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계 블랙리스트를 보다가 좋아하는 작가 몇몇의 작품이 읽고 싶어져서 꺼냄.

좀 단순한 스토리를 고를 것을.

많은 이야기가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스토리라 금방 읽어낼 수가 없었다.

절망을 말해보렴, 너의. 그럼 나의 절망을 말할테니. - 메리 올리버 <기러기> 중

절망을 이야기하고 그 와중에 살아나가는 사람들의 이야기.

누구하나 행복이라는 결말에 다다르지 못한 채, 그렇게 그저 살아 남는 이야기.

여기에서 일말의 희망을 발견하지 못한 것은, 나이기 때문일지도.

2017. Jan.

그 세상에는 정민이 할 수 있는 일이란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기억하는 것뿐이었다. 그 봄이 지나간 것처럼 여름도 지나가고 있었다. 병원에 있느라 땀 한 방울 흘릴 겨를도 없었는데, 벌써 여름이 지나가고 있다고 생각하니 정민은 갑자기 노인이 된 듯한 기분이 들었다. 이제 또 얼마나 많은 봄과 여름과 가을과 겨울이 지나갈 것인지 그녀로서도 알 수 없는 노릇이었지만, 그리고 그 모든 계절들도 결국에는 다 지나가겠지만, 지금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은 그저 기억하는 것, 그 모든 일들을, 그 지나가는 것들을 몸속에 담아두는 일뿐이라고 정민은 생각했다. - 72

"아니야. 그렇지 않아. 나는 다만 묻고 있을 뿐이야. 나만의 방식으로 모두에게 묻는 거야. 우리의 삶은 과연 다른 인류에게 기억될 만한 값어치가 있었는가......"
"그게 그 얘기야. 살아남기 위해 늘어놓는 그 음악소리를 철학의 목소리인 양 말할 필요는 없어. 그냥 미친 짓이라고 말하면 되는 거야." - 262

"하루에 사십이해일천이백만경 번 이산화탄소를 배출해내는 인간들로 가득찬 이 지구에서도 우리가 살아갈 수 있는 까닭은 이 180이라는 숫자 때문이다. 인간만이 같은 종을 죽이는 유일한 동물이라는 걸 알아야 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인간만이 웃을 줄 아는 유일한 동물이라는 것도 알아야 한다. 180이라는 이 숫자는 이런 뜻이다. 앞으로 네게도 수많은 일들이 일어날 터고, 그중에는 죽고싶을 만큼 힘든 일이 일어나기도 할 텐데. 그럼에도 너라는 종은 백팔십 번 웃은 뒤에야 한 번 울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는 얘기다. 이 사실을 절대로 잊어버리면 안 된다."
그렇게 말하고 잠시 말을 멈추더니 할아버지가 말했어.
"그러니 네가 유명한 작가가 된다면 우리 인간이란 백팔십 번 웃은 뒤에야 겨우 한 번 울수 있게 만들어진 동물이라는 사실에 대해 써야만 하는 거야." - 279

광주항쟁은 모든 것을 바꿔버렸다. 광주항쟁은 남한에 있는 모든 젊은이들을 우연한 존재로 만들어버렸다. 그들이 죽지 않고 대학에 들어가 술을 마시고 담배를 피우고 미팅을 하고 섹스할 수 있었던 까닭은 지극히 단순했다. 1980년 5월 광주에 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 342

사기꾼이자 협잡꾼, 광주의 랭보 이길용이자 안기부의 프락치 강시우였던 그 남자에 대해 이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그가 아직 죽지 않았다는 사실뿐이지만, 어쩌면 그건 우리가 그에 대해 알아낼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죽지 않는 한, 그는 살아남기 위해서 시시각각으로 열망할 테고, 그 열망이 다시 그를 치욕스럽되 패배하지 않는 인간으로 살아남게 할 테니까 말이다. 그가 살아남기를 열망했듯이 우리가 살았던 그 시절 역시 살아남기를 열망했다. 그 열망은 그의 것이기도 했고, 서서히 무너진 뒤에도 오랫돈안 잔영이 남아 있던 그 시절의 것이기도 했다. - 3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뻐근하고 아픈 몸 참지 말고 셀프 마사지
박성규.오승호 지음 / 북돋움라이프 / 2016년 5월
평점 :
절판


실전 응용!!

일단 폼롤러가 있기에 바로 해볼 수 있겠네 싶었으나,

공을 이용하는 마사지가 훨씬 많아서.

어째서 집에 공 비스무리 한 어떠한 것도 없을까.

구기와는 담쌓은 삶을 절감.

테니스공 하나 장만해서 시간 날때마다 해봐야겠음.

어깨와 목이 잘 결리는데 도움은 많이 될듯.

그러나 꾸준하게..라는 엄청난 걸림돌이 있기는 하다.

이런 장르는.

2017. Ja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앨리스, 지식을 탐하다 - 동화로 풀어낸 12가지 지식 스펙트럼
루이스 캐럴 원작, 존 테니얼 그림, 이남석 풀어씀 / 옥당(북커스베르겐)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너무 오래 붙잡고 있었다.

붙들고 있던 시간 만큼 시들해 져서, 큰 의미를 만들어내기는 어려워졌다.

일종의 지식의 브릿지.

유용한가라는 의문을 남기다.

2017. Ja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우리는 좀더 어두워지기로 했네 창비시선 405
이설야 지음 / 창비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국 내걸리는 조등을 그저 바라보는 심정.

우리는 좀더 어두워지겠지만,
흰 빛들을 끌어 모을 것이다.
그 빛들은 눈송이들을 끌고 다닐 것이다.
마침내 눈은 쌓여 어둠을 덮을 것이다.
생의 골목골목은 광장이 되고
광장은 시가 될 것이다. - 시인의 말 중.

2017. Jan.

조등

내가 머뭇거리는 동안
꽃은 시들고
나비는 죽었다

내가 인생의 꽃등 하나 달려고
바삐 길을 가는 동안
사람들은 떠났고
돌아오지 않았다

먼저 사랑한 순서대로
지는 꽃잎
나는 조등을 달까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블러드차일드
옥타비아 버틀러 지음, 이수현 옮김 / 비채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스스로 밝혔듯, 옥타비아 버틀러는 근본적으로 장편 작가다.

단편이 담아 낼 수 있는 것 보다 많은 시간과 공간이 필요하다고 권두에 밝혔는데,

읽으면서 완벽하게 와닿았다.

존재하지 않는 어떤 존재와 현상을 다루는데 단편은 너무 촉박하다.

그래서 7편의 단편과 2편의 에세이 말미에는 후기가 짧게 붙어 있다.

단편 중엔 ‘말과 소리‘가 좋았다.

에세이 두편도 좋았고.

2017. Jan.

"얘야...... 검둥이는 작가가 될 수 없어."
"왜요?"
"그냥 안 돼."
"아니에요, 될 수 있어요!"
나는 내가 무슨 소리를 하는지 모를 때 제일 단호했다. 열세살이 되도록 읽은 인쇄물 중에 흑인이 썼다는 글은 단 하나도 없었다. - 265, 긍정적인 집착 중.

미국 문화의 현실과 상충하는 마음 아픈 불문율이 하나 있는 것 같다. 당신이 흑인으로서, 흑인 여성으로서 정말로 열등 할 수도 있지 않으냐는 의심을 가져서는 안 된다는 불문율이다. 충분히 똑똑하지 않을지도, 충분히 빠르지 않을지도 모른다고, 당신이 원하는 일을 할 만큼 뛰어나지 못할지도 모른다고 의심해선 안 된다...... 그러나 물론 당신은 의심할 것이다. 당신은 당신이 누구 못지 않게 뛰어나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그 사실을 모른다 해도 그 점을 인정하지 말아야 한다. 근처에 있는 누군가가 그런 사실을 인정하면, 얼른 그들의 자신감을 북돋아서 입을 다물게 해야 한다. 난감한 대화가 되겠지만 말이다. 다부지고 자신감 있게 행동하고, 자신의 의심에 대해서는 말하지 말라. 의심을 상대해본 적이 없다면 영영 의심을 없애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상관없다. 모두를 속여라. 자기 자신까지 속여라.
나는 나 자신을 속일 수 없었다. 나는 내 의심에 대해 많이 말하고 다니지 않았다. 나는 조급한 위로와 칭찬을 바라지 않았다. 하지만 생각을 많이 했다. 같은 생각을 하고 또 했다. 그런데 내가 누구란 말인가? 내가 글을 통해 하는 말에 왜 누가 관심을 기울여야 하나? 나에게 할 말이 있기는 한가? 맙소사, 나는 sf와 판타지 소설을 쓰고 있었다. 당시 직업으로 sf를 쓰는 작가는 거의 백인 남자였다. 아무리 sf와 판타지를 사랑한다 해도, 내가 대체 무엇을 하고 있는 걸까?
글쎄, 어쨌든 그만둘 수 없었다. 긍정적인 집착이란 두렵다거나 의심이 가득하다는 이유만으로 멈출 수 없다는 뜻이다. 긍정적인 집착은 위험하다. 그것은 아예 멈출 수 없다는 뜻이다. - 271, 긍정적인 집착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