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이 코드 - 모두에게 익숙한 소년과 처음 만나는 나 사이 ㅣ 생각학교 클클문고
이진 외 지음 / 생각학교 / 2023년 6월
평점 :
이 책 < 보이 코드 >"모두에게 익숙한 소년과 처음 만나는 나 사이'라는 부제목으로 「더블(전건우)」, 「맹금류 오 형제(차무진)」, 「기둥(정해연)」, 「소년에겐 아지트가 필요하다(조영주)」, 「정거장에서(이진)」 다섯 작품이 실린 엔솔로지이다. 다섯명의 작가들은 소설을 통해 "남자다움"에 대해서 말을 한다. 과거 '남존여비'라는 말로 표현되는 남성만을 우선시하는 그릇된 생각때문에 여성 차별에 대한 것이 더 조명을 받기는 한다. 하지만 남성들에게 요구되는 "남자다움"도 또 다른 차별가 된다고 본다. 어쩌면 이제는 '남자답게', '여자답게'라는 말은 사라져야 한다고 본다.
「기둥」에서 태수는 이제 고등학생이지만 자신의 어깨가 무거워짐을 느꼈다. "아빠가 없을 땐 네가 아빠 대신이다. 엄마와 동생을 잘 부탁한다. 네가 이 집안 기둥이야"라는 마지막 말을 남기고 아빠는 하늘나라로 떠나셨다. 태수는 중학생인 동생 태경이 짜증을 낼 정도로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한다.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는 태수에게 조금 짜증이 났다. 지금도 보면 밤길이 위험하니 여성들의 행동을 제약하는 경우가 많다. 너무 늦게 다니지 마라, 노출이 심하지 않게하라면서 남자들을 자극하지 말라는 뉘앙스로 주의를 주는 것에 반대한다. 위협은 여성뿐 아니라 남성도 겪을 수 있는 일이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 시급한 문제이지 여성피해자가 많다는 이유로 여성의 행동을 제약하는 것은 옳지 않은 것이다. 반면에 모든 남성을 범죄를 저지를 수 있다는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도 잘못된 것이라고 본다. 하지만 태수에 대한 생각은 조금 바뀌었다. 아직 고등학생인 태수에게 아빠는 너무 무거운 짐을 지워준 것이 아닌가 싶다. 태수에게 남겨야 할 말이 아니라 엄마와 태경에게 함께 해줘야 했던 말이 아니었을까. 가족들을 두고 떠나는 아빠의 마음도 이해를 하겠지만, 태수에게 아들이라는 이유만으로 너무나 무거운 짐을 지워준 것 같다.
「더블」, 「정거장에서」에서는 성정체성을(맞으려나, 내 느낌으로는 성정체성을 느끼듯한 이야기였는데) 고민하는...(그저 유약함인가) 수혁과 동성에게 사랑을 느끼는 영수가 등장을 한다. 내 생각뿐일지도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 동성에 대한 깊은 감정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아예 인위적인 수술을 통한 성전환은 아직 조금 익숙하지 못한 편이다. 당사자들에게는 내 인식이 좀 가혹하다 할 수 있겠지만, 서로의 다름을 배려하며 조금씩 이견을 좁혀나가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