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라의 열쇠
타티아나 드 로즈네 지음, 이은선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처음에는 무심코 이 책을 골랐다. 아니, 애초에 이 책을 읽으려 했던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마지막 책장을 덮을땐 그야말로 감동이 넘쳐흘렀다고나 할까...
마음아프지만 잊어서는 안될 또다른 역사이기도 했기때문이다.
1942년 7월 16일 "벨로드롬 디베르 일제 검거사건"
독일도 그리고 독일군인도 아닌 나치 치하의 프랑스 정부가 유대계 프랑스인을 기습 검거해 사이클 경기장에 가둬두었다가 아우슈비츠 수용소로 보낸 사건이다. 이 사건을 통해 그들은 식량도 제대로 된 치료도 받을수 없는 열악한 환경에 감금되었다가 남자, 여자 그리고 아이들을 뿔뿔히 흩어져 수용소로 이송된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열살 사라는, 물론 실제 인물은 아니지만, 마찬가지로 이 사건에 휘말리게 되어 부모님과 함께 수용소로 끌려가게 된다. 그때, 동생인 네살 미셸은 벽장속에 몰래 숨기고 얼른 돌아와 꺼내주고 약속을 하게 되었지만 그렇게 오래 시간이 흐르게 될줄 어린 사라는 그때 미처 몰랐다. 그리고 또 다른 주인공 줄리아는 60주년을 맞이하는 '벨디브 사건'에 대한 이야기를 조명하는 기사를 맡으며 이 일을 조사하게 된다. 사라의 이야기와 줄리아의 이야기가 번갈아 가며 나오게 되고, 차츰 차츰 그들의 이야기가 '벨디브 사건'만이 아니라 서로와 연관되어 있음을 느끼게 된다.
너무나 가혹했던 사라의 수용소 생활. 과연 그러한 일들이 실제로 자행되었는지 생각하게 되면 너무나도 끔찍하다. 그곳에서 거의 모든 사람들은 죽었겠지만 생존한 사람들이나, 그렇게 줄지어 이동하는 유대인들을 보았던 사람들은 어떤 트라우마를 갖고 살아가지 않았을까.. 사라를 구해주게 되었던 어느 노부부처럼 미셸도 그렇게 구원을 받았으면 하는 조바심에 글을 읽어나갔지만 결국엔 동생을 구해주지 못한 부분에서는 얼마나 가슴이 아프던지.. 그 이후로 사라의 삶은 많은 것이 바뀌었다. 사라뿐만이 아니라 이 사건에 관계가 있던 많은 사람들은 어느정도 관계가 있든 없든간에 이 사건으로 인해 여러모로 삶이 바뀌게 된다.
나는 이 소설을 읽으며 소설 '태백산맥'을 떠올렸다. 우리의 아픈 역사에서도 '양민학살'이 나오게 된다. 그 부분을 읽게 될때도 마음이 아프기도 했고, 안절부절 못하는 나자신을 느꼈었다. '사라의 열쇠'는 우리네 역사는 아니지만 이 세상에 존재했던 이야기이기 때문에 똑같은 감정을 느낀것이 아닌가 싶다. 누구를 위한 전쟁이고 또 무엇을 위한 전쟁인가... 그들은 잘못한게 없었다. 과연 그들의 죽음을 시대를 잘못 타고난 운명이었다고만 탓할수 있을까?
이기심때문이 아닐까... 이기심 때문에 본질은 왜곡되고 전세계가 고통스러워할 아픔을 만들어 내고 있는것은 아닌가 싶다. 나는 아주 오래전 "이산가족 찾기"를 기억한다. 그리고 함께 울었던 것을 기억한다. 아마 아주 어렸을 그 때도 그저 막연하게 가족과 헤어지는 두려움을 알았던 것이 아니었을까 싶기도 한다. 전쟁은 소수의 사람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고, 가족을 잃고, 삶을 잃게 한다. 비단 전쟁뿐만이 아니라, 잘못된 이기심에 상처입고 삶까지 바뀌게 되는 이들도 있다. 그런 상처들은 과연 치유될수 있을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가끔씩 예전일을 곱씹어 보는 그런 못된 버릇이 나에게 있다. 나뿐만 아니라 사람들은 자신이 겪었을 그런 아픈 기억은 그리 쉽게 없어지는 것이 아닐지 싶다. 열살 어린 나이에 겪었을 사라의 아픔은 그녀가 살면서 결국은 등에서 내려놓지 못했다. 그 상처를 짊어지고 살아갔을 사라가 안쓰럽다. 그녀에게 손내미는 사람들의 손을 잡았더라면 사라의 삶이 덜 고되었을까? 나를 미루어 생각해볼때도 그다지 사라에게 도움이 되지는 않았을것 같지만서도... 내가 사라앞에 있었더라면 그래도 손을 내밀지 않았을까 싶다. 그래도 그녀에게 위안은 되지 않더라도 말이다...