그냥 인권옹호자 같은 말로 표현하면 안되나요?˝ 왜 안 되느냐 하면, 그것은 솔직하지 못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페미니즘은 전체적인 인권의 일부입니다. 그러나 인권이라는 막연한 표현을 쓰는 것은 젠더에 얽힌 구체적이고 특수한 문제를 부정하는 꼴입니다. 지난 수백년 동안 여성들이 배제되어왔다는 사실을 모르는 척하는 꼴입니다. 젠더 문제의 표적이 여성이라는 사실을 부인하는 꼴입니다. 세상은 지난 수백년 동안 인간을 두 집단으로 나눈 뒤 그중 한 집단을 배제하고 억압해왔습니다. 그 문제에 관한 해법을 이야기하려면, 당연히 그 사실부터 인정해야 합니다. - 44

또 어떤 사람들은 말합니다. ˝이봐요, 가난한 남자들도 어렵게 살아간다고요.˝ 그건 실제로 그렇습니다. 하지만 그 문제는 이 대화의 주제가 아닙니다. 젠더와 계급은 다른 문제입니다. 가난한 남자들은 부자의 특권은 누리지 못할지라도 남자의 특권은 여전히 누립니다. - 47

2016. Jun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6-06-01 21: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왜냐하면 나는 정말로 성이 나니까요!!!!!

hellas 2016-06-01 21:40   좋아요 1 | URL
성이납니다!!!!!!
 

불없는 저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읽은 지 15년이나 된 책의 리뷰를 쓰려니 아무래도 환기를 위해 다시 읽어야하긴 했는데.

어지간한 명작(순전히 개인적인 기준)이 아니고서야 두번 세번 읽는 일은 고역이 되기도 한다.

고역까지랄순 없지만 그래도 뭔가 중간에 끼워넣을 징검다리가 필요한 상황에 샐린저 평전을 우선 읽어본다.

평전을 읽지 않았다면, 홀든 콜필드의 불안한 자아와 질풍노도의 객기가 단지 그것 자체로만 남았을 지도 모르겠다.

다시 접하는 홀든 콜필드는 순수함을 잃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가득한 감수성 충만한 아이였다.

샐린저가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게 되면서 자각하는 가족의 힘, 다시 되돌릴 수 없는 시대의 변화, 의구심 없이 살아온 단순한 아름다움의 세계의 상실에 대한 공포가 홀든 콜필드라는 소년에게 이입되어 그대로 재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홀든은 세상을 경멸하고, 타협하지 않겠다고 결심하고, 소외된 자신을 정당화하려고 한다. 그러는 한편 또 매 순간 지독하게 외로워하는 모순적인 인물이다.
오로지 순수함에만 냉소를 보내지 않는 결벽증을 가진 우울한 청년.

회전목마를 타는 피비를 바라보던 홀든이 집으로 돌아가는 결정을 내리는 것은 어쩌면 자신이 살아가야 할 현실 세계에 대한 통찰이 있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세상이 순수와 열정, 환상만으로 흘러가지 않는다는.

그럼에도 이 이후의 홀든 콜필드의 삶이 그가 원했던 바 대로 호밀밭의 파수꾼, 혹은 그 비슷한 롤을 가진 어른이기를 바라게 된다.

2016. Ma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한국인이 아니다 창비시선 394
송경동 지음 / 창비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렇게 깨트려지고도 사그러들지 않는 희망의 시선.

그래서 사람일까?

참지말고 퍼부어야 할 말들이 한권 빼곡하다.



먼저 가는 것들은 없다

몇번이나 세월에게 속아모니
요령이 생긴다 내가 너무
오래 산 계절이라 생각될 때
그때가 가장 여린 초록
바늘귀만 한 출구도 안 보인다고
포기하고 싶을 때, 매번 등 뒤에
다른 광야의 세계가 다가와 있었다

두번 다시는 속지 말자
그만 생을 꺽어 버리고 싶을 때
그때가 가장 아름답게 피어나보라는
여름의 시간 기회의 시간
사랑은 한번도 늙은 채 오지 않고
단 하루가 남았더라도
우린 다시 진실해질 수 있다

2016. May.

아무래도 우리에겐
다른 사랑 노래들이 있을거라고
아직도 나는 거리를 헤맨다 - 그 노래들이 잊히지 않는다 중

"진술하지 않겠습니다"
나의 청춘을
나의 거리를
나의 고뇌를
결코 말하지 않겠습니다 - 진술을 거부하겠습니다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주엔 절대 책을 더 사지 않겠다고 해놓고....

주문했네요. 나란 인간. 갱생불가. ㅡㅜ

나가 놀기로 한 날이라 이젠 나가봐야하는데.

그냥 책이나 읽으며 집에 있고싶은 마음도 들고.

변덕 또한 치유불가. ㅡㅡ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05-28 15: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서관에 가면 읽고 싶은 신간도서가 엄청 많습니다. ^^;;

hellas 2016-05-30 11:03   좋아요 0 | URL
도서관이 애매하게 멀어서 잘안가게 되네요. ;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