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살인자의 마음을 읽는 이유 - 모두가 안전한 세상을 위한 권일용의 범죄심리 수업 ㅣ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9
권일용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6월
평점 :
만약 다시 태어난다면 나는 프로파일러가 되고 싶다. 흔히들 '지금도 늦지 않았어'라고는 하지만 뭔가를 새로 시작하기에는 열정은 넘쳐날 수 있겠지만, 체력적으로 힘들다. 지금도 나름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으니 이대로 만족하고, 프로파일러는 다음생으로 기약하며....^^;;
사실, 어렸을적부터 추리소설을 좋아했다. 지금도 이왕이면 장르소설을 선택해서 읽는다. 하두 범죄소설을 많이 읽다보니 가족들은 '책 읽으면서 살의를 느껴본적이 없느냐?'라는 우려 반, 농담 반의 이야기를 건네지만, 현실과 소설을 혼동할만큼 비이성적(?)이지는 않다. 그런데, 가족들이 내게 던진 질문이 더이상 웃어 넘길 수 없는 현실이 되어버린 것만 같다. 게임에 열중하다 현실과 구분못하고 범죄를 저지르는 사건은 몇차례 본 적이 있었지만, 최근 벌어진 살인 사건의 범인은 '살인을 하고 싶었다'라며 세상을 놀라게 했다. 또한 범죄 프로그램을 보고 도서관에서 범죄 관련 소설을 다수 빌려 봤단다. 어떤 사건에 의심을 받는다면 나는 영락없이 범인이다. 집에 쌓여있는 책만 보더라도 피해갈 수 없다. 정말로 웃픈 현실이 아닐 수 없다.
범죄의 형태는 세월이 흐를수록 그 양상이 달라졌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 사법체계의 대처는 여전히 답보상태인 것만 같다. 연쇄 살인범은 2009년 강호순을 검거한 이후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한다. 생각해보니 그렇다. 항상 언급되는 연쇄살인범, 잔혹한 범죄자로 항상 등장하는 인물들이 여럿 있지만 요즘엔 연쇄 살인범은 없는 것 같다. 과학수사나 프로파일링처럼 수사기법이 고도화 되면서 연쇄적인 범죄를 저지르기 전에 체포가 되기 때문일테다. 하지만, 동일인물은 아니지만 비슷한 사건은 많이 일어나는 것 같다. 헤어진 연인을 살해하거나, 아동학대, 보이스피싱, 가스라이팅, 그루밍 성착취등 동일한 사건이 저지르는 사람이 바뀔뿐 똑같은 사건들은 매번 반복된다. 범죄의 양상이 바뀌는 만큼 양형기준도 바뀌어야 한다고 본다. 요즘에는 범죄자의 신상공개도 하고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좀 더 확대되었으면 한다. 아직 우리 법체계는 피해자보다는 가해자를 더 보호한다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다.
편견일 수도 있겠지만 현실과 소설이나 게임을 구분못하고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이 과연 교화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한다. 어쩌면 그런 극한 상황으로 몰리게끔 하는 사회의 문제일 수도 있을테다. 아무래도 다음생에도 프로파일러는 접어야 할 듯하다. 남의 마음을 읽기에는 내가 너무 부족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