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영혼이 깨어나는 순간 ㅣ 부클래식 Boo Classics 21
케이트 쇼팬 지음, 홍덕선.강하나 옮김 / 부북스 / 2012년 1월
평점 :
<내 영혼이 깨어나는 순간> 이라고 붙은 제목은 원제가 <각성>이고, 출판 전 제목은 <고독한 영혼>이었다.
아무래도 이 이야기의 제목은 <각성>이 어울린다.
표지도 뭐 이런... 이라고 생각했지만, 다 읽고 나서는 어느 정도 수긍도 된다.
인종과 혼혈에 대한 차별적 시선을 제외하면, 1800년대 말에 나온 이 소설은 매우 선구적이다.
에드나 퐁텔리에의 남편 퐁텔리에 씨는 자신은 가족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데 비해, 걸맞는 대우를 받고 있지 못하다고(아내에게) 생각한다.
‘결혼이야 말로 지구상에서 가장 슬픈 광경’이라 말하는 아내를 ‘다루는’방법으로 권위, 강압, 철저하게 단호한 태도라고 여긴다.
경제권이 없는 여성이 당연했던 시대에 기혼 여성의 심리를 매우 디테일하게 다루고 있다.
거대한 바다에 작은 존재인 자신을 존재하게 하는 수영을 적극적으로 배우는 에드나, 거추장스러운 모성을 불편해 하는 에드나, 수천가지 감정의 격류에 온몸을 맡기는 에드나.
결국 에드나가 마련한 보잘 것 없는 작은 방은 버지니아 울프를 떠올리게 한다.
자신만을 위한 은신처, 고요함과 안온함을 주는 자기만의 방.
대다수의 여성이 인생의 일부분만 알고 지내는 시절에 케이트 쇼팽은 에드나를 통해 발언한다.
자신의 감정을 똑바로 들여다 보라고, 자신을 확립하라고, 그 사고의 확장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회에 계속 말하라고 말이다.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여성들에게도 전혀 생소하지 않은 생각들을 그 당시에도 이야기 하고 있었다는 점이 의미있다.
의미있고, 아직도 이 생각들을 말해야 한다는 부분에선 허무하다.
선구적인 페미니즘 문학들이 생각보다 많이 번역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새삼스레 알게 되었다. 그것도 슬프다.
알수 없는 어떤 한 줄기 빛이 그녀의 마음속에서 어슴푸레 비쳐오기 시작했다. 길을 보여주는 동시에 가로막기도 하는 그런 빛이.
처음에 그녀는 당황스럽기만 했다. 마음속 그 빛은 그녀를 꿈꾸게 했고, 생각을 하게 만들었으며, 눈물로 범벅이 되었던 그날 밤 자신을 짓눌렀던 바로 그 아련한 고뇌로 빠져들게 했다.
한마디로, 퐁텔리에 부인은 한 인간으로서 이 우주 공간에서 자신의 위치를 깨닫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리고 한 개인으로서 자기의 내면세계와 주변과의 관계에 대해 생각했다. 스물여덟 젊을 여자의 마음에 파장을 을으킨 이러한 ‘깨달음’은 대단히 무거운 것처럼 보일지 모른다. 아마도 성령이 뭇 여인들에게 내려주는 지혜보다 더 큰 것이리라.
하지만 어떤 것의 시작, 특히 세상이 처음 열릴 때는 모든 것이 분명치 않고 뒤죽박죽 섞여 혼란스럽고 어지러운 게 당연하다. 우리 중 몇이나 그런 혼란스런 시작에서 빠져 나왔겠는가! 얼마나 많은 영혼들이 그런 소란 속으로 사라지고 마는가! - 31
저는 본질적이지 않은 것은 포기할 수 있어요. 돈도 내어 줄 수 있고, 자식들을 위해 내 목숨도 줄 수 있어요. 하지만 본연의 나 자신은 절대 버릴 수 없어요. 요즘에 와서야 비로소 이런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고, 이제 막 서서히 그런 생각이 들기 시작해서인지 좀 더 명확하게 설명을 못하겠네요. - 103
퐁텔리에 씨는 종종 아내가 정신적으로 점점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가고 있는 게 아닌가 하고 생각할 때가 있었다. 그는 아내가 평소와 다르다는 것을 똑똑히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사실 남편은 아내가 조금씩 자기 본연의 모습을 찾아가고 있다는 사실과, 우리가 마치 사람들 앞에서 보이기 위해 입는 옷과 같은 허구적인 자아를 매일 하나씩 벗어버리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 채지 못했다. - 123
당신은 정말, 정말이지 어리석은 어린애였군요. 당신이 퐁텔리에 씨에게 나를 놓아 달라고 말하는, 그런 말도 안되는 것들을 꿈꾸느라 시간을 허비했다니요! 난 더 이상 퐁텔리에 씨가 처분할지 말지 하는 소유물이 아니에요. 난 내가 선택한 대로, 내 갈 길을 가는 거예요. 만약에 남편이 ‘여기 있네, 로버트. 아내를 데리고 가서 행복하게 살게. 에드나는 자네 거야.’라고 말한다면 난 당신들 모두를 비웃을 거예요. - 234
2018. s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