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프루 ㅣ GD 시리즈
티아구 호드리게스 지음, 신유진 옮김, Nyhavn 사진 / 알마 / 2023년 10월
평점 :
1. 숨, 프롬프터.
암흑 속에 숨죽여 무대의 빈틈을 감쪽같이 지워주는 역할의 프롬프터.
반전되는 역할 분담에 무대의 추억들이 서서히 환기되는 이 극을 조금 가만가만 읽게 된다.
정적이며 조용한 대화들이 문득 격정에 휘몰아칠 때 몰아치는 감동이 있다.
극으로 본다면 또 다른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아 한 번 꼭 보고 싶어졌다.
2. 폭풍처럼 쏟아내는 독백. 그게 가장 큰 매력
잊고 있던 감각인데, 새로운 언어로 문장을 말하고 읽을 때는 조금 더 감상적이거나 로맨틱하다고 느끼는 감각이 있다.
프랑스어로 읽는 안나 카레니나.. 좀 에로틱한 분위기까지 괜히 느껴진다.
- 나는 1978년 2월 24일부터 줄곧 극장에서 일했지만 무대 위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나는 언제나 어둠 속에서 일했습니다. 지금 나를 처음 본 당신들은 내가 얼마나 창백한지 분명히 눈치챘을 겁니다. 나의 피부는 빛에 익숙하지 않습니다. 나의 몸, 얼굴, 걸음걸이는 빛 속에 사는 사람의 몸과 얼굴과 걸음걸이가 아닙니다. 나의 시커먼 옷은 어둠과 하나가 되고자 하는 사람의 복장입니다. 나는 어둠 속에서 보이지 않도록 옷을 입습니다. 나는 보이기 위해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오늘만큼은 모두가 나를 바라보는 무대 위 조명이 비치는 곳에 서 있습니다. 오늘 나는 나의 소중한 창백함을 잃을지도 모릅니다. - 9
- 경계에 살기. 잠시 머무는 곳에 살기. 무대와 무대 뒤 그 사이에서 살기. 현실의 둑과 허구의 둑을 잇는 다리에서 살기. 그 두 강둑 사이로 흐르는 큰 강의 밑바닥까지 내려가는 법을 알기. 세상과 무대를 가르는 말의 유수 속에서 헤엄치는 법을 알기. 기다리기, 지켜보기, 듣기. 살면서 좋은 날은 일을 하지 않아도 되는 날이고 강물에 몸을 담그지 않아도 되는 날이라고 여기는 누군가를 위해 구조 대원이 되기. 사고를 기다리기, 극장이 세상의 일부라는 사실을 우리에게 상기시켜주는 실수를 기다리기. 배우가 망각의 불안에 사로잡힐 때, 예기치 않게 기억이 꼬일 때, 현실에서 갈피를 못 잡을 때, 자신이 유한한 존재이고, 완벽한 인물이 아니라 잠시 빌려온 연약한 육신일 뿐이라는 사실을 떠올릴 때, 그를 단어로 구하기, 그의 귀에 속삭이기, 그를 소생시키기, 그에게 대본을 조용히 일러주기, 그에게 생각과 의미와 몸짓을 되돌려주기. 이것이 오늘 우리가 말해야 할 이야기이자, 우리가 보여줘야 하는 것들입니다. 구조 대원이 강물에 뛰어드는 순간 말입니다. 우리는 현실의 강물에 빠졌고, 삶이 허구의 둑을 범람하기 때문입니다. 프롬프터, 당신을 말하고 싶어요. 프롬프터를 연기하는 배우가 아니라, 진짜 프롬프터인 당신이 무대 위에서 배우들에게 대사를 알려주고 그들을 구조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요. 사고를 다루는 이야기를 쓰는 거죠. 사고가 났을 때의 구조 대원 이야기요. 나는 당신을 위한 연극을 쓸 거예요. - 11
- 어느 순간에 배우가 대사를 잊어버렸고, 그러자 프롬프터가 속삭였습니다. "파멸이 그들의 뒤를 따를 것이다." 프롬프터가 속삭일 때, "파멸이 그들의 뒤를 따를 것이다"라는 문장은 아무 의미도 없었습니다. 그건 문장이 아니라 그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소리에 불과했습니다. 길게 속삭이는 말일 뿐이었어요. "파멸이 그들의 뒤를 따를 것이다." 하지만 헨리 왕을 연기하는 배우가 "파멸이 그들의 뒤를 따를 것이다"라는 대사를 말했을 때, 그 문장은 무언가를 전하고 있었습니다. "파멸이 그들의 뒤를 따를 것이다." 그 일이 일어났을 때, 나는 손가락 끝에서 무대가 활활 타오르는 것을 느꼈습니다. - 18
- 죽지 않기. 무엇보다 죽지 않기. 살아가기. 비극의 도입부에 예언자 테이레시아스처럼 신중하고 상냥하게 진단을 내리는 의사 앞에서 흐트러지지 않기. 삶의 근간이 되는 것들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들이라고 주장하는 우리가 옳았다는 것을 알기. 우리는 우리가 한 말을 의심했을 때조차도 옳았다. 우리는 늘 우리가 말하는 것들을 의심하고, 또 말 사이에 둔 침묵을 침묵이라고 부르지 않으며, 그것에 의심이라는 이름을 붙인다는 것을 알고 있으니까. 의심 속에서도 살아가기. 죽음에 대한 생각에 직면할 때, 우리가 삶에 속해야 하는 이유인 미래의 신비를 다시 확인하기. 세상 사람들이 우리와 합류할 것이라고 희망하며 주저앉아 있을 곳을 알려주며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따지지 말고 무력한 패배자가 되어 임종의 시간을 기다리라고 말하는 죽음의 상냥한 초대장을 거절할 줄 알기. 죽음을 밀어내고 세상을 보러 떠나기. 방랑자가 되어 산 너머에 숨어 있는 것을 발견하고 밤의 끝을 향해 여행하기. 어쩌면 세상의 아주 작은 부분을 변화시킬 때까지, 아니 절대 해내지 못할 수도 있지만, 삶에 의해 패배자가 되기. 무엇보다 죽지 않을 것. 좁은 진료실에서 테이레시아스가 공포를 예언할 때, 죽음에 대한 생각이 우리와 함께 있다는 사실을 알기. 죽음의 팔꿈치가 우리의 팔꿈치를 스치는 것을 느끼면서도 살아 있기. 살아 있는 자만이 죽음의 배회를 상상하고 그것을 우리의 삶에 도움이 되는 이야기로 옮길 수 있으니까. 그렇다. 우리의 적에 대해 쓰고 읽는 일, 우리를 사로잡는 죽음의 형태를 다루는 연극을 만들고 보는 일이 그것이다. 그러나 절대로 치명적인 순응주의의 대열을 늘려서는 안 된다. 이 모든 게 양심을 달래거나 사기를 북돋아 주기 위한 막연히 시적이고 위대한 생각들의 나열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살아남기를 선택한 사람들은 이런 것들이 어느 여름날 매미가 우는 소리만큼이나 구체적이라는 것을 안다. 무엇보다 죽지 않기. 늘 그래왔듯이 힘든 시간 속에서 살아남는 일의 달콤한 괴로움을 음미하기. 그러나 편안한 시간에는 절대 그럴 수 없다, 편안한 시간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으니까. 누군가 우리에게 오직 이 세계만이 가능하다고 말할 때, 그들이 우리에게 말하는 것은 죽음이고, 우리는 죽음과 싸우는 타자들임을 알기. 그러기 위해 우리는 공공장소들과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는 은밀한 장소를 지켜나가야 한다. 우리는 신비한 것에 자신을 바치는 순간을, 우리가 우리를 만나 "여기에 있는 우리는 어쩌면 소수에 불과할지도 모르지만, 확실한 것은 우리가 죽음을 마주하면서도 살아남기를 선택했다는 것이다"라고 말하는 그 순간을 지켜내야만 한다. 고함을 치는 대신 속삭이기. 세상의 소란을 거부하기. 우리가 듣고 싶지 않을 때도 늘 그곳에 있었던, 침묵 사이에서 들려오는 숨소리를 듣기. 바람의 소리를, 생각의 호흡을 장소의 정신을, 우리가 처음으로 자신을 마주한, 하나뿐인 그 짤은 순간을 지켜내기. 무엇보다 죽지 않을 것. - 84
2024. oct.
#소프루 #티아구호드리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