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읽을 것들은 이토록 쌓여가고 ㅣ 읽어본다
서효인.박혜진 지음 / 난다 / 2018년 12월
평점 :
매일 한 권의 책을 ‘만지는’ 사람들이
매일 한 권의 책을 ‘기록하는’ 이야기.
남들의 독서노트를 엄청 좋아한다고 꽤 여러번 밝힌바 있다.
인간이기에 갖게되는 인정욕구인지 모른다.
타인과 비슷한 책을 읽고 느끼는 안도와 연대의식.
나는 아직 이 안에 있다는 작은 신호.
요즘들어 점점 도태...라는 단어에 이입되어 종종 침체되고 있어 좀 더 타인의 이야기와 관심사에 천착하는지도.
이미 내 거실, 내 방에는 읽을 것들이 ‘저토록’(타자화.... 모르쇠.... 일단 외면의 제스처다.) 쌓여가는구나..... 사들이는 것보다 많이 읽고 있는데, 책은 줄지 않지.
최근- 아니다. 매년 매달 - 작심한 것이 책 덜 사기 인데, 이런 책 소개들을 읽고 있자면 무거워지는 것은 장바구니, 가벼워지는 것은 나의 무력하고 하찮은 작심이다.
적극적으로 이 책을 읽으세요!라고 말하고 있지 않는데도, 아 내가 왜 이 책을 안 읽었지? 하는 자책을 하게 된다.
한편 다행이라면 이미 언급된 책들의 다수를 가지고(만) 있다는 것이다.
- 삶이 아름답지만은 않은 것처럼 죽음도 공허하지만은 않다. 죽음 뒤에 남겨지는 것들이 앞에 남은 삶을 일으켜 세워준다. - 41
- 누르는 힘이 세면 셀수록 튀어오르려는 힘도 세지기 마련이다. 반항을 빼고 나면 문학에 뭐가 남지? 나는 반항과 먼 인간이지만 문학만큼은 사나우면 사나울수록 좋다. - 71
- 인생은 고통이라고 말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인생이 고통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쉬운 일이다. 그런데 고통을 견디는 일은 아무리 마음을 먹고, 마음 먹은 것을 노트에 옮겨 적고, 옮겨 적은 것을 소리 내 읽어봐도, 거듭거듭 읽어봐도 잘 되지 않는다. 후회할 줄 알면서 후회할 일을 만들고야 마는 마음을 이제야 조금 이해하게 되었다. - 87
- 한국작가가 우리말로 쓴 소설을 읽을 때에는 일종의 각오가 필요하다. 이야기에 상처입을 각오, 몸 한구석에 이야기를 각인시킬 각오, 그것으로 묵은 감각을 변화시킬 각오 같은 것. - 222
2019. m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