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마지막 기차역 (리커버 에디션)
무라세 다케시 지음, 김지연 옮김 / 모모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차가 탈선을 했다. 누군가는 연인을 잃고, 누군가는 가족을 잃었다. 평범했던 아침... 하지만 누군가는 원치 않았던 이별을 하고 말았다. 예전에는 이런 감정들을 이해하지 못했다. 같은 슬픔은 아니겠지만 누군가와 이별을 하고 나서 보니.. 그들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더이상 만날 수 없다는 사실이... 문득 그 자리에 멈춰서 있다는 사실이..

탈선 사고가 일어나고 두달쯤 지나고선 이상한 소문이 나돌기 시작했다. 심야에 유령열차가 사고 현장을 달린다고 한다. 사고현장과 가까운 역에 '유키호'라는 유령을 만나 부탁하면 그 열차에 오를 수 있다고 한다. 단, 지켜야 할 규칙은 네가지. 규칙을 지키지 않으면 바로 현실로 돌아온다는 것이다. 죽은 사람을 만나더라도 현실은 바뀌지 않는다. 죽은 사람은 다시 살아 돌아오지 않는다. 하지만 그래도 그들을 만나기 위해 사람들은 유령열차에 오른다.

결혼을 몇 달 앞두고 약혼자를 잃은 히구치, 평생 아버지를 업신여기다가 뒤늦게 아버지의 깊은 사랑을 깨달은 아들 사카모토, 오랜시간 짝사랑을 하던 사람에게 고백하려던 찰나 사고를 당했지만 살아남은 가즈유키, 사고 직후 가해자로 몰렸던 기관사의 아내 기타무라. 네 사람의 사연과 더불어 유령 '유키호'의 정체까지 모든 것이 마음을 아프게 한다.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이들에게, 그들은 앞으로 나아가라고 한다. 멈추지 말고..

누구나 이별을 한다. 예정되어 있는 이별이던, 혹은 예기치 못한 이별이던간에...어떤 것이 더 슬프다, 아니다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남겨진 사람들의 그리움도 다 똑같을 수만은 없겠지만, 문득... 그리움에 걸음을 멈춘다면... 잠시만 쉬었다가 힘차게 발을 내딛어 앞으로 나아가야 할 것 같다. 남겨진 사람들이 걸음을 멈추길 원하지 않을테니까. 더 힘차게, 앞으로 나아가길 바라고 있을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을 지키려는 고양이
나쓰카와 소스케 지음, 이선희 옮김 / arte(아르테)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과 고양이... 내가 가장 힘을 쓸 수 없는 존재인것 같다. 예정에도 없던 이 책을 빌려오는데, 바로 '책'과 '고양이'면 충분했다.

고서점을 운영하던 할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셨다. 부모님이 이혼하고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그리고 할아버지와 살아가던 린타로. 어느 겨울날 할아버지는 주무시다가 돌아가셨다. 아직 고등학생인 린타로는 서점을 정리하고 있는지도 몰랐던 고모와 살게 되었다. 그래서 할아버지의 서점을 정리해야 했다. 그러던 어느날 린타로 앞에 얼굴 고양이 한마리가 나타났다. 더군다나 고양이가 말을 한다. 갇혀 있는 책을 구해달라는 고양이. 린타로는 고양이 얼룩이를 따라 책을 구하려고 나선다.

사실, 린타로가 책을 구하는 과정은 그다지 흥미롭지는 않다. 하지만 이 소설 속 빌런(?)들은 곰곰히 생각해봐야 할 가치는 있다. 그 빌런들은 '가두는 자, '자르는 자', '팔아치우는 자'이다. 이야기를 통해서 작가는 우리에게 질문을 던진다. 책을 읽는 이유는 무엇이냐고?

'가두는 자'는 읽은 책 수로 경쟁하는 지식인이다. 많이 읽는 사람이 가치 있는 사람이라 생각한다. '자르는 자'는 책은 줄거리만 읽으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자이다. '팔아치우는 자'는 책을 팔아서 이익만 올리면 된다고 생각하는 자이다.

과연 나는 책을 어떻게 생각할까? 나이가 들면서 부쩍 책을 읽는 권수는 많아졌다. 예전에는 그냥 읽기만 했는데, 모호했던 책을 나중에 2번을 읽고 나서야(2번을 읽었는데 줄거리도 파악 못했다.) 무슨 책을 읽었는지, 내용이 어땠는지는 기록이 필요할 것 같아, 읽은 책목록을 정리하고 독후감을 쓴다. 그리고 인상 깊었던 책은 여러번 재독도 한다. 영상물로 제작된 것은 잘 보지 않는다. 책과 내용이 조금 달라지게 되는게 싫다. 대충 줄거리는 알지만 세부사항을 알고 싶어 읽어보고 싶은 책이 많다. 과연 죽기전에 다 읽을수나 있을지..

나는 왜 책을 읽는 것인가를 궁금할때 읽어보면 좋을 것 같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을 생각하는 마음‘, 그걸 가르쳐주는 게 책의 힘이라고 생각해요. 그 힘이 많은 사람에게 용기를 주고 힘을주는 거예요." - P2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턱대고 책을 많이 읽는다고 눈에 보이는 세계가 넓어지는 건 아니란다. 아무리 지식을 많이 채워도 네가 네머리로 생각하고 네 발로 걷지 않으면 모든 건 공허한 가짜에 불과해." - P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멋진 신세계
올더스 헉슬리 지음, 안정효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지 오웰의 <1984 >을 읽을때도 느꼈었지만 어떻게 이 사람들은 이런 상상을 할 수 있었을까 싶다. 당시에 이런 미래 사회가 실제로 올 수 있었을거라 생각했을까.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상상하는 세계가 과연 오게 될까? 물론 나는 상상력이 부족해서 미래 사회를 상상할 수는 없겠지만 말이다.

얼마전에 읽은 정지혜 작가의 < 다마논드호 >에서도 해수면이 상승해서 노아의 방주처럼 만들어진 배에 선택받아 탑승하기는 했지만, 또 그 사회에서 계급이 나뉘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아이들은 인공부화실에서 태어나고 적당한 계급에 따른 양분과 산소 공급으로 그들이 맡은 일들을 하며 행복이라 느끼며 살게 되는 이른바 "멋진 신세계". 노화도 겪지 않고, 소마라는 약물을 통해 고통도 없이 행복을 느끼며 사는 그 곳에서도 역시 누군가에게만 '멋진 신세계'이며 누군가에겐 그 '멋진 신세계'를 만들기 위한 소모품 밖에는 되지 않는 것 같다.

모두가 만족하는 사회는 오지 않을 것 같다. 어쩌면 생태적 지위가 같은 생물들이 자신의 영역을 만들어 대립상황을 줄이려는 것처럼 전혀 남들이 침입할 수 없는 개인적인 영역으로만 구획을 정해야만 신세계가 이루어지는 것일까. 누구나 공평하게 양보하고, 남을 이해했으면 좋겠지만, 나의 이익을 위해서는 남의 생명조차도 가볍게 생각하고 모해하는 세상은 암울할 수 밖에는 없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