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성평등에 반대한다 ㅣ 도란스 기획 총서 1
정희진 엮음, 정희진.권김현영.루인 외 지음 / 교양인 / 2016년 12월
평점 :
책 날개부터 각인하고 넘어가야 할 문구들이 넘쳐난다.
좋은 기획이다. 다만 읽다보면 불쑥 불쑥 화가 올라오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인간은 애초에 양성으로 존재하지 않았으며, 평등의 기준이 남성일 때 여성에게 ‘양성평등‘은 평등이 아니라 이중 노동이 되는 현실에 대한 문제 제기.
양성평등은 일종의 ‘지향‘인데 그것이 마치 ‘현실‘에서 이미 실현된 것처럼 남녀가 모든면에서 대등하기 때문에, ‘남성도 여성을 혐오하고, 여성도 남성을 혐오한다‘는 대칭적 논리로 오독되고 있다는 것.(p.7)
많은 남성들이 남성과 여성은 원래 친하게 지냈는데(=여성이 성차별을 참았는데), 갑자기 남녀가 불평등하다고 주장하는 소수의 ‘반사회적 여성‘이 등장했다고 느끼는 것 같다. ‘이미 여성 상위 시대인데, 여성이 저항하다니 역차별이다‘이렇게 생각하는 것이다. 성차별을 인정하지 않는 한국 남성들에게 ‘양성평등‘은 의미 없는 말이다. 원래 평등했고, 최근에는 여성이 더 특권을 누리기 시작했다는 것이 이들의 인식이다. (p.9)
그녀/그의 피부색이나 해어난 계급의 조건에 맞는 직업, 감정표현, 옷차림, 섹슈얼리티, 가사 노동 등 일생 전반에 걸치 ‘역할‘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 즉 ˝계급 역할(당신은 가난하므로 공부하면 안 된다)˝ 이나 ˝인종 역할(당신은 흑인이므로 실업자가 자연스럽다)˝ 같은 표현은 없다. 반면, 성 역할(여자는 애를 낳아야지)이란 단어의 존재는 성차별이 얼마나 자연스러운 일상의 정치인지, 젠더가 얼마나 인식하기 어려운 사회적 구조인지, 얼마나 탈정치화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p.24)
현재의 저출산 현상은 여성들의 자기 계발, 사회 진출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여성의 고등 교육화에 따른 여성 자신의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선택이다. 여성들은 저출산을 통해 자신의 몸에 대한 통제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저항은 다시 남성 중심의 인구학(부국강병의 전제는 인구가 많아야 한다)이라는 또 다른 정치와 충돌하고 있다. 이처럼 출산이야말로 대표적인 정치적 의제이다.(p. 28)
국가는 국가 경쟁력을 위해 여성을 임의적, 일시적으로 ‘사용하고 버리기‘를 반복하는 여성 노동력 동원을 ˝일과 가정의 양립˝정책이라고 속이지 말고, 시민 사회와 여성 운동 세력은 여성의 과다한 노동 상황을 ˝여성의 지위 향상˝, ˝여성 운동의 발전˝이라는 주장의 근거로 삼지 말아야 한다. (p. 53)
신학자 잭 로저스는 ˝남녀 평등을 반대하는 것과 동성애를 반대하는 것 사이에는 강한 연결고리가 있다. 종교적 보수주의자들은 가부장제 가족 구조를 교회와 국가의 안정에 열쇠가 되는 것으로 본다. 이런 견해에서 가부장제와 애국심과 기독교는 하나의 깃발 아래 뭉치며, 그 깃발은 동성애에 대한 모든 논의 위에서 휘날린다. 동성애와 여성 평등은 둘 다 남성 우위의 모델을 위협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확대하면 교회와 국가에 위협이 되는 것으로 간주된다.˝라고 지적한 바 있다. 그들은 세상이 불평등하다는 것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미 충분히 평등하다. 창조주께서 그렇게 다 계산해서 만들어 놓으신 질서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무리하게 차별 철폐를 요구하는 무리들은 기존 질서를 깨려는 반란자들이고 자신들은 평화와 정의를 수호하는 위치가 된다. (p.184)
2017. J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