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컬의 미래 - 헬레나와의 대화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지음, 최요한 옮김 / 남해의봄날 / 2018년 11월
평점 :
무엇을 말하는지, 말하고자 하는 그것이 이상적이고 윤리적이라는 것, 모두 잘 알겠고, 그런 세상이면 참 좋겠다.
희망의 미래를 이야기하는 사람에겐 미안하지만 나는 왜 읽는 내내 한숨만 나는지.
제 1 세계가 아닌 곳, 아니 미국이 아닌 곳에서는 일류국가에 대한 근본없는 욕망이 존재하고, 그것이 독재도, 혁명도, 민주주의 비슷한 무엇도 만들지만, 저자가 말하는 희망의 미래를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실천할 리더( 혹은 다수)가 있을까 하는 의구심.
아마도 그 의구심은 인류에 대한 의구심이겠지, 인간이란 옳고, 좋기가 힘든 존재라서.
개인적으로는 사소하게 당장 로컬푸드를 적극적으로 이용해 보려는 시도는 해보았으나, 그 실천이 불가능에 가까운 구조가 이미 완벽하게 세팅되어 있고, 그렇기에 거대 자본의 윤리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경제에 대해 뭐 별로 아는 것 없지만, 지나친 비약아닌가 싶은 부분도 분명 있다.
어쨌든, 과연... 이런 세상이 가능한가에 대해 계속 생각하게 된다.
희망보단 불신이 팽배하니 기분이 가라앉는 독서가 되었다.
윤리적으로 살자, 인간들아...라는 마지막 감상을 남기며.
-이동이 지나치게 자유로운 초국적 기업, 규제가 풀린 은행이 만들어 내는 돈, 정권과 기업의 유착관계에서 글로벌 기업이 지배하는 체제가 탄생한다. 결국 민주주의가 무너지고, 전 세계가 ‘바닥을 향한 경주’에 나서고, 거의 모든 나라에서 사회와 환경, 보건의 기준이 가장 낮은수준으로 내려간다. - 49
-개발이 시작되자 로컬 경제는 사실상 해체되었다. 의사결정권은 마을과 가정에 있는 여성에게서 멀리 도심지에 있는 남성이 장악한 관료제로 옮아가고, 초등교육은 지역의 자원과 필요가 아니라 도시 경제를 대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 82
- 경제성장의 열망은 본질적으로 ‘인간적’이지 않습니다. 인간의 욕구라기 보다는, 거대한 기계같은 비인간적인 규모의 체제에서 온 것입니다. 더구나 이 기계는 소비주의를 능동적이고 체계적으로 촉진합니다. 앞서 이야기했듯이 이 체제 안에서 학교 교과서부터 광고와 미디어까지 소비주의를 조장하고 자존감을 무너뜨리며 특히 남반구에서는 문화 정체성마저 파괴합니다. 국내 총생산(GDP)으로 평가하는 경제라는 개념은 인류 역사에서 최근에야 벌어진 현상입니다. 거의 모든 정치인과 기업가들이 반복하니까 우리 안에 깊숙이 자리하게 된 것입니다. 사실 경제 성장은 인간의 필요와 무관합니다. 그건 기업들이 돈을 얼마나 많이 버는지, 우리가 얼마나 빨리 지구의 자원을 써버리는지 평가하는 기준일 뿐입니다. - 129
2018. n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