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의 피크닉
온다 리쿠 지음, 권남희 옮김 / 북폴리오 / 2005년 9월
평점 :
80km를 걷는다는 행위를 전제로 아이들이 성장한다.
물론 정체되는 이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들 어떠한가.
‘새삼스럽지만 희안한’ 밤을 걷는 행사는 일종의 극기이고 피크닉이라고 부르기엔 버거운 행위지만, 청춘들이 필연적으로 통과해야 하는 위험요소가 비교적 적은 어둠이라는 점에서는 성장소설의 영리한 장치가 된다.
주인공인 두 캐릭터가 특히나 성장하는 반면, 조력하는 캐릭터들은 왜인지 이미 무럭무럭 자라남이 완료된 상태인 점, 갈등 해소를 위한 ‘요정’ 캐릭터가 등장한다는 점은 작위적이기도 하다.
이야기 속 청춘들의 갈등은 아직까지는 무해하다. 주저앉아 다시는 일어설 수 없을 것같은 좌절이 ‘아직’은 닥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 순간, 그들이 간직한 순수함과 무구함이 개의 사체를 바라보는 순간 젊음의 오만으로 반전되었다. 이 사소한 장면에서 든 거부감은 아무래도 내가 더 이상은 ‘청춘이 아님’이기 때문일 것이다.
온다 리쿠가 그리려 했던 ‘관통’은 충분히 이해했으나 나에겐 이미 오래 전 건너온 시절이라는 냉소적인 생각이 읽는 내내 들었다.
다시는 다가오지 않을, 지나치면 다시 없을 순간들에 대한 예찬은 살다보니 희끄무레하게 바래진 사소한 기억일 뿐이다.
이제 내가 걷는 생은 익숙한 것들의 반복일 것이고, 지나쳤다 생각했으나 어쨌든 여기서 저기, 저기서 여기인 시간들일 것이다.
그렇지만 이런 감상과는 별개로
청춘들이 통과할 어둠 속에서 그들이 진심으로 상처입지 않기를 기원한다.
온다 리쿠가 바라는 점도 그것이었을 것 같다.
보행제가 끝나버리면 이제 이 코스를 달리는 일도 없겠구나.
도오루는 왠지 마음이 이상해졌다. 당연한 것처럼 했던 것들이 어느 날을 경계로 당연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해서 두 번 다시 하지 않을 행위와 두 번 다시 발을 딛지 않을 장소가, 어느 틈엔가 자신의 뒤에 쌓여가는 것이다. 졸업이 가깝구나, 하는 것을 그는 이 순간 처음으로 실감했다. - 19
한참 바람을 맞으며 해안의 길을 걷고 있자니, 자신이 더할 나위 없이 무방비한 존재라는 생각이 든다. 아무것도 없는 공간을 향하고 있는 몸이 세계에 노출되어 있는 듯하여 왠지 안절부절못하게 되는 것이다. 건물 속에 들어가고 싶다. 어딘가 몸을 숨기고 싶다. 바다가 보이지 않는 곳으로 도망쳐버리고 싶다. 그런 충동이 어디에서랄 것도 없이 솟구쳐 올라온다.
더 이상 참을 수 없다, 하는 것은 이런 기분을 말하는 것이겠지. - 90
정말로, 정말로, 사소한 내기였다. 내기라고 부를 것도 없는, 작은 바람이었던 것이다. 니시와키 도오루에게 말을 걸어, 대답을 듣는 것.
겨우 이것이, 이 단체 보행 동안에 자신과 한 내기였다.
얼마나 시시한 내기인지. 그러나 이 간단한 것이 3학년이 된 후- 아니, 지금까지 줄곧- 정말로 어려운 일이었던 것이다.
이겼다. 나는 이겼다. - 204
2018. s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