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헝거 : 몸과 허기에 관한 고백
록산 게이 지음, 노지양 옮김 / 사이행성 / 201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고통스럽기까지한 자전에세이.
자기의 몸에 얼마나 많은 굴레를 씌울수 있는 사회인가 생각해 보게 된다.
이 책을 읽기 바로 전에, 넷플릭스에서 <미스 리프레젠테이션>을 보았다.
미스 리프레젠테이션은 미디어가 어떤 방식으로 여성을 강제하고 스스로를 부인하게 만드는지 여러 분야의 셀럽들이 출연해 증언한다. 세계대전 이후 사회경제적으로 독립의 물꼬를 튼 여성들을 가정으로 되돌려보내는 교묘하고 치밀한(페미니즘의 시각으로 보아서는 그다지 교묘랄 것도 없는 뻔한 방식이지만) 미디어의 조련법이랄까. 발언하고 연대하는 여성들을 흩트려 놓기 위한 이상적인 여성에 대한 가짜 이미지를 만들어 낸 방식를 보고 있자면 가슴이 답답해져왔다.
그런 이야기들과 동시에 어떤 방식으로 사고전환을 해야하는지, 왜 그래야 하는지 차분하면서 뜨거운 인터뷰들을 담은 다큐멘터리였다.
가부장적 한국사회에서는 또 어떤가. ‘꾸밈 노동’이라는 말이 언제 생긴 말인지는 모르겠는데, 이 단어가 정확하게 무엇을 향해 있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화장을 하지 않는 것 혹은 공공장소에서 화장을 하는 것에 대해, 또는 반대로 지나친 꾸밈을 비난하기도 하는 너무나도 여성에게만 향해있는 외모에 대한 잣대는 여성 스스로에게도 벗어나기 힘든 코르셋아닌가. 꾸밈이랄것 까지 갈 것도 없다. 공중파 뉴스 아나운서가 안경을 쓰니 마니 하는 말들도 하는 판에...
어쨌든 수만가지의 방식으로 존재하는 여성에 대한 자연스러운 사회적 시선에 대해 생각하다보니, 문득 록산 게이의 <헝거>를 읽어야 겠다는 생각에 이르게 된다.
다수의 책을 쓴 작가, <나쁜 페미니스트>의 저자인 페미니스트로서의 그녀의 삶이 폭력과 자기부정으로 뒤덮여 있었다는 회고이고, 소수인으로서의 미국 여성의 삶, 어린 시절 겪은 폭력, 자신을 보호하는 수단이었던 섭식장애, 너무 자리를 많이 차지하는(작가의 표현) 몸에 대해 일기장을 펼쳐본 듯 내밀한 속내까지 까발린 글쓰기는 불편함과 고통을 수반한다.
애정과 신뢰를 기반으로 한 관계에서 조차도 외로움을 느낄 수 밖에 없었던 작가의 과거와 현재를 드러내고 있기에 고통스럽고, 자기 연민과 자기 긍정과 자기 혐오를 왔다갔다 하는 심리가 그대로 드러나는 글이어서 불편하기도 하다.
제목 <헝거>는 그런 저자의 물리적인 허기, 정신적인 허기를 잘 드러내는 단어이다.
언제나 정치적 올바름을 지켜가며 살아가고 싶다고 소망하는 나 역시, “몸”에 대해서 어떤 잣대를 가지고 있음을 반성을 하게하는 독서였다.
그런 불상사가 생기지는 않겠지만, 이 통렬한 고백들은 자칫 섭식장애가 되는 가이드가 될 수 있을 지도 모르겠다는 한심한 생각도 잠깐했다고 고백하고 넘어간다.
이렇게 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으나 현재 나는 ‘생존자’보다는 ‘피해자’를 선호한다. 일어난 일의 엄중함을 깎아내리고 싶지 않다. 희망의 여정을 걸어와 승리를 쟁취한 척 하고 싶지 않다. 모든 것이 무사한 척하고 싶지 않다. 나는 그 일이 일어난 채로 여기까지 걸어왔고 그 일을 잊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거나 내게 흉터가 남지 않은 척 하면서 앞으로 나아가고 싶지도 않다. - 40
나는 부서졌었고 그 이후로 더 부서졌었다. 그리고 아직 치유가 되지는 않았으나 어쩌면 언젠가는 치유가 될지도 모른다고 믿기 시작했다. - 317
여기에서 당신에게 나의 강렬한 허기의 진실을 펼쳐 보였다. 마침내 여기에 연약하고 상처받고 지독하게 인간적인 나를 자유롭게 풀어놓았다. 그리고 자유가 주는 해방감을 한껏 즐기고 있다. 바로 여기에 내가 무엇에 허기졌는지, 그리고 내 진실이 나로 하여금 무엇을 창조하게 했는지가 있다. - 339
우리는 법의 감시와 종교적인 교리에서 자유롭게, 우리 신체에 대한 선택의 권리가 있다. 우리는 존중할 권리가 있다. 여성에 대해 이야기 할 때, 우리가 가진 다른 정체성도 논의되어야 한다. 우리는 단지 여자가 아니다. 다른 신체와 성표현, 신념, 성적 특징, 계층 배경, 능력 그 이상을 가진 사람들이다. 이런 차이점과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이런 포용이 없이는 우리의 페미니즘은 아무것도 아니다. - 2015년 Ted talk, 록산 게이
2018. a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