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민국은 지금 분노하고 있다 - 박근혜·안철수식 경제·정치문제 풀기
조시영(싸이조)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2년 3월
평점 :
2030세대를 거쳐오면서 어쩌면 나는 내나라에 대해 참 무지했던 것 같다. 역사에 대해서도 잘 몰랐고, 정치에 대해서도 잘 몰랐다. 비단, 나만의 문제는 아닌지도 모른다. 어디선가 우리나라의 국민들의 정치참여도는 그다지 높은편은 아니라는 것을 읽은것 같다. 투표권이 처음 생겼던 20살에는 그저 부모님의 선택에 따라 나도 투표를 했던것 같다. 사회에 대해 잘 모르던 시절, 어쩌면 내 투표권은 정당한 국민의 권리가 아닌 그저 투표율을 높이기 위한 의무로만 전락한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하지만 사람은 나이를 먹어야 하나보다. 이제 내나라의 역사가 궁금했고, 정치가 궁금하다. 역사란 것은 그리 힘들지 않게 접할수 있었는데, 정치라는 것은 도무지 어디서 시작해야하는지 난감했다. 그때, 가장 눈에 띈 책이 바로 이 '대한민국은 지금 분노하고 있다'이다.
제대로 알고 시작하자. 사람만 바뀐다고 세상이 좋아질까, 문제는 시스템이다.
우리는 이미 이번달에 총선을 치뤘고, 앞으로 12월에 있을 대선을 준비하고 있다. 과연 어떤 인물이 대한민국의 최고 통치자가 되어 대한민국의 분노를 잠재울수 있을까? 나는 아직 정치에 대해 아는것이 많지는 않기에 그게 내 의견을 피력하기 보다는 배우는 입장에서 이 책을 읽었다고나 해야할것 같다. 하지만 정치에 대해서 문외한인 나로서도 솔직히 누가 대통령이 되어야만 이나라를 올바르게 이끌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갖고는 있다. 그야말로 우리나라 정치인들은 '그놈이 그놈이다'라는 식이다. 그래서 선거때마다 넓은 바다에 표류하는 것처럼 솔직히 어느당을 지지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우리의 투표율이 낮은것도 나처럼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이 많은 것도, 아마도 갈수록 빡빡해지는 삶을 생각하느라 미처 정치에까지 관심을 가질수 없어서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갈수록 어려워지기만 하는 세상. "빈익빈 부익부"가 가속화되는 세상. "개천에서 용난다"라는 시대는 없어져 버린 세상. 부자는 더욱더 부자가 되고, 가난한 이는 더 가난해지는 세상. 이런 세상에 어느 누가 살맛난다고 할까?
우리는 항상 정치인들의 똑같은 행보를 본다. 대통령에 취임하고, 여기저기서 대통령의 좋은점을 부각시키고, 시간이 흘러 그의 정치에 불만을 갖고, 하나둘 측근 비리가 터져나오고, 레임덕을 의심하며 탈당을 권유하고, 대통령을 깎아내리고, 선거를 하고.. 또 반복 반복... 마치 대한민국 정치는 수레바퀴를 도는듯하다.
이 책은 지금 제일 주목받고 있는 '박근혜, 안철수식 경제, 정치 문제 풀기'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새누리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을 매우 좋아한다. 그녀의 정치적 입장이나 개인을 좋아하는것은 아니다. 그저 우리나라에서 여성으로서 이러한 입지를 갖고 정치활동을 하는 자체가 좋다. 내가 보기에는 항상 위기때마다 많은 정치인들은 그녀에게 힘이 되어 주기를 바라고 대선 경선에서는 철저히 외면한다. 그녀는 '선거의 여왕'이라고 추켜세우다가도 정작 대선때가 다가오면 '여자가 무슨 대통령을....'하면서 뒷말을 흐리곤 한다. 위기때마다 힘이 되어 달라고 의지하고 위기를 넘어서면 '토사구팽'하는 그들이 밉다. 정치인으로서 지금도 매우 성공은 했겠지만 그녀가 더 나은 정치가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현재 젊은이들의 최대 키워드는 안철수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이다. 언젠가 예능프로그램 나왔던 그의 모습을 생각 해보면 참 저력있고, 정말 똑똑한 인재라고 생각한다. 마치 그가 정치를 하게된다면 '정치인의 비리'라는 말이 사라지지 않을까 생각을 한다. 하지만 그의 대선 출마는 아직 시기상조가 아닐지 모르겠다. 저자의 생각은 어떤것인지 잘은 모르겠지만 책을 읽는내내 저자는 박근혜씨에게 조금더 비중을 두는듯한 느낌을 받았다. 아마 두사람만을 두고 본다면 나도 그대신 그녀를 택할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대선은 한나라를 이끌어 가는 리더를 뽑는 일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물건을 하나 살때 이리저리 따져보는것 만큼의 노력도 기울이지 않는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물론 그 말에 있어서 나도 떳떳할수만은 없다. 그저 투표에 참여했다는데만 의의를 가질뿐 나의 한표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미처 생각하지 못한것 같다. 이제 정치에 관심을 가지는 햇병아리 국민으로서 보다 꼼꼼하게 그들의 정치신념을 파악하고 대선에서 내 권리를 이행해야겠다.
부디 대한민국의 분노를 위로해줄수 있는 그런 국민이 그런 리더가 만들어졌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