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켄슈타인 (무선)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4
메리 셸리 지음, 김선형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6월
평점 :
나 왜 이거 이제야 읽었나. 이렇게 재미있는 이야기인줄 몰랐다면 너무 무지한가.
영화 프랑켄슈타인이 만들어 놓은 조금은 유치하고 괴랄한 이미지의 괴물 프랑켄슈타인에 혼자 착각하고 멀리했었던가 하는 자책을 했다.
타고나길 죽은자의 것에서 타고나 흉물스러운 외양을 가졌지만, 순수한 선이었던 비인간을 받아들이지 못한 한심한 창조자에게 끝끝내 동정심을 가질 수가 없었다.
자신과 다른 존재에 대한 원초적인 공포, 라는 것 말고는 빅토르의 행동은 설명하기가 어렵다. 원인을 제공한 자가 의무를 방기했을 때 치루는 댓가라는 것, 책임으로 부터 회피하는 순간 시작된 이 거대한 불행, 자승자박 아니고 뭘까.
새로운 지식에 대한 경고와 자연에 대한 경외가 이야기 전반에 걸쳐 드리워져있지만, 그보다는 버림받은 비인간에 대한 연민이 훨씬 크게 다가왔다.
흉물스러운 괴물의 외모를 가졌지만, 스스로 사유하고 학습할 수 있는 뛰어난 지성을 지닌 비인간은 어쩐지 그 시대에 억눌려 있던 여성으로서의 메리 셸리 자신의 또다른 모습일지도 모르겠다. 함께 삶을 영위할 동반자에대한 갈구, 애정에 목말라하는 모습 또한 온전한 사랑을 받지 못한 자신의 모습이었을 거라는 추측.
이런 감성과 지적 능력을 가진 캐릭터를 말 못하는 괴물로만 그린 영화는 어쩌면 좀 악의적이지 않은지.
하긴 좀 더 어렸을 때 이 책을 읽었다면 조금 다른 결의 감상을 가졌을 수도 있겠다. 그래서 지금이 딱 좋은 독서 타이밍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친구여, 열의는 물론 경외와 희망에 찬 그대의 눈빛을 보니, 내가 알게 된 비밀을 전해줄거라는 기대를 품는 모양이지만 그건 안 될 말이다. 이야기를 끝까지 주의 깊게 듣고 나면, 내가 그 조제에 대해 말을 아끼는 이유를 알게 될 것이다. 당시의 나처럼 몸도 사리지 않고 열의에 들뜬 그대를 파멸과 명약관화한 불행으로 이끌 수는 없으니. 나로부터 배우도록 하라. 가르침을 듣지 않겠다면 적어도 내 사례를 보아 깨닫도록 하라. 지식의 획득이 얼마나 위험한지, 본성이 허락하는 한계 너머로 위대해지고자 야심을 품는 이보다 고향을 온 세상으로 알고 사는 이가 얼마나 더 행복한지를. - 65
프랑켄슈타인, 모든 이에게 공평하게 대하면서 나만 짓밟지는 말란 말이다. 나야말로 당신의 정의, 심지어 당신의 관용과 사랑을 누구보다 받아 마땅한 존재니까. 기억하라, 내가 당신의 피조물이라는 사실을. 나는 당신의 아담이 되어야 하는데 오히려 타락한 천사가 되어, 잘못도 없이 기쁨을 박탈당하고 당신에게서 쫓겨났다. 어디에서나 축복을 볼 수 있건만, 오로지 나만 돌이킬 수 없이 소외되었다. 나는 자애롭고 선했다. 불행이 나를 악마로 만들었다. 나를 행복하게 만들어라, 그러면 다시 미덕을 지닌 존재가 될 테니. - 132
내 불행에서 배우고, 당신의 불행을 자초하지 마십시오. - 285
2017. d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