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술가로 산다는 것 ㅣ 낭만픽션 4
마쓰모토 세이초 지음, 이규원 옮김 / 북스피어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센 리큐의 이야기가 특히 흥미로웠다.
다도의 경지에 도달했다는 명인도 권력과의 관계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시절.
권력자였던 도요토미 히데요시와의 공생과 반목.
그리고 도래인에 대한 부분. 이 사람들에 대해서는 본국에서나 이국에서나 그다지 자료가 없는 것인가 하는 생각.
복원으로의 시도가 아닌 작가의 주관적 해석이라고, 역사소설로 읽어달라는 당부가 있는 글이다.
고분시대, 중세시대, 에도시대까지 왠지 어렴풋이 알고 있는 일본 전통 예술인에 대한 글이라 꽤 재밌었다.
다만, 나의 첫 마쓰모토 세이초의 책이 이 책이었다는 점이 읽고나니 좀 의외였달까.
이제는 젊었을 때처럼 아름다운 자태로 춤 출 수 없다. 그는 화로 위로 손을 쳐들고 뼈마디 불거진 메마른 손가락을 보았다. 안달이 날 만큼 속상하지만 늙는다는 것이 그런 것이다. 하지만 늙는 것을 패배라고 느끼지는 않았다. - 58, 제아미
‘벼락출세한 자 답군.’
리큐는 히데요시를 외면하며 속으로 뇌까렸다. 히데요시에 대한 리큐의 평가는 결국 이것이었다. 리큐가 완성한 예술 세계는 대체로 히데요시 취향의 반대편에 있었다. - 91, 센 리큐
도래인의 기술이 조정이나 여러 호족의 발전에 기여했음은 분명하지만, 그들이 어떤 대우를 받았느냐 하는 문제는 알기 어렵다. 이무라는 도래인을 다룬 어떤 책을 읽고 많이 배웠지만, 그 점에 관해서는 제대로 설명되어 있지 않았다. 그래서, 스스로 바다를 건너온 이국인이므로 실의에 찬 방랑자에 가까울 거라고 성급하게 해석했다. 호족에게 선진 기술을 인정받기는 했지만 신분이나 지위는 매우 낮아 호족이라는 지배계급의 종속물이었다고 생각했다. 6세기 초에 가람 건축을 위해 초청한 와박사, 노반박사, 화공 같은 장인들과는 다른 존재였다.
종속물에게는 의지가 없다. 그들은 주인의 명령대로 일했다. 그러나 지배자가 종속물의 정신세계를 이해하는 자라면 종속물도 마음을 열 수 있을 것이다. 정신세계라는 말은 이상한 표현이지만, 이무라의 생각은 불교를 배척하는 모노노베, 오토모씨보다 옹호하는 소가 씨에게 도래인들도 더 마음을 열었을 거라는 의미다. - 298, 조불사 도리
2018. o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