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
황모과 지음 / 래빗홀 / 2023년 8월
평점 :
1923년 9월 1일 일본에서 관동대지진이 일어났다. 그리고 시작된 조선인 학살. 그러고 보니 올해가 100주기가 되었다. 나라 잃은 백성들은 괴소문에 이유도 없이 스러져 갔다. 예전에 < 학살의 기억, 관동대지진 >이라는 책을 읽었었다. 당시의 참상을 글로 읽으면서도 얼마나 공포스러웠는지 모른다. 이 책을 읽으면서 어렴풋이 기억나는 < 학살의 기억, 관동대지진 >이라는 책 덕분에, 더 사실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2023년 간토 카타콤베. 민호와 다카야는 나란히 언덕을 오른다. 이 두사람은 역사적 사건의 진상을 조사하기 위해 타임슬립 기술을 이용하여 과거로 파견된 조사단의 일원이다. 이름에서 느껴지듯이 그들은 정반대의 정치적 입장을 가졌다. 다카야는 자신의 증조할아버지가 히로시마에서 피폭을 당해 사망한 일을 시작으로 전쟁과 학살은 없어져야 한다는 이야기를 피력했다. 물론 2차 세계대전의 종지부를 찍은 격이라고 보여지는 히로시마 원폭투하로 피해를 입은 이들의 사연은 안타깝지만 그 일로 전쟁과 학살을 이야기 한다는 것은 너무나 어불성설이 아닐까 싶다. 조선을 필두로 동아시아에 행해진 과거 일본의 행태에 대한 반성이 먼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역시 한국인을 자극하기에 알맞은 소재같다.
다카야는 민호에게 말한다. "너는 거기에 도착하면 죽을꺼다. 너만 없었으면 내가 이런 형벌을 받을 리가 없다." 이 말을 들은 민호도, 읽고 있는 나도 도무지 다카야의 말을 이해할 수 없었다. 민호는 1923년에 조선인 노동자 '달출'을 구하려고 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민호도 뜻하지 않는 죽음을 맞이한다. 민호는 죽음과 함께 2023년 간토 카타콤베로 돌아온다. 하지만 다카야는 돌아오지 못했다. 미래로 소환되기를 희망하며 소극적으로 살며 100년을 지내면서 죽음을 맞이한다. 하지만 그 순간 2023년으로 돌아와 민호와 마주한다. 다카야는 모든 것을 기억하지만 민호는 자신이 과거에서 죽음을 당했다는 것을 기억하지 못한다. 왜 다카야는 즉시 소환되지 못한 것일까. 그는 오롯이 100년을 기다려야만 했을까.
1923년 당시의 달출과 평세는 조선인 노동자로 학살의 현장에 서있다. 모두가 겪은 자연재해지만, 그 공포를 어디론가 돌릴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나타난 것이 바로 조선인들이 일본인들을 위협한다는 유언비어였다. 일본인들은 스스로를 보호해야 한다며 자경단을 꾸리고 조선인들을 학살한다. 또한 일본사회에서도 천대받던 부락민과 장애인등도 함께 피해를 보는 경우가 허다했다. 하지만 그 가운데서도 그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미야와키와 사요같은 일본인들도 볼 수 있다.
과거는 바꿀 수가 없다. 하지만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를 들어줄 수는 있을 것 같다. 당시의 공포로 인간들이 얼마나 흉악해 질 수 있는가를 보고, 반성하며 그들을 위로할 때 한층 더 성숙한 인류를 만들어 갈 수 있지 않을까. 일본에서도 여전히 당시 희생된 조선인들에 대한 어떤 추모도 하지 않는 도쿄도지사에게 추도문을 보내라고 요청하는 시민단체는 "과거를 똑바로 직시하며 반복하지 않도록 전승하기 위해 100주기를 기점삼아 한번 더 신경을 써야 한다"라며 목소리를 높인다.
이 소설은 참 생각할 게 많아진다. 많은 사람들이 읽고,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주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