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 실격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아마도 십년 전쯤 읽었던 책.
그때도 지금도 뭐그리 플래그를 많이 붙여놓았나 싶지만, 얼마전 읽은 <사양>의 허무가 영향이 있었는지, 지금 읽고 있는 겐자부로의 <개인적인 체험>의 불행이 영향이 있었는지, 깊고 검은 우물같은 우울이 남았다.
결함의 시대였다. 분명 많은 이들은 그랬던 시대였지만, 요조는 풍족과 안정을 보장받는 사람. 어쩌면 자신의 운으로 부여받은 보장이 이 인간을 망쳐버린 것이다. 명망있는 집안의 똑똑한 아이는 오히려 그 행운으로 불행해진 인간이 된다.
자신의 행운을 부채의식으로 짊어진다고 모두가 요조가 되는 것은 아니다. 모든 갈림길에서 마이너스의 확률을 획득하는 요조에게 호리키라는 자는 악마의 다른 형태, 불행의 가이드일지 모른다.
세상에 자격이 없는 인간으로서 자신을 익살과 굴종으로 위장하고 살아온 요조에겐 어쩌면 더할 나위없는 유유상종 파트너지만, 무구한 신뢰는 죄인지 되묻는 자의 순진함을 최상급의 이기로 이용하는 자이기에 비호감을 획득했다.
요조 대신 변명하는 마음으로 악역을 설정하고 나면 요조를 이해할 수 있게 될까?
결과적으로는 아니다. 나약한 심지는 그렇게 짜부러들게 마련이다. 전형의 헛 똑똑이다. 매번 배신당하고 좌절하고 분노하지만 세상을 바꾸겠다는 아니 최소한 나라도 변화해야한다는 신념은 없었다.
얼마 전 어떤 책을 읽다 그 안의 찌질한 주인공을 보며 결국 인간의 만듦새는 운명론적인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그렇다면 요조는 탈락할 인간이었겠지, 다만 그 탈락이 너무 늦어 세상에 민폐를 뿌린 것이다.
아, 나는 요조를 위한 변명을 하고 싶은것인가, 요조가 어서 빨리 나가 죽기를 바라는 것인가....
알 수 없는 기분으로 마무리 되는 독서는 적어도 며칠은 사람을 심란하게 한다.
제가 가진 행복이라는 개념과 이 세상 사람들의 행복이라는 개념이 전혀 다를지도 모른다는 불안. 저는 그 불안 때문에 밤이면 밤마다 전전하고 신음하고, 거의 발광할 뻔한 적도 있었습니다. 저는 과연 행복한 걸까요? 저는 어릴 때부터 정말이지 자주 참 행운아다. 라는 말을 들어왔습니다. 하지만 저 자신은 언제나 지옥 가운데서 사는 느낌이었고, 오히려 저더러 행복하다고 하는 사람들 쪽이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훨씬 더 안락해 보였습니다. - 16
세상이란 게 도대체 뭘까요. 인간의 복수일까요. 그 세상이란 것의 실체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요. 무조건 강하고 준엄하고 무서운 것이라고만 생각하면서 여태껏 살아왔습니다만, 호리키가 그렇게 말하자 불현듯 “세상이라는 게 사실은 자네 아니야?”라는 말이 혀끝까지 나왔지만 호리키를 화나게 하는 게 싫어서 도로 삼켰습니다.
‘그건 세상이 용납하지 않아.’
‘세상이 아니야. 네가 용서하지 않는 거겠지.’
‘그런 짓을 하면 세상이 그냥 두지 않아.’
‘세상이 아니야. 자네겠지.’
‘이제 곧 세상에서 매장당할 거야.’
‘세상이 아니라 자네가 나를 매방하는 거겠지.’
‘너는 너 자신의 끔찍함, 기괴함, 악랄함, 능청맞음, 요괴성을 알아라!’
갖가지 말이 가슴속에서 교차했습니다만, 저는 다만 얼굴에 흐르는 땀을 손수건으로 닦으면서 “진땀 나네, 진땀.”하고 웃을 뿐이었습니다. - 93
모든 것은 지나간다는 것. 제가 지금까지 아비규환으로 살아온 소위 ‘인간’의 세계에서 단 한 가지 진리처럼 느껴지는 것은 그것뿐입니다. 모든 것은 그저 지나갈 뿐입니다. - 134
마담이 무심하게 말했다.
우리가 알던 요조는 아주 순수하고 눈치 빠르고...... 술만 마시지 않는다면, 아니 마셔도...... 하느님같이 착한 아이였어요. - 138
2018. m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